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경관계획 작성 단계별 평가 -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을 중심으로 - = The Assessment of the Landscape Planning Phase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Focused on the Landscape Planning of Development Sit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6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발대상지의 경관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관계획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계획항목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개발대상지 경관...

      본 연구는 개발대상지의 경관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관계획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계획항목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개발대상지 경관계획 수립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단계별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성취도는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t-test,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평가결과 계획단계 기존계획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3.813, 계획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는 5.648로 나타나, 그 중요도에 비해 기존 경관계획이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관계획 단계별로는 경관기본계획과 경관기본구상 등은 비교적 잘 수립되고 있으나 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과 경관자원조사는 경관계획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계획 단계 중에서는 미시적 경관계획이 중요도에 비해서 잘 진행되지 않아 보완이 필요하며,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 단계에서는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장소 디자인가이드라인 등의 보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기초로 진행하였으므로 설문응답자의 기존 경관계획에 대한 이해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점과 경관계획 계부항목 선정에 대한 구분이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성 도시경관계획과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의 계획요소 간 중요도 비교와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계획요소 및 작성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ccording to planning phases in a landscape planning system based on landscape law. An assessmen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ccording to planning phases in a landscape planning system based on landscape law. An assessmen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by planning phases was studied by statistically descriptive analysis, variation analysis, statistical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3.813 and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is 5.648. This means that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not sufficient to cover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In addition, 'sit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 sections are not sufficient when they are compared to 'landscape concept plan' and 'landscape basic plan' to complete the landscape planning projects required by landscape law. It means also that th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s should be complementarily practic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s the research is practiced by survey methods on landscape planning projects which are only new development sites, the results cannot represent all type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Nevertheless,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new landscape planning at new development sites or old cities to increase effectiven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현철,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의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연구 -중요도-성취도(IPA) 기법을 중심으로-" 5 (5): 169-188, 2003

      2 건설교통부, "신도시 경관계획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2004

      3 국토도시연구원, "생태환경계획 및 경관계획 수립 지표에 관한 연구" 2006

      4 이시영, "도시근린공원의 추구편익에 의한 중요-성취도 분석-대전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32 (32): 114-125, 2004

      5 국토연구원,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용도지역별 경관계획 기준 연구" 2003

      6 임화순, "관광목적지 매력속성에 따른 중요도-성취도 연구 : 일본 오키나와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1 (21): 177-190, 2006

      7 대한주택공사, "경관법 제정을 위한 연구" 2006

      8 건설교통부, "경관계획 수립방향 및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2007

      9 임현정,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 An application to festival study -"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7 (17): 117-136, 2005

      10 Martilla, J.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41): 77-79, 1977

      1 서현철,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의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연구 -중요도-성취도(IPA) 기법을 중심으로-" 5 (5): 169-188, 2003

      2 건설교통부, "신도시 경관계획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2004

      3 국토도시연구원, "생태환경계획 및 경관계획 수립 지표에 관한 연구" 2006

      4 이시영, "도시근린공원의 추구편익에 의한 중요-성취도 분석-대전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32 (32): 114-125, 2004

      5 국토연구원,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용도지역별 경관계획 기준 연구" 2003

      6 임화순, "관광목적지 매력속성에 따른 중요도-성취도 연구 : 일본 오키나와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1 (21): 177-190, 2006

      7 대한주택공사, "경관법 제정을 위한 연구" 2006

      8 건설교통부, "경관계획 수립방향 및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2007

      9 임현정,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 An application to festival study -"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7 (17): 117-136, 2005

      10 Martilla, J.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41): 77-79, 1977

      11 공기열, "IPA기법을 이용한 여가활동 평가" 대한관광경영학회 20 (20): 285-30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