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교회의 도덕성 = On the Morality of Korean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80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교회의 도덕을 논함에 앞서 목사로서 이 문제를 다루는 것에 큰 부담을 갖는다. 죄 있는 자가 돌로 치라는 예수의 말씀이 생각나기 때문이다. 누가 누구의 도덕과 윤리를 말하겠는가? 같...

      한국교회의 도덕을 논함에 앞서 목사로서 이 문제를 다루는 것에 큰 부담을 갖는다. 죄 있는 자가 돌로 치라는 예수의 말씀이 생각나기 때문이다. 누가 누구의 도덕과 윤리를 말하겠는가? 같은 책임을 가지고 있는 성직자가 다른 성직자의 도덕문제를 거론한다는 것 자체에 모순이 있는 듯하다. 많은 사람들은 목사의 부도덕을 말하면서 "아니! 목사가 어떻게 그럴 수 있지?" 라고하는 성직의 문제를 거론하며 의로운 심판관이 될 때 오히려 내 자신은 목사의 편에 서려고 하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목사도 평범한 인간이라는 사실을 아무도 고려하지 않는 듯하다. 목사 역시 "오호라 나는 곤고한 자로다" 라는 바울의 고백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목사에게 도덕은 지킬만해서 지키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지켜야만 하는 정언명령이다. 도덕적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망을 받아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나 비도덕적이 되지 않을 수 없는 구조가 목사를 비도덕적 상황으로 몰아가는 것 대해서는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 듯하다. 교회의 부도덕은 사실 여러 차원이 서로 함께 공모한 합작품이다.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성직, 교회론, 성장주의, 그리고 목회자들의 성적 문제 등의 모든 제반 사항을 함께 다루어야 한다. 따라서 이 모든 사안들을 어우를 수 있는 근저 또는 함께 얽혀져 있는 근본적 원인으로 생각이 기울어 질 수밖에 없었음을 밝힌다. 신학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의 원인인 것은 분명하지만 본 글은 신학이 다룰 수 없는 또 다른 특별한 평가가 요구되는 부분에 주목한다. 그것은 현대교회의 구조 자체가 이미 도덕을 담보할 수 없도록 구조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글은 그 원인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검토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have heavy burden as a pastor, before dissertating the morality of korean church, because this theme remind me of Jesus saying, "If anyone of you is without sin, let him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at her."(John 8:7) Whose morals and ethics are di...

      I have heavy burden as a pastor, before dissertating the morality of korean church, because this theme remind me of Jesus saying, "If anyone of you is without sin, let him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at her."(John 8:7) Whose morals and ethics are discussed by whom? Now I seemed to be in dilemma when I make it a subject of morality of other minister as a minister who has the same responsibility. I can not deny myself to be on a pastor's side when many people become a righteous judge, saying "How could he do it so as a pastor?", which is supposed to referring the immorality of pastorship. A pastor also can not get out of the word, "what a wretched man I am! Who will rescue me from this body of death?"(Rom7:24) It doesn't seem to be considered the fact that the pastor is also an ordinary man. For a pastor to keep morality is not to be a simple due thing but to be a categorical imperative. I think that he should receive a blame if he does immorality. But we seem to pass over that the structure which can not help becoming immorally has become a cause to drive pastors in situation of immorality. The immoral of the church is a joint production, in fact, that is conspired with multi dimensions.
      To manage this theme we have to handle all the relevant agenda together, holy orders, ecclesiology, growth ideology, and the sexual problem of pastors and so on. Therefore I suggest I can not help leaning my thought to the foundation which put together all the things or fundamental cause which are intertwined together. Though it's clear the absence of theology is a cause of the biggest problem, this writing will notice a part that theology could not manage and a special evaluation is needed. It is to be constructed that the structure of contemporary church already can not guarantee morals. This essay will have the purpose that explores the cause and examines the alterna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초록
      • Ⅰ. 서론
      • Ⅱ. 도덕적 담보를 보장 할 수 없는 현대 교회의 구조
      • Ⅲ. 대안적 의견
      • Ⅳ. 결론
      • 한글초록
      • Ⅰ. 서론
      • Ⅱ. 도덕적 담보를 보장 할 수 없는 현대 교회의 구조
      • Ⅲ. 대안적 의견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