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DHD 아동에 대한 사회적 행동 중재 효과: 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 The Effect of Social Behavior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ADHD : A Single-Subject Meta-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750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사회적 행동 중재를 위한 단일대상연구들의 메타분석을 통해 실제 ADHD 아동이 있는 학급이나 임상장면에서 대상 아동의 특성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증거 기반 사회성 ...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사회적 행동 중재를 위한 단일대상연구들의 메타분석을 통해 실제 ADHD 아동이 있는 학급이나 임상장면에서 대상 아동의 특성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증거 기반 사회성 중재유형, 중재자, 중재 회기, 중재 환경과 같은 실제적 정보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활용된 분석 논문들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24편의 단일대상 연구로 총 사례 수는 89개였으며 비중복 비율 (PND)을 활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변인에 따른 중재 효과를 살펴본 결과 ADHD 아동 사회적 행동 중재 연구는 2000년 이후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 졌으며 다양한 중재 변인에 따른 중재들은 대부분 높은 효과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ADHD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 및 논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such as evidence-based social behavior intervention types, intervention agent, intervention location, intervention length, for school and clinical setting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such as evidence-based social behavior intervention types, intervention agent, intervention location, intervention length, for school and clinical setting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ocial behavior of people with ADHD. For this study, 24 single-subject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ere reviewed by focusing on the general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effect size. The subjects of meta-analysis for this study were 89 samples of effect size and the findings were transformed into Percent of Non-overlapping Data(P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year 2000, the intervention research for improving social behavior of people with ADHD were published constantly so far and diverse education areas participated on this subject. Overall effect size by various intervention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ntervention effectiveness. The discussion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용,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77-100, 2010

      2 양광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195-206, 2010

      3 신소연, "조작교구활동이 ADHD아동의 주의산만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41-164, 2007

      4 서화자, "점토놀이 활동이 ADHD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119-140, 2010

      5 여광응, "자기표현 미술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ADHD)아동의 주의산만?공격성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31-349, 2006

      6 송호준,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191-220, 2012

      7 박명숙,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13-235, 2011

      8 김경민, "유산소 운동이 ADHD 학생의 주의집중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27-142, 2007

      9 전혜연, "시지각 및 청지각 촉진 신체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주의집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307-328, 2011

      10 강은주, "미술활동을 통한 ADHD 특성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 연구" 4 (4): 1-16, 2002

      1 박기용,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77-100, 2010

      2 양광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195-206, 2010

      3 신소연, "조작교구활동이 ADHD아동의 주의산만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41-164, 2007

      4 서화자, "점토놀이 활동이 ADHD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119-140, 2010

      5 여광응, "자기표현 미술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ADHD)아동의 주의산만?공격성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31-349, 2006

      6 송호준,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191-220, 2012

      7 박명숙,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13-235, 2011

      8 김경민, "유산소 운동이 ADHD 학생의 주의집중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27-142, 2007

      9 전혜연, "시지각 및 청지각 촉진 신체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주의집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307-328, 2011

      10 강은주, "미술활동을 통한 ADHD 특성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 연구" 4 (4): 1-16, 2002

      11 김정일, "미술소그룹활동내 자기행동관리가 ADHD 아동의 과제이행 증진과 방해성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103-122, 2006

      12 여광응, "무상토큰 반응대가 적용이 ADHD아동의 충동성 및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15-234, 2007

      13 유은영, "무게감 있는 조끼(weighted vest)의 착용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13 (13): 37-44, 2005

      14 김진희, "또래로봇을 활용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0 (30): 57-89, 2014

      15 김진경, "동영상 자기 관찰법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8 (18): 127-135, 2010

      16 장시현, "놀이 활용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275-303, 2013

      17 민지영,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아동의 수업참여 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1-32, 2011

      18 이점조, "교회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3 (13): 1-30, 2009

      19 남수미,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57-75, 2011

      20 오현경, "Think Aloud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1-24, 2006

      21 White, O. R., "Some comments concerning"the quantitative synthesis of single-subject research"" 8 (8): 34-39, 1987

      22 Wittmer, D. S., "Encouraging positive soci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49 (49): 4-12, 1994

      23 김정일, "ADHD아동의 학급중심 응용행동분석적(ABA)행동중재효과: 일반학급 모형 방과후 교실에서의 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3 (43): 17-34, 2004

      24 장성은, "ADHD 아동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문제행동 단일사례연구" 13 (13): 1-1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