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체육전공 대학생의 좋은 일자리 개념 인식과 결정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9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후속 체육전공자들이 진출할 일자리의 질적인 측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실업의 문제를 체육전공자들이 진출할 체육계 ...

      본 연구는 후속 체육전공자들이 진출할 일자리의 질적인 측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실업의 문제를 체육전공자들이 진출할 체육계 진로로 약간의 방향을 전환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체육전공자들의 고용의 질이나 고용의 지속성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는 우선, 체육전공 취업준비생이 어떠한 일자리 유형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다음 좋은 일자리에 관한 인식과 일자리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체육계 진출을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이 선호하는 일자리에 대해 탐색하는 작업은 고용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한 사회적 척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용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반 제도와 정책의 지침으로써의 의미도 지니며 이러한 탐색의 결과에 근거한 직업훈련이나 직장체험 등의 수요차원의 프로그램의 개발은 물론이며 근무여건과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함의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Q방법론은 개인이 스스로 인식하고 구성하는 이론에 큰 비중을 두는 자기 참조적인 성격을 지니므로, 다양한 의견이나 견해, 가치발견에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Q방법론은 개인의 잠재적 행위인 주관적 자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고안되어 인간의 주관성 구조에 따른 각 유형별 특성 이해가 가능하므로(김흥규, 2008), 본 연구는 Q방법론이 체육전공자의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에 적합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적절할 것이라 판단하여 선택하였다. 즉, 본 연구는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의 주관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좋은 일자리에 대한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인식은 5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각각의 유형은 P 표본이 좋은 일자리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가치관에 따라 유사한 인식을 가진 사람들끼리 구분되기 때문에 유형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각 유형별로 50명의 연구대상 중에 제 1유형: 적성과 흥미 추구형에 속한 연구대상은 10명, 제 2유형 창의성 및 자율성 추구형은 5명, 제 3유형 적절한 임금과 자율성 추구형은 22명, 제 4유형 사회적 지위와 명예 추구형은 8명, 그리고 제 5 유형 대인관계 추구형은 5명으로 나타났다.

      제 1유형은 좋은 일자리가 경제적으로 보상이 충분하거나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일은 하는 것도 좋지만, 다른 무엇보다 직업은 자신이 가장 하고 싶어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제 1유형을 ‘흥미와 적성 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제 2 유형은 자신의 일이 다른 사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Good Job”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graduates. Youth unemployment has been an issue in Korean society and we can examine this phenomenon from the side of th...

      A Study o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Good Job”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graduates. Youth unemployment has been an issue in Korean society and we can examine this phenomenon from the side of the physical education graduates. For this, research on the job reference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s should be preceded before we discuss on the sustainable job market for them. Then we coul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job types and their recognition on the good position. We employed Q methodology to examine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n the good positions to formulate a compatible measure. The recognition of participants on good job position was subcategorized into 5 types such as Aptitude and Interest Type, Creativity and Autonomy Type, Proper wage and Autonomy Type, Social status and Honor Type, and Personal relation Typ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50 physical education graduates in tota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