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지 파견 관리자의 문화지능이 과업갈등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88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지 파견 관리자가 인종, 민족 및 국적이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문화지능)을 갖추는 것이 기업 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지 파견 관리자가 인종, 민족 및 국적이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문화지능)을 갖추는 것이 기업 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성원들 간의 과업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문화지능의 각 구성요인들의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문화지능에 대해 더 자세한 시각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문화지능의 하위 요인인 초인지적 문화지능, 인지적 문화지능, 동기적 문화지능, 행동적 문화지능이 각각 과업갈등에 미치는 영향으로 4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베트남 진출 한국 기업에서 근무중인 베트남 현지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105건의 응답으로 SPSS 22.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 수행을 통해서 문화지능의 4가지 구성요인중 초인지적 문화지능, 동기적 문화지능, 행동적 문화지능이 과업갈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파견 관리자의 문화지능은 과업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며, 해외 진출 기업들에게는 현지 지사 혹은 현지 법인에서 발생하는 과업갈등 문제에 대한 인적자원 측면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베트남이라는 특정 지역에서 한국 파견 관리자의 문화지능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베트남 진출 한국 기업들에게 문화지능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더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현실적인 기여를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expatriate’s ability to effectively perform and manage in environments with diverse races, ethnicities and nationalities, so-called Cultural Intelligence (CQ) on the task conflict between member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expatriate’s ability to effectively perform and manage in environments with diverse races, ethnicities and nationalities, so-called Cultural Intelligence (CQ) on the task conflict between member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work. This study provides a more detailed perspective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each component of cultural intelligence on task conflict. Through literature review,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on the effect of four sub-factors of cultural intelligence, such as metacognitive CQ, cognitive CQ, motivational CQ, behavioral CQ, on task conflic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ietnamese employees who are working for Korean companies in Vietnam.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105 collected responses using SPSS 22, among the four components of CQ, metacognitive CQ, motivational CQ, behavior CQ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ask conflict.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the cultural intelligence of expatriate manag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reduce task conflict, and suggests a human resource response direction to the task conflict problem occurring in the local branch or local corporation for overseas companies. In addition, by empirically analyzing cultural intelligence of Korean expatriates in Vietnam,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intelligence to Korean companies entering Vietnam, also made a realistic contribution to a more stable and successful overseas expan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구성 5
      • II. 이론적 배경 및 기존문헌 연구 6
      • 2.1 문화지능 6
      • I.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구성 5
      • II. 이론적 배경 및 기존문헌 연구 6
      • 2.1 문화지능 6
      • 2.1.1 문화지능의 개념 6
      • 2.1.2 문화지능의 4가지 요인 7
      • 2.2 과업갈등 9
      • 2.3 문화지능과 과업갈등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 12
      • 2.4 베트남과 한국 간의 노동문화 차이 15
      • III.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19
      • 3.1 연구모형 19
      • 3.2 가설설정 20
      • 3.2.1 초인지적 문화지능과 과업갈등에 관한 가설 20
      • 3.2.2 인지적 문화지능과 과업갈등에 관한 가설 22
      • 3.2.3 동기적 문화지능과 과업갈등에 관한 가설 23
      • 3.2.4 행동적 문화지능과 과업갈등에 관한 가설 24
      • 3.3 연구방법 26
      • 3.3.1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26
      • 3.3.2 변수의 측정 27
      • IV. 가설검증 결과 30
      • 4.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30
      • 4.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1
      • 4.3 연구가설의 검증 33
      • V. 결론 36
      • 5.1 연구결과의 요약 36
      • 5.2 연구의 시사점 36
      • 5.3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41
      • 참고문헌 43
      • <국문초록> 55
      • <영문초록> 56
      • <부록>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