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3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influences of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on Nursery teacher’s job stress and self-Efficacy. The research subjects are 14 Nursery teachers working in a private kindergarten in city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influences of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on Nursery teacher’s job stress and self-Efficacy.
      The research subjects are 14 Nursery teachers working in a private kindergarten in city ‘I’ and hope to join the research by getting highest scores in a job stress test. There were 7 experiment groups and 7 controlled groups. The preliminary inspection was conducted and except pre-post inspection,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was conducted 15 times every once in a week for 90 minutes, from March, 2014 to July, 2014.
      Task stress scale and self-Efficacy was used and t-test matching to sample was analyzed by using program SPSS 22.0. Also stress shown in PITR(Person In The Rain)and alternative resources of stress was used for comparison. Besides, in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test, differences in the self-Efficacy was analyzed by using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s(FEATS) and The Content Scale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may be concluded as following.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has given a positive effect on Nursery teacher’s job stress. Post experimental group’s job stress has diminished .786 since the average 3.305 has reduced to 2.519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t=12.47, p<.001). But controlled group’s job stress has diminished .121 due to average 3.125 reduced to 3.004 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t=0.35, p>.05). Also in experimental group’s PITR test, there were a lot of rain but stress coping resources was effective on relieving job stress.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ery teacher’s self-Efficacy. But after conducting group art therapy, it has increased .613 since the average 2.970 had changed into 3.583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t=-5.99, p<.01>). But controlled group’s self Efficacy has increased .077 since the average 3.119 had changed into 3.196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t=-.98, p>.05). Comparing the results of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s and the Contents Scales in experimental group’s PPAT test, the colors were only used to the edges and the quality of lines was unsteady with less energy. But it has been prov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give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due to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such as reaching the tools heading towards the apple tree, the number of colors used to the entire picture and descriptions of the environments have increased.

      The results may be conclud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gives a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by causing mental stabilities and interests in media. This research has its own significance since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edia is the program for reality therapy and makes the most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 media’s mental stabilities and interests. Besides, this research could help Nursery teacher’s healthy lif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nurturing. The research subjects are 14 Nursery teachers, so it has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Therefore in a follow-up study, considering the extent of the research is needed.


      *Keyword : Korean painting media, Group Art Therapy, Nursery Teacher, Job Stress, Self-Effic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I시에 소재한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

      본 연구는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I시에 소재한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로서 평상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느끼는 22명 중에 직무스트레스 검사 후 평균 점수 이상을 받은 연구 참여를 희망한 14명이다. 이 1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7명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전 검사를 통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고 연구는 2014년 3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주 1회 90분씩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15회기의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직무스트레스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고, SPSS 22.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질적분석을 위해서 PITR(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서 나타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의 대처자원을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는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The Content Scales)를 통하여 자기조절 효능감의 변화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 척도에 의한 사전·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사후 실험집단의 직무스트레스는 사전평균 3.305에서 사후평균 2.519로 직무스트레스가 .786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t=12.47, p<.001). 하지만 통제집단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변화를 살펴보면 사전평균 3.125에서 사후평균 3.004으로 .121의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0.35, p>.05). 또한 실험집단의 PITR에서는 사전에는 스트레스에 인한 비바람이 불고 많은 비를 표현하였으나 사후에는 비를 그린 면적이 줄어들고, 우산이나 주변 환경을 그리는 등 스트레스 대처자원을 활용하여 한국화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집단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은 사전평균 2.970에서 사후평균 3.583로 자기효능감이 .613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t=-5.99, p<.01>). 하지만 통제집단의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에 비하여 사전평균 3.119에서 사후평균 3.196으로 .077의 증가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98, p>.05). 또한 실험집단의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 형식척도와 내용척도를 사전·사후 비교해보면 사전에는 전체그림에 사용된 색이 테두리에만 채색되어 있거나 선의 질이 불안하고 산만하였고 사과나무를 향한 사람의 실질적인 에너지가 적었다. 하지만 사후에는 사과나무를 향한 도구를 가지거나 직접 따는 등 적극적인 태도의 변화와 전체적으로 사용된 색의 수나 주변 환경물의 묘사가 늘면서 사람의 실제적인 에너지 변화가 관찰되어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적인 안정과 매체에 대한 흥미를 유도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한국화매체의 정신적 안정과 흥미유발의 특성을 살리고 현실치료 기법을 이용한 프로그램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보육교사들의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더불어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I시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 14명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어 후속 연구에는 다양한 지역과 기관, 대상 등의 범위를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주제어 : 한국화매체, 집단미술치료,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제 2 절 연구 문제 4
      • 제 3 절 용어 정의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제 2 절 연구 문제 4
      • 제 3 절 용어 정의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제 1 절 보육교사 8
      • 제 2 절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13
      • 제 3 절 자기효능감 19
      • 제 4 절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23
      • 제 5 절 선행연구 29
      • 제 3 장 연구방법 35
      • 제 1 절 연구대상 35
      • 제 2 절 연구도구 40
      • 제 3 절 연구절차 46
      • 제 4 절 자료분석 54
      • 제 4 장 연구결과 56
      • 제 1 절 양적분석 56
      • 제 2 절 질적분석 68
      • 제 3 절 회기별 분석 95
      • 제 5 장 논의 139
      • 제 1 절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39
      • 제 2 절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42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146
      • 참고문헌 149
      • 부 록 162
      • Abstract 1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