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약물대사기반연구사업단, 2011 = Fundamental Study of Drug Metabo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0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람의 유전형, 식이 및 환경에 의해 다양성에 차이를 보이는 장내미생물총은 식품, 의약품 등의 대사반응에 차이를 나타내므로, 약물대사기반연구사업단은 한국인의 장내미생물총을 분석...

      사람의 유전형, 식이 및 환경에 의해 다양성에 차이를 보이는 장내미생물총은 식품, 의약품 등의 대사반응에 차이를 나타내므로, 약물대사기반연구사업단은 한국인의 장내미생물총을 분석하고, 그 대사활성을 분석하고, 식품, 의약품 등의 대사체를 분석하고, 그 화합물들의 독성을 평가하고, 무균동물을 이용하여 이의 대사반응에 장내세균총의 역할을 분석하여, in vitro에서 독성평가등에 활용할 수 있는 fecalase 또는 이를 활용한 intestinal microbial enzyme mix를 제조하며, 이를 결과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사업를 수행함
      (1중단위과제)
      ● 장내미생물 배양기술 확립 및 대사체 분석법 개발 : arbutin, puerarin, baicalin 등을 수행함
      ● 장내미생물 대사체의 면역독성 평가 : 마우스 비장세포 배양에서 B- 및 T-cell mitogenicity 평가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세포독성 및 세포사멸 평가기술 개발 : 장내세균효소복합체(fecalase)와 장내미생물 대사효소계(intestinal microbial enzyme mix)를 이용한 세포독성, ROS, Bcl-2 family, caspase-3, apoptosis 등의 독성 평가기술을 개발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유전독성 평가기술 개발 : p53 유전자 발현 관련 독성평가기술, 8-oxoguanine glycosylase 발현을 이용한 유전독성 평가기법, Comet 시험 그리고 in vitro 소핵 생성시험 기술 개발
      ● 장내미생물을 이용한 면역독성 평가기술 개발 : COX-2 유전자 발현 및 COX-2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조절인자인 NF-κB, AP-1의 활성 평가기술을 장내미생물 대사와 접목하여 개발
      ● 건강 한국인 성인 235인의 분변 미생물 기원 β-glucuronidase, β-glucosidase 등 21개 효소활성을 분석 : 개인의 효소활성은 다양하였으나, 성별, 연령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음
      ● Ginsenoside Rb1 등 12개 의 천연 기질 및 의약품에 대한 fecalase 활성, 기질특이성, 대사반응분석 : 개인의 효소활성은 다양하였으나, 성별, 연령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음
      ● 한국인 성인 장내세균총의 대사반응계인 표준 fecalase 활성 제조방법 및 기준 설정 : 한국인 장내 미생물 대사활성의 표준화를 위하여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평균활성 도출 및 평균활성을 한국인 표준으로 설정함
      ...[중략] 원문참조○ 연구목표
      ◦ 장내미생물 배양법을 이용한 미생물 대사체 독성 평가시험법의 개발
      ◦ 한국인(50인 이상) 분변미생물의 합성기질, 천연성분의 대사활성 분석
      ◦ 합성기질, 천연물성분(의약품 포함)에 대한 fecalase의 기질 특이성, 한국인 성인 표준 fecalase 대사활성 설정 및 표준 대사활성을 갖는 fecalase 제조방법에 관한 SOP 작성
      ◦ 장내미생물을 이용한 in vivo 대사독성 평가모델 정립
      ◦ 합성기질 및 천연성분의 대사활성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분석하여 fecalase를 대신할 수 있는 약물대사효소계(intestinal microbial enzyme mix)의 제조
      ○ 연구내용
      장내미생물 배양법을 이용한 미생물 대사체 독성 평가시험법 개발
      - 장내미생물 배양기술 확립 및 대사체 분석법 개발
      - Fecalase 및 intestinal microbial enzyme mix를 이용한 대사체 독성평가 기술개발
      - 장내미생물 대사체의 면역독성 평가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세포독성 및 세포사멸 평가기술 개발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유전독성 평가기술 개발
      ...[중략] 원문참조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To investigate the role of metabolism by intestinal microflora in the biological action of the ingredients of foods, drugs, herbs, etc, a variety of in vitro and in vivo test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the studies on intestinal m...

      ● To investigate the role of metabolism by intestinal microflora in the biological action of the ingredients of foods, drugs, herbs, etc, a variety of in vitro and in vivo test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the studies on intestinal microbiome and its metabolic activity for Korean were standardized.
      ● Methods to culture intestinal bacteria and to analyze the metabolites produced by bacteria were developed: Arbutin, puerarin, and baicalin.
      ● Immunotoxicity testings following metabolism by intestinal bacteria were developed using B- and T-cell mitogenicity in spleen cells isolated from normal mice
      ● Cytotoxicity and apoptosis testing of intestinal microbial metabolites were developed: Human intestinal preparation, so called fecalase, and intestinal microbial enzyme mix were employed for developing the methods of testing cytotoxicity, ROS, Bcl-2 family, caspase-3, and apoptosis.
      ● Genotoxicity testing of intestinal microbial metabolites were developed: p53 gene expression, 8-oxoguanine glycosylase exdpression, Comet assay and in vitro micronucleus test were applied.
      ● Immunotoxicity testing of intestinal microbial metabolites were developed: COX-2 gene expression and 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NF-κB and AP-1 were used to develop new testing methods.
      ● Criteria determination of selecting healthy Korean adult for preparation and standardization of fecalase activity was done.
      ● Sampling and preparation of fecalase from healthy Korean volunteers were performed.
      ● Analyses of more than 10 kinds of enzyme activities of prepared fecalase from health volunteers were done, including β-glucuronidase, β-glucosidase, and arylsulfate sulfotransferase. The resul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standardization.
      ● Determination of fecalase activity, substrate specificity and metabolic properties of more than 10 natural products and drugs were done including ginsenoside Rb1: Throught the study, possible roles of microbial metabolism of such drugs in their actions were also investigated.
      ● Standardization of Korean fecalase activities and preparation of standardized fecalase: From the collected data on more than 100 Korean volunteers, the fecalase activities were standardized. In addition, the standardized preparation were tested in the metabolism of drugs and toxic compounds.
      ...[중략] 원문참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