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hild development(6th ed.), Santrock, Child Development (6th ed.), , 1994
2.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박영신, 김의철, 양계민, , 2003
3. 자기조절학습 검사 도구, 정정애, 권형자, , 2007
4. Challenges of personal adjustment, Coe, William C, Rinehart Press, Challenges of Personal Adjustment, , 1972
5.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Winne, Perry,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 2000
6.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김아영, 한국교육평가학회, 한국학술진흥재단 선도연구자 지원사업 결과보고용 상세보고서, , 2002
7. Self-Effecacy: The exercise of control, Bandura, , 1997
8.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관계, 김용래, 김태은, 홍익대학교, , 2002
9.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well-being, Kaplan, Maehr,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well-being, , 1999
10.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Schunk,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 1989
11.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 1991
12. 효과적인수업을 위한 교육심리학, 김용례, , 2000
13. LASSI: Learning andStudy Strategies Inventory, Palmer, Weinstein, , 1987
14. 정서지능과 관련변인들의 인과분석, 김태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 2003
15. 한국형 자아정체검사의 타당화 연구, 박아청, , 2003
16. 목표지향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분석, 백규한, , 2002
17. Classroom: Goals, structure, and student motivation, van Eemeren, "Classroom: Goals, , 1992
18. Human motivation : metaphors, theories, and research, Weiner, Bernard, Sage, "Human motivation: Metaphors, , 1992
19.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양명희, , 2000
20.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motivational and Personality, Dweck, Leggett, , 1988
21. LISREL을 이요한 자기조절학습의 개념화 연구, 양명희, 황정규, , 2002
22.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Zimmerman,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achievement, , 1989
23.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아영, 박인영,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 2001
24. self-regulation of ubiquitous but its forms very withknowledge, Winne, , 1995
25. 성인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상훈, , 2002
26. The One Child Family in China: The Need forPsychosocial Research, Ching, , 1982
27.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 훈련 및 효과분석, 최옥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충남대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2006
28.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직업가치 추구, 김영빈, 선혜연, 황매향, 한국상담학회, , 2007
29. 자기조절학습의 발달을 위한 동기적 요인의 역할, 박승호,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 2003
3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achievement on college students, Harris, Linder, , 1992
31.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Bandura, Albert, Prentice-Hall, , 1986
32.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Church, Ellot, , 1997
33. Motivational and iearning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de Groot, Pintrich, , 1990
34.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박성윤, 淑明女子大學校, "교육심리연구, , 1999
35. Inherent details of self-regulated learninginclude student perceptions, Schunk, Inherent detail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cludestudent perceptions, , 1995
36. Self-Regulated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perspective, Schunk D.H., Zimmerman B.J, , 2001
37.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조절학습 검사의 타당화 연구, 정미경,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 2002
38. Developmental aspects of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Newman, Paris, , 1990
39.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화, 박병기, 김진아, 김세라, , 2007
40.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미술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은진, , 2004
41. 청소년의 가정환경변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화연, , 2006
42. Making the grade : a self-worth perspective on motivation and school reform, Covington, Martin V.,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king the Grade: A self-worth Perspective onmotivation and school reform, , 1992
43.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Hoyle, Meece, Blumenfeld, Student's goalorient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activities, , 1988
44.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경험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 오영희, , 2007
45. 초·중등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정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5
46.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오성심, 이종승, , 1982
47. The anerage expectable environment is not goodenough: A response to Scarr, Child, Baumrind, "The anerage expectable environment is not goodenough: A response to Scarr, , 1993
48.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비교 연구, 김미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6
49. 자기효능감, 과제 선택범위 및 경쟁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효과, 김성일, 오미진, "자기효능감, , 2007
50. 학업능력 자아개념과 본질동기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박성은, 학업능력자아개념과 본질동기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2004
51. 자기조절 학습이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구인수, 전북대학교 대학원,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6
52.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Ajzen, Fishbein, "Belief, , 1975
5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연구, 홍성매,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5
54.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diational analysis, Elliott, Harackiewicz, , 1996
55.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현주 ( Ju Hyun ), 차정은 ( Jung Eun Cha ), 김태은 ( Tae Eun Kim ), 한국교육심리학회, , 2006
56. Self-regulated learning: Bridging the gap betweenmetacognitive and metamotivation theorise, Boekaerts, , 1997
57.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Only-ChildLiterature: Research evidence and Theory Development, Falbo, Polit, , 1986
58. Cultvating Competence, Self-Effecacy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Bandura, Schunk, "Cultvating Competence, , 1981
59. 자기조절학습과 목표지향성,내재적 동기 및 능력지각간의 관계 분석, 권오수, "자기조절학습과 목표지향성, , 2004
60.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비합리적 신념간의 관계, 황애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2
61.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유능감 지각 정도에 따른 도움구하기 태도 분석, 이은숙, 韓國敎員大學校, , 1999
62. 자기조절능력, 스트레스, 정서지능이 학습동기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동훈,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6
63. 설명문 이해와 모니터링과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계, 윤치헌, , 2004
64. Parents' management of preschooler's peer relation: Is it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Ladd, Gotler, , 1988
65. 자기조절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명규, 전북대학교, , 2001
66.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지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미치는 효과, , 2000
67. 자기효능감, 학교학습동기, 사회적 지지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재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자기효능감, , 2004
68.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부모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진도,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69.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warmth and controlon the self-evaluation of Puert Rican adolescentmales, Saavedra, , 1980
70.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영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6
71. 초등학교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조승우, 김아영, 초등학교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사용 및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 1998
72.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독해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봉갑요,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독해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독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 2004
73. 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수학적 태도와 수학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 이진영, , 2004
74.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주 ( Eun Joo Kim ),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 연구, , 2007
75.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의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 임선화, 임선화, 관동대학교, 관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6
76.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Zimmermman, Pons, "Student Differences in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 1990
77. 학습동기, 귀인성향, 학습시간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및 이 변인들이 후속성취기대에 미치는 영향, 권형자,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습동기, , 1992
78.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of socioeconomic disadvanage, life stress, and socialsupport on early adolescent adjustment, Dubois, Felner,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of socioeconomic disadvanage, , 1994
79. MBTI를 활용한 적극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 ,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