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서산시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침수 취약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09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서산시의 토지피복 변화를 탐지하고, IPCC SRES 시나리오와 고해수면 복원자료를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토지피복별 침수 취약성을 평가...

      본 연구는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서산시의 토지피복 변화를 탐지하고, IPCC SRES 시나리오와 고해수면 복원자료를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토지피복별 침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서산시는 1982년부터 2009년 기간에 논의 면적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이밖에 인공구조물, 수역, 나대지, 초지 순이다. 반면, 갯벌 및 산림지, 해양, 밭, 습지는 감소하였다. 서산시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면적을 산출한 결과, 인공구조물과 수역 등은 침수 피해 면적이 증가하는 반면, 산림지, 습지, 밭 등은 침수 피해 면적이 감소하였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위험성을 평가하면, 가장 피해가 먼저 발생하는 곳은 담수호와 농경지 및 연안에 인접한 산업단지 지역이다. 따라서 향후 서산시는 해수면 상승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지역 단위 및 토지피복 유형별로 중장기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지역 및 방법, 사용자료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지역 및 방법, 사용자료
      • 3. 연구결과
      • 4. 결론
      • 사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영, 198-199, 2006

      2 손창배,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선의 잠재적 후퇴거리 산정" 11 : 34-40, 1999

      3 申東赫, "한국 서해안 가로림만 조간대 퇴적환경과 홀로세 해수면 변동" 仁荷大學校 大學院 1998

      4 장동호, "지형도와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태안반도 지역의 해안선 변화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0 (20): 57-70, 2010

      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Ⅱ" 2002

      6 황상일, "일산충적평야의 홀로세 퇴적환경 변화와 해면변동" 33 (33): 143-163, 1998

      7 강주환,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 대한토목학회 25 (25): 151-158, 2005

      8 정혜란, "사천만 지역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지도 작성" 기후연구소 6 (6): 143-158, 2011

      9 하경자, "복합위성자료(Topex/Poseidon, Jason-1, ERS, Envisat)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수면 고도 변화와 해수면 온도의 상관성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2 (22): 519-531, 2006

      10 Mercer, J. H., "The discontinuous glacio-eustatic fall in tertiary sea level" 5 (5): 77-85, 1968

      1 최진영, 198-199, 2006

      2 손창배,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선의 잠재적 후퇴거리 산정" 11 : 34-40, 1999

      3 申東赫, "한국 서해안 가로림만 조간대 퇴적환경과 홀로세 해수면 변동" 仁荷大學校 大學院 1998

      4 장동호, "지형도와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태안반도 지역의 해안선 변화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0 (20): 57-70, 2010

      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Ⅱ" 2002

      6 황상일, "일산충적평야의 홀로세 퇴적환경 변화와 해면변동" 33 (33): 143-163, 1998

      7 강주환,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 대한토목학회 25 (25): 151-158, 2005

      8 정혜란, "사천만 지역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지도 작성" 기후연구소 6 (6): 143-158, 2011

      9 하경자, "복합위성자료(Topex/Poseidon, Jason-1, ERS, Envisat)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수면 고도 변화와 해수면 온도의 상관성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2 (22): 519-531, 2006

      10 Mercer, J. H., "The discontinuous glacio-eustatic fall in tertiary sea level" 5 (5): 77-85, 1968

      11 Shriner, D. S., "The Regional Impacts of Coastal Research" Cambridge Univ. Press 1998

      12 Poulter, B., "Sea-level rise research and dialogue in North Carolina: Creating windows for policy change" 52 : 147-153, 2009

      13 Chust, G., "Regional scenarios of sea level rise and impacts on Basque(Bay of Biscay) coastal habitats, throughout the 21st century, Estuarine" 87 : 113-124, 2010

      14 Nicholls, R. J., "Increasing flood risk and wetland losses due to global sea-level rise: regional and global analyses" 9 : 69-87, 1999

      15 Maria, S., "Impacts of sea-level rise on the Moroccan coastal zone: Quantifying coastal erosion and flooding in the Tangier Bay" 107 : 32-40, 2008

      16 Bloom, A. L., "Holocene sea-level history and tectonic movements, Republic of Korea" 24 : 77-84, 1985

      17 Pethick, J., "Coastal management and sea-level rise" 42 : 307-322, 2001

      18 Perez, R. T., "Climate change impacts and responses in the Philippines coastal sector" 12 : 97-107, 1999

      19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0 Houghton, J. T., "Climate Change 199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 Press 1996

      21 Schirmer, M.,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eser estuary reg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18 : 133-140, 2001

      22 Gornitz V., "A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recent and late Holocene sea-level trends from eastern North America and other selected regions" 17 : 287-297,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7 0.96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