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방사선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세포고사에 대한 Cysteamine의 효과 = The Effects of Cysteamine on the Radiation-Induced Apopt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35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의 경로와 방사선보호제의 일종인 cysteamine (${\beta}$-mercaptoethylamine)이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HL-60 세포주...

      목적 :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의 경로와 방사선보호제의 일종인 cysteamine (${\beta}$-mercaptoethylamine)이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HL-60 세포주를 대상으로 대조군, 방사선조사군, cysteamine 전처치군(1 mM, 10 mM) 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하였다. 방사선은 6 MV로 10 Gy 일회 조사하였고, cysteamine은 방사선조사 1시간 전에 처치하였다. 세포고사의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조군과 방사선조사군에서 Caspase딕의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세포고사에 대한 cysteamine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사선조사 후 1.5, 3, 6, 24시간에서 각 실험군의 생존 세포 수, caspase-3 의 발현과 활성도, poly (ADP-rlbose) polymerase (PAHP)의 발현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세포사망수용체에 의한 세포고사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Caspase겨의 귿성도는 방사선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생존 세포 수는 방사선조사 6시간 후부터 감소되었는데(p>0.05), 1 mM cysteamine 전처치군에서는 감소되지 않고 대조군과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세포고사의 실행 단계라고 알려진 Caspase-3의 발현은 각 실험군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활성도는 방사선조사 후에 증가되었고(P>0.05) 1 mM cysteamlne 전처치에 의해 증가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Caspase-3의 활성에 의해 발생되는 PARP 분해산물(24 kD)의 발현이 방사선조사 후에 관찰 되었는데, 1 mM cysteamine 전처치군에서는 발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는 세포사망수용체에 의한 세포고사와는 다른 경로를 거치고, 1 mM cysteamine 전 처치는 방사선조사에 의한 세포고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o Investigate the pathways of radiation induced apoptosls and the effect of cysteamine (${\beta}$-mercaptoethyiamine), as a radioprotector, on it. Materials and Methods : HL-50 ceils were assigned to control, irradiated, and cysteamlne (1 m...

      Purpose : To Investigate the pathways of radiation induced apoptosls and the effect of cysteamine (${\beta}$-mercaptoethyiamine), as a radioprotector, on it. Materials and Methods : HL-50 ceils were assigned to control, irradiated, and cysteamlne (1 mM, 10mM) pretreated groups. Irradiation was given In a single fraction of 10 Gy (6 MV x-ray) and cysteamine was administered 1 hour before irradiation. The activities of caspase-8 were measured in control and irradiated group to evaluate its relation to the radiation Induced apoptosis. To evaluate the role of cysteamine In radiation Induced apoptosis, the number of viable cells,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caspase-3, and the expression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were measured and compared after irradiating the HL-60 celis with cysteamine pretreatment or not. Results : The intraceliular caspase-8 activity, known to be related to the death receptor induced apoptosis, was not affected by irradiation(p>0.05). The number of viable cells began to decrease from 6 hours after irradiation (p>0.05), but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1 mM cysteamine pretreated group was not decreased after irradiation and was similar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aspase-3 analyses, known as apoptosis executioner, its expression was not different but its activity was Increased by irradiation(p>0.05). However, this Increase of activity was suppressed by the pretreatment of 1 mM cysteamine. The cleavage of PARP, thought to be resulted from caspase-3 activation, occurred after irradiation which was attenuated by the pretreatment of 1 mM cysteamine.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radiation induced apoptotic process is somewhat different from death receptor induced one and the pretreatment of 1 mM cysteamine has a tendency to decrease the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HL-60 cel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