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리 내어 읽기와 계열 위치 효과가 아동의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reading aloud and serial position effects on children’s story reca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5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studies were conducted, which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ading aloud on children’s story recall. Forty-four children of six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study 1.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n the fi...

      Two studies were conducted, which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ading aloud on children’s story recall. Forty-four children of six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study 1.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n the first group, the child read a story aloud, whereas in the other group the child’s mother read a story to her.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reading aloud increased subsequent recall of the story as compared with when mothers read the story to their children. In study 2, eighty-four children of four, six, and eight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repeated story recalls according to child age, serial position effects (primacy, middle, recency), and reading condition (reading aloud vs. mothers reading to their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older children, and children who read aloud, showed superior recall. Recall also improved over repeated trials, and primacy and recency effects were revealed in all of three trial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attention and consolidation processes in the formation of memory trac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리 내어 읽기가 이야기 회상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만 6세 아동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아동 읽기)와 이야기 듣기(어머니 ...

      본 연구는 소리 내어 읽기가 이야기 회상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만 6세 아동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아동 읽기)와 이야기 듣기(어머니 읽기) 조건에서 기억 회상에 차이가 있는지, 또한 제시된 정보의 순서에 따라 회상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계열 위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소리 내어 읽기와 계열 위치 효과가 연령 및 반복 수행 횟수와 상호 작용할 때 회상 수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만 4, 6, 8세 아동을 두 읽기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 1과 마찬가지로 아동 읽기 조건에서는 어머니가 보여주는 책의 부분을 소리 내어 읽도록 하였으며, 글자를 잘 모르는 경우에는 어머니가 읽어주는 것을 아동이 따라 읽도록 하였다. 어머니 읽기 조건에서는 어머니가 책을 읽어주는 것을 듣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야기가 제시된 후, 아동들에게 책에 등장하는 7개의 동물 이름을 회상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수행을 세 차례 반복하였다. 연구 1과 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아동의 연령이 높을수록, 수행이 반복될수록 회상을 잘하였으며, 책을 소리 내어 읽은 아동들이 듣기만 한 아동들보다 회상 수행이 높았다. 또한 맨 처음과 맨 마지막에 제시된 동물들을 중간에 제시된 것들보다 더 잘 회상하는 계열 위치 효과가 나타났다. 수행이 반복될수록 중간에 제시된 동물들의 회상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직접 소리 내어 읽는 아동들은 이야기를 듣기만 한 아동들보다 중간 자극의 회상이 높았다. 즉, 수행이 반복될수록 계열 위치 효과에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소리 내어 읽기의 효과를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인지 수행을 증진시키는 책 읽기 방안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애경, "지연간격, 노출조건 및 인지발달수준에 따른 유아의 회상기억" 13 : 63-94, 1998

      2 고선희, "읽기 폭 과제로 측정한 정상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 (14): 303-312, 2009

      3 조미혜, "아동의 회상 수행, 조직화 책략및 상위기억간의 관계" 10 (10): 11-15, 1999

      4 이은주,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를 통한 단순조음음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음운기억 수행능력 비교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27-145, 2003

      5 김수연, "기억 흔적 강도와 사후 오정보의 특성이 아동의 회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1-16, 2002

      6 이대균, "글없는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139-163, 2007

      7 송영주, "글 처리과정에서 작업 기억 부담에 따른 유아의 이해 점검 수행" 18 (18): 197-214, 1998

      8 최영희,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언어유형과 영아의 반응" 한국놀이치료학회 8 (8): 61-73, 2005

      9 김신혜, "계열적 수행의 연령차와 인출 단서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7 (27): 141-158, 2014

      10 van Strien. J. W., "Verbal learning in boys with P-type dyslexia: L-type dyslexia and boys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duffereces in learning curves and in serial position curves" 5 (5): 145-153, 1999

      1 박애경, "지연간격, 노출조건 및 인지발달수준에 따른 유아의 회상기억" 13 : 63-94, 1998

      2 고선희, "읽기 폭 과제로 측정한 정상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 (14): 303-312, 2009

      3 조미혜, "아동의 회상 수행, 조직화 책략및 상위기억간의 관계" 10 (10): 11-15, 1999

      4 이은주,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를 통한 단순조음음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음운기억 수행능력 비교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27-145, 2003

      5 김수연, "기억 흔적 강도와 사후 오정보의 특성이 아동의 회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1-16, 2002

      6 이대균, "글없는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139-163, 2007

      7 송영주, "글 처리과정에서 작업 기억 부담에 따른 유아의 이해 점검 수행" 18 (18): 197-214, 1998

      8 최영희,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언어유형과 영아의 반응" 한국놀이치료학회 8 (8): 61-73, 2005

      9 김신혜, "계열적 수행의 연령차와 인출 단서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7 (27): 141-158, 2014

      10 van Strien. J. W., "Verbal learning in boys with P-type dyslexia: L-type dyslexia and boys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duffereces in learning curves and in serial position curves" 5 (5): 145-153, 1999

      11 Craik, F. I. M., "The role of rehearsal in short-term memory" 12 (12): 599-607, 1973

      12 Page, M., "The primacy model : a new model of immediate serial recall" 105 (105): 761-781, 1998

      13 Holdnack, J. A., "Speed of processing and verbal learning deficits in adults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8 (8): 282-292, 1995

      14 Peterson, L., "Short-term retention of individual verbal items" 58 (58): 193-198, 1959

      15 Karmiloff-Smith, A., "Rethinking metalinguistic awareness : representing and accessing knowledge about what counts as a word" 58 (58): 197-219, 1996

      16 Nelson, T. O., "Repetition and depth of processing" 16 (16): 151-171, 1977

      17 Ornstein, P. A., "Rehearsal and organizational processes in children’s memory" 46 : 818-830, 1975

      18 Capitani, E, "Recency, primacy, and memory : reappraising and standardising the serial position curve" 28 (28): 315-342, 1991

      19 Coltheart, M., "Models of reading aloud : dual-route and parallel-distributed-processing approaches" 100 (100): 589-608, 1993

      20 Güler, O. E., "Memory strategies and retrieval success in preschool children : Relations to maternal behavior over time" 11 (11): 159-184, 2010

      21 Brainerd, C. J., "Memory independence and memory interference in cognitive development" 100 : 42-67, 1993

      22 Poulton, E. C., "Memory after reading aloud and reading silently" 58 (58): 219-222, 1967

      23 Daneman, M.,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and reading" 19 : 450-466, 1980

      24 Pine, K. J., "Group collaboration effects and the explicitness of children’s knowledge" 13 : 109-126, 1998

      25 Worthy, J., "Fluency beyond the primary grades: From group performance to silent, independent reading" 334-343, 2001

      26 Brainerd, C. J., "Explaining ‘memory free’ reasoning" 3 : 332-339, 1992

      27 Byrne, B., "Dissociation of the recency effect and immediate memory span : evidence from beginning readers" 72 : 371-376, 1981

      28 Farrar, M. J., "Developmental changes in event memory" 63 (63): 173-187, 1992

      29 Cole, M., "Development of free recall learning in children" 4 (4): 109-123, 1971

      30 Yates, J. F., "Contingency judgment : Primacy effects and attention decrement" 62 (62): 293-302, 1986

      31 Geene, R. L., "A common basis for recency effects in meediate and depayed recall" 12 (12): 413-418,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5 2.085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