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에 기반한 추사 서예미학 연구 = Chusa’s Calligraphy Aesthetics Based on the Deconstructive Typ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3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usa Kim Jeong-hee is highly regarded as a scholar and artist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He achieved a state of unity in his academic skills by expressing the spirit of live-action old poetry not only as a theory, but through poetry, calli...

      Chusa Kim Jeong-hee is highly regarded as a scholar and artist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He achieved a state of unity in his academic skills by expressing the spirit of live-action old poetry not only as a theory, but through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s actual works. Chusa typeface is characterized by the beauty of the monstrous that destroyed the form of the existing calligraphy, the beauty of the high school and the unadorned state, and the beauty of the blue and old orphans based on humanistic knowledge. is doing And the modern design concept that can be investigated in response to this vertex is deconstructive typography.
      Deconstructionism is a post-structuralist theory of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a who sough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Western structuralism and deconstruct metaphysical theories and dichotomous traditional ideas.
      Derrida suggested concepts such as ‘separation’, ‘uncertainty’, ‘decentralization’, and ‘deconstruction’ and had various influences on society, philosophy, literature, art, architecture, and other fields. Based on this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modern postmodern typography writers deconstructed the text, destroyed the existing typeface, and questioned the absolute readability and rationality of the design. And many modern researchers have found similarities in the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by linking Derrida’s deconstructionist thought with Eastern ideas such as Buddhism and Nojang.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Chusa aesthetics and deconstructivist typography art, and based on this, attempted to interpret Chusa body from the deconstructive typography point of view.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onstructivist design perspective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reference for interpreting Chusa aesthetics, and it is also studied in terms of suggesting that modern design can act as an important analysis criter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oriental formative ideology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추사 김정희는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예술가로 시⋅서⋅화를 통해 체득한 이론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며 학문과 예술을 조화시켰다. 추사는 성리학 뿐 아니라 노장 사상과 불교...

      추사 김정희는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예술가로 시⋅서⋅화를 통해 체득한 이론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며 학문과 예술을 조화시켰다. 추사는 성리학 뿐 아니라 노장 사상과 불교 사상에도 깊은 이해를 갖고 있었으며, 이를 융합하여 자신의 서예 미학에 반영하였다. 그의 서예는 기존의 전통적인 스타일과는 다른 독특한 서예 미학인 ‘추사체’를 구축하였다.
      추사체는 기존의 서법 형식을 파괴한 괴(怪)의 미, 꾸밈이 없는 고졸(拙)한 경지의 미, 인문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청고고아(淸高古雅)의 미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추사체는 현대 디자인 개념 중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와 연관되어 해석할 수 있다. 해체주의는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포스트구조주의 이론으로, 서양 구조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전통적인 사고를 해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포스트모던 타이포그래피 작가들은 이러한 해체주의를기반으로 문자를 분해하고 기존의 글자체를 파괴하여절대적 가독성과 디자인의 합리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와 더불어 많은 연구자들은 데리다의 해체주의사상과 동양 사상인 불교와 노장 등을 연결시켜 인식론적 유사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추사미학과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 예술의 연계성에주목하고 추사와 해체주의의 다양한 작품들을 분석하며 추사체를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 관점에서 해석하려고 시도했다. 연구자는 비조화의 조화를 추구하는괴의 미학과 탈구성을 통해 화면을 구축하고자 한 해체주의의 특성을 발견했으며 투박한 졸의 미학에서디자이너의 우연적 모호함을 표현하는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측면을 연결 지었다. 또한 추사의 청고고아의미학은 디자이너의 저자성으로 연계되어 예술가의 자의성을 표현하는 요소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추사체를 해석하는 이론적 기반으로 현대해체주의 디자인 관점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양의 조형 이념 해석에 현대 디자인이 중요한분석 기준으로 제시한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