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6053

      • 저자
      • 발행사항

        강릉 :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관동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0.18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Impact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 형태사항

        iv, 12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권형자
        참고문헌 : p.105-113

      • 소장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in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efficient education and thereby improving learners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as the three factors were the primary variables that determined the effect of home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and actualized well-round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60 students who included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in their fifth and sixth grades, and the middle schoolers were in their second and third yea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a Parenting Attitude Inventory(Oh Seong-sim?Lee Jong-seung, 1982), Academic Self-Efficacy Inventory(Kim Ah-yeoung?Park In-yeoung, 2001), Achievement-Goal Orientation Inventory(Hyeon Ju, et. al, 2005)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ventory(Kwoun Hyung-ja?Jung Jung-ae,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3.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group were obtained, and whether there were any intergroup gaps was investigated. A post-hoc comparison analysis was utilized, an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test and F-test were implemented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ce.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e study were as below:
      1.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gender.
      2.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3.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bling.
      4.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family environments.
      5,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6.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migh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and girls looked at the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of their parents in a little positive manner. But the parents of the bo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irls in hostile, controlling, irrational and achievement-oriented parenting styles, which were all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s for self-regulated learning by gender, the girls excelled the boys in that regard, which showed that the girls were more active and positive than the boys.
      Second, concerning parenting attitude by the grade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found their parents to be more affectionate and rational, and the middle schoolers considered their parents to be more hostile, nonachievement-oriented and irrational. The former was ahead of the latter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proved that the school children had more academic expectations and performed tasks better than the middle schoolers. In terms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the former was very excellent in mastery approach, and the latter scored higher in performance approach.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siblings, there was a broad gap in test preparation between the learners who had a sibling(s) and the others who hadn't. It seemed to indicate the psychology of the learners, which meant they were sensitive to school grades.
      Fourth, as to the impact of family environments, the students whose family environments were better found their parents to have a more positive parenting style, whereas those whose family environments were worse considered their parents to have a mor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e group from the upper classes had a better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e others from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As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re was a very significant gap in starting studying, keeping on studying and test prepar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nd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classes.
      Fifth,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a strong correlation to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It denoted that the positive thinking and selfregulation of the learners were closely linked to the parenting style of parents, and that their response depended on the parenting style of parents.
      Sixth, as for the parenting style of fathers, an achievement-oriented paternal attitude exercis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regulated learning, followed by affectionate one. In the event of mothers, an affectionate maternal attitude was most significantly influential, followed by achievement-oriented and autonomous styles.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mastery approach, followed by performance approach,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voidance.
      Thus, parenting styl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to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former three had an impact on the latter. It proved that learners should not merely be forced to study and get good school grades, and that motivation and target setting are crucial. In order to help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arners lead a more active and autonomous life at home and school,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from diverse angles. If necessary, parent educ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in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efficient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in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efficient education and thereby improving learners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as the three factors were the primary variables that determined the effect of home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and actualized well-round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60 students who included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in their fifth and sixth grades, and the middle schoolers were in their second and third yea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a Parenting Attitude Inventory(Oh Seong-sim?Lee Jong-seung, 1982), Academic Self-Efficacy Inventory(Kim Ah-yeoung?Park In-yeoung, 2001), Achievement-Goal Orientation Inventory(Hyeon Ju, et. al, 2005)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ventory(Kwoun Hyung-ja?Jung Jung-ae,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3.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group were obtained, and whether there were any intergroup gaps was investigated. A post-hoc comparison analysis was utilized, an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test and F-test were implemented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ce.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e study were as below:
      1.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gender.
      2.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3.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bling.
      4.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family environments.
      5,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6.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migh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and girls looked at the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of their parents in a little positive manner. But the parents of the bo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irls in hostile, controlling, irrational and achievement-oriented parenting styles, which were all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s for self-regulated learning by gender, the girls excelled the boys in that regard, which showed that the girls were more active and positive than the boys.
      Second, concerning parenting attitude by the grade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found their parents to be more affectionate and rational, and the middle schoolers considered their parents to be more hostile, nonachievement-oriented and irrational. The former was ahead of the latter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proved that the school children had more academic expectations and performed tasks better than the middle schoolers. In terms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the former was very excellent in mastery approach, and the latter scored higher in performance approach.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siblings, there was a broad gap in test preparation between the learners who had a sibling(s) and the others who hadn't. It seemed to indicate the psychology of the learners, which meant they were sensitive to school grades.
      Fourth, as to the impact of family environments, the students whose family environments were better found their parents to have a more positive parenting style, whereas those whose family environments were worse considered their parents to have a mor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e group from the upper classes had a better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e others from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As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re was a very significant gap in starting studying, keeping on studying and test prepar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nd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classes.
      Fifth,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a strong correlation to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It denoted that the positive thinking and selfregulation of the learners were closely linked to the parenting style of parents, and that their response depended on the parenting style of parents.
      Sixth, as for the parenting style of fathers, an achievement-oriented paternal attitude exercis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regulated learning, followed by affectionate one. In the event of mothers, an affectionate maternal attitude was most significantly influential, followed by achievement-oriented and autonomous styles.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mastery approach, followed by performance approach,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voidance.
      Thus, parenting styl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to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former three had an impact on the latter. It proved that learners should not merely be forced to study and get good school grades, and that motivation and target setting are crucial. In order to help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arners lead a more active and autonomous life at home and school,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from diverse angles. If necessary, parent educ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의 성취효과와 전인교육의 과제를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인인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 규명하여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적극적인 개선과 촉진 및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 필요한 교육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학생과 중학교 2, 3 학년 남?여학생 총 860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부모양육태도」(오성심?이종승, 1982),「학업적 자기효능감」(김아영?박인영, 2001),「성취목표지향성」(현주 외, 2005),「자기조절학습」(권형자?정정애, 2007)이다. 정리된 자료는 SPSS/WIN 13.0 Version으로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기초자료의 파악을 위해 각 집단별 연구변인들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차이분석과 사후검증 및 단순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가설과 관련 통계치들은 의미수준 p<.05에서 t검증과 F검증을 하였으며 설정된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3.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4.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가정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5.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6.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애정에서만 약간의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 이외에는 모두 부정적 하위요인인 적대, 통제, 비합리 비성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의 성별차이에서는 여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자기조절학습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능동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의 학교급별 차이 분석결과 애정과 합리에서는 초등학생이 높고, 적대, 비성취, 비합리는 중학생이 높게 분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에서 초등학생이 높게 분석된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업에 대한 기대감과 행동수행이 중학생보다 높다는 것을 입증해 준다. 성취목표지향성은 숙달접근에서 초등학생이 매우 높게 분석 되었으며, 수행접근은 중학생의 평균이 높게 분석되었다.
      셋째, 형제 수에 따른 차이분석은 형제가 있는 학습자의 경우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인 시험준비에서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성적에 민감해진 학습자들의 심리상태가 반영된 결과로 추측되어 진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결과 가정환경의 상집단은 긍정적인 하위요인에서 평균이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에 가정환경의 하집단은 부정적인 하위요인에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 하 집단에 비해 상집단이 높게 분석되었다. 자기조절학습의 분석결과는 상집단과 중집단, 상집단과 하집단별로 공부시작, 공부지속, 시험준비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학습 하위요인 간에는 밀접한 상관이 있다. 이것은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자기조절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매우 상관이 높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학습자의 반응도 매우 다르게 보여 주는 결과이다.
      여섯째, 부모양육태도 중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는 성취와 애정의 순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는 애정, 성취, 자율의 순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에서는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행회피 순으로 자기조절학습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에 매우 밀접한 관련과 영향력을 시사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자들에게 획일적인 공부와 성적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내적인 동기부여와 목표설정이 더욱 중요함을 입증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초ㆍ중학교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의 향상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교육과 상담을 통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학습자들의 이해와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도와 주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써 많은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바람직한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고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효과적인 발달에 적극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의 성취효과와 전인교육의 과제를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인인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와 영향력을 ...

      본 연구는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의 성취효과와 전인교육의 과제를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인인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 규명하여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적극적인 개선과 촉진 및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 필요한 교육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학생과 중학교 2, 3 학년 남?여학생 총 860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부모양육태도」(오성심?이종승, 1982),「학업적 자기효능감」(김아영?박인영, 2001),「성취목표지향성」(현주 외, 2005),「자기조절학습」(권형자?정정애, 2007)이다. 정리된 자료는 SPSS/WIN 13.0 Version으로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기초자료의 파악을 위해 각 집단별 연구변인들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차이분석과 사후검증 및 단순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가설과 관련 통계치들은 의미수준 p<.05에서 t검증과 F검증을 하였으며 설정된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3.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4.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가정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5.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6.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애정에서만 약간의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 이외에는 모두 부정적 하위요인인 적대, 통제, 비합리 비성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의 성별차이에서는 여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자기조절학습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능동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의 학교급별 차이 분석결과 애정과 합리에서는 초등학생이 높고, 적대, 비성취, 비합리는 중학생이 높게 분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에서 초등학생이 높게 분석된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업에 대한 기대감과 행동수행이 중학생보다 높다는 것을 입증해 준다. 성취목표지향성은 숙달접근에서 초등학생이 매우 높게 분석 되었으며, 수행접근은 중학생의 평균이 높게 분석되었다.
      셋째, 형제 수에 따른 차이분석은 형제가 있는 학습자의 경우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인 시험준비에서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성적에 민감해진 학습자들의 심리상태가 반영된 결과로 추측되어 진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결과 가정환경의 상집단은 긍정적인 하위요인에서 평균이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에 가정환경의 하집단은 부정적인 하위요인에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 하 집단에 비해 상집단이 높게 분석되었다. 자기조절학습의 분석결과는 상집단과 중집단, 상집단과 하집단별로 공부시작, 공부지속, 시험준비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학습 하위요인 간에는 밀접한 상관이 있다. 이것은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자기조절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매우 상관이 높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학습자의 반응도 매우 다르게 보여 주는 결과이다.
      여섯째, 부모양육태도 중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는 성취와 애정의 순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는 애정, 성취, 자율의 순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에서는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행회피 순으로 자기조절학습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에 매우 밀접한 관련과 영향력을 시사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자들에게 획일적인 공부와 성적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내적인 동기부여와 목표설정이 더욱 중요함을 입증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초ㆍ중학교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의 향상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교육과 상담을 통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학습자들의 이해와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도와 주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써 많은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바람직한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고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효과적인 발달에 적극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6
      • 3. 연구의 제한점 = 7
      • Ⅱ. 이론적 배경 = 8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6
      • 3. 연구의 제한점 = 7
      • Ⅱ. 이론적 배경 = 8
      • 1. 부모양육태도 = 8
      • 2. 학업적 자기효능감 = 11
      • 3. 성취목표지향성 = 15
      • 4. 자기조절학습 = 18
      • 5. 선행연구의 고찰 = 22
      • 6. 연구가설의 설정 근거 = 34
      • Ⅲ. 연구 방법 = 38
      • 1. 연구 대상 = 38
      • 2. 연구 도구 = 39
      • 3. 자료 처리 = 44
      • Ⅳ. 가설검증 및 해석 = 46
      • 1.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의 성별 차이분석 = 46
      • 2.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의 학교급별 차이분석 = 49
      • 3.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의 형제 수별 차이분석 = 52
      • 4.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의 가정환경별 차이분석 = 55
      • 5.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상호상관 분석 = 59
      • 6.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62
      • Ⅴ. 논의 = 80
      • Ⅵ. 요약 및 결론 = 88
      • 1. 요약 = 88
      • 2. 결론 = 98
      • 3. 제언 = 104
      • 참고문헌 = 105
      • ABSTRACT = 114
      • 부록 = 1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hild development(6th ed.), Santrock, Child Development (6th ed.), , 1994

      2.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박영신, 김의철, 양계민, , 2003

      3. 자기조절학습 검사 도구, 정정애, 권형자, , 2007

      4. Challenges of personal adjustment, Coe, William C, Rinehart Press, Challenges of Personal Adjustment, , 1972

      5.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Winne, Perry,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 2000

      6.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김아영, 한국교육평가학회, 한국학술진흥재단 선도연구자 지원사업 결과보고용 상세보고서, , 2002

      7. Self-Effecacy: The exercise of control, Bandura, , 1997

      8.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관계, 김용래, 김태은, 홍익대학교, , 2002

      9.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well-being, Kaplan, Maehr,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well-being, , 1999

      10.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Schunk,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 1989

      1. Child development(6th ed.), Santrock, Child Development (6th ed.), , 1994

      2.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박영신, 김의철, 양계민, , 2003

      3. 자기조절학습 검사 도구, 정정애, 권형자, , 2007

      4. Challenges of personal adjustment, Coe, William C, Rinehart Press, Challenges of Personal Adjustment, , 1972

      5.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Winne, Perry,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 2000

      6.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김아영, 한국교육평가학회, 한국학술진흥재단 선도연구자 지원사업 결과보고용 상세보고서, , 2002

      7. Self-Effecacy: The exercise of control, Bandura, , 1997

      8.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관계, 김용래, 김태은, 홍익대학교, , 2002

      9.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well-being, Kaplan, Maehr,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well-being, , 1999

      10.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Schunk,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 1989

      11.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 1991

      12. 효과적인수업을 위한 교육심리학, 김용례, , 2000

      13. LASSI: Learning andStudy Strategies Inventory, Palmer, Weinstein, , 1987

      14. 정서지능과 관련변인들의 인과분석, 김태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 2003

      15. 한국형 자아정체검사의 타당화 연구, 박아청, , 2003

      16. 목표지향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분석, 백규한, , 2002

      17. Classroom: Goals, structure, and student motivation, van Eemeren, "Classroom: Goals, , 1992

      18. Human motivation : metaphors, theories, and research, Weiner, Bernard, Sage, "Human motivation: Metaphors, , 1992

      19.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양명희, , 2000

      20.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motivational and Personality, Dweck, Leggett, , 1988

      21. LISREL을 이요한 자기조절학습의 개념화 연구, 양명희, 황정규, , 2002

      22.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Zimmerman,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achievement, , 1989

      23.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아영, 박인영,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 2001

      24. self-regulation of ubiquitous but its forms very withknowledge, Winne, , 1995

      25. 성인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상훈, , 2002

      26. The One Child Family in China: The Need forPsychosocial Research, Ching, , 1982

      27.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 훈련 및 효과분석, 최옥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충남대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2006

      28.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직업가치 추구, 김영빈, 선혜연, 황매향, 한국상담학회, , 2007

      29. 자기조절학습의 발달을 위한 동기적 요인의 역할, 박승호,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 2003

      3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achievement on college students, Harris, Linder, , 1992

      31.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Bandura, Albert, Prentice-Hall, , 1986

      32.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Church, Ellot, , 1997

      33. Motivational and iearning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de Groot, Pintrich, , 1990

      34.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박성윤, 淑明女子大學校, "교육심리연구, , 1999

      35. Inherent details of self-regulated learninginclude student perceptions, Schunk, Inherent detail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cludestudent perceptions, , 1995

      36. Self-Regulated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perspective, Schunk D.H., Zimmerman B.J, , 2001

      37.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조절학습 검사의 타당화 연구, 정미경,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 2002

      38. Developmental aspects of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Newman, Paris, , 1990

      39.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화, 박병기, 김진아, 김세라, , 2007

      40.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미술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은진, , 2004

      41. 청소년의 가정환경변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화연, , 2006

      42. Making the grade : a self-worth perspective on motivation and school reform, Covington, Martin V.,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king the Grade: A self-worth Perspective onmotivation and school reform, , 1992

      43.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Hoyle, Meece, Blumenfeld, Student's goalorient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activities, , 1988

      44.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경험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 오영희, , 2007

      45. 초·중등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정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5

      46.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오성심, 이종승, , 1982

      47. The anerage expectable environment is not goodenough: A response to Scarr, Child, Baumrind, "The anerage expectable environment is not goodenough: A response to Scarr, , 1993

      48.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비교 연구, 김미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6

      49. 자기효능감, 과제 선택범위 및 경쟁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효과, 김성일, 오미진, "자기효능감, , 2007

      50. 학업능력 자아개념과 본질동기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박성은, 학업능력자아개념과 본질동기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2004

      51. 자기조절 학습이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구인수, 전북대학교 대학원,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6

      52.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Ajzen, Fishbein, "Belief, , 1975

      5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연구, 홍성매,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5

      54.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diational analysis, Elliott, Harackiewicz, , 1996

      55.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현주 ( Ju Hyun ), 차정은 ( Jung Eun Cha ), 김태은 ( Tae Eun Kim ), 한국교육심리학회, , 2006

      56. Self-regulated learning: Bridging the gap betweenmetacognitive and metamotivation theorise, Boekaerts, , 1997

      57.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Only-ChildLiterature: Research evidence and Theory Development, Falbo, Polit, , 1986

      58. Cultvating Competence, Self-Effecacy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Bandura, Schunk, "Cultvating Competence, , 1981

      59. 자기조절학습과 목표지향성,내재적 동기 및 능력지각간의 관계 분석, 권오수, "자기조절학습과 목표지향성, , 2004

      60.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비합리적 신념간의 관계, 황애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2

      61.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유능감 지각 정도에 따른 도움구하기 태도 분석, 이은숙, 韓國敎員大學校, , 1999

      62. 자기조절능력, 스트레스, 정서지능이 학습동기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동훈,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6

      63. 설명문 이해와 모니터링과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계, 윤치헌, , 2004

      64. Parents' management of preschooler's peer relation: Is it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Ladd, Gotler, , 1988

      65. 자기조절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명규, 전북대학교, , 2001

      66.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지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미치는 효과, , 2000

      67. 자기효능감, 학교학습동기, 사회적 지지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재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자기효능감, , 2004

      68.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부모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진도,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69.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warmth and controlon the self-evaluation of Puert Rican adolescentmales, Saavedra, , 1980

      70.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영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6

      71. 초등학교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조승우, 김아영, 초등학교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사용 및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 1998

      72.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독해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봉갑요,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독해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독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 2004

      73. 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수학적 태도와 수학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 이진영, , 2004

      74.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주 ( Eun Joo Kim ),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 연구, , 2007

      75.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의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 임선화, 임선화, 관동대학교, 관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6

      76.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Zimmermman, Pons, "Student Differences in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 1990

      77. 학습동기, 귀인성향, 학습시간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및 이 변인들이 후속성취기대에 미치는 영향, 권형자,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습동기, , 1992

      78.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of socioeconomic disadvanage, life stress, and socialsupport on early adolescent adjustment, Dubois, Felner,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of socioeconomic disadvanage, , 1994

      79. MBTI를 활용한 적극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 ,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