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이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Children's Play Spontaneity and Social Relationship Happiness on Children focus on Children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6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shed light on how play spontaneity and social relationship happiness affect an children's focus on play as play-centered activities are emphasized in the recently revised Nuri process. Methods The research model for this...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shed light on how play spontaneity and social relationship happiness affect an children's focus on play as play-centered activities are emphasized in the recently revised Nuri process.
      Methods The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included factors such as children play spontaneity, Happiness in social relationships, and concentration on children play. 310 children aged 5 years old and 310 children from 9 kindergartens in G City were used to use the teacher's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fter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direct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at children play spontane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concentration on play, an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 play in the order of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spontaneity. Second, children social relationship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focus on play, followed by parent,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Happiness,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 play.
      Conclusions Play spontaneity and social relationship happines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cus on children play,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various suggestions to increase the focus on children play by increasing the playability of children and the happiness of social relationships. It is believed that the abov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various suggestions for ways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children play by increasing the playability of children and the happiness of social relationshi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유아의 놀이에 대한 집중에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G시에 소재하는 9개 유치원 원아 만 5세 310명을 대상으로 놀이...

      목적 유아의 놀이에 대한 집중에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G시에 소재하는 9개 유치원 원아 만 5세 310명을 대상으로 놀이에 대한 집중, 놀이 자발성, 사회적 관계 행복감에 관한 교사용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t-test, Pearson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 놀이 자발성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집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자발성 순으로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사회적 관계 행복감은 유아의 놀이에 대한집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 행복감 순으로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놀이 자발성과사회적 관계의 행복감을 높임으로써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sikszentmihalyi, M., "창의성의 즐거움" 북로드 2003

      2 나은숙 ; 양옥승,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81-304, 2007

      3 김미현,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도 양상과 변인별 차이 및 유치원 조직풍토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 홍윤정,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몰입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7

      5 이은주,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란희, "유아의 행복과 놀이성 및 창의성 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김선영,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과 유아 놀이몰입 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8 나은숙, "유아의 자아개념 및 행복감이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159-176, 2018

      9 서경화 ; 부성숙 ; 설수영, "유아의 운동능력이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7 (17): 433-443, 2019

      10 박선영, "유아의 놀이성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주혜,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12 김명순 ; 김길숙 ; 박찬화,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69-89, 2012

      13 이숙재,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7

      14 최남정 ; 오정희,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몰입과 미적경험: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73-196, 2010

      15 박혜진,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긍정적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16 이선경 ; 심성경,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의 놀이몰입 및 자기효능감"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5-28, 2016

      17 이선경,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에 대한상호작용과 유아의 놀이몰입 및 자기효능감"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18 송주연, "유아교사 교수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19 나은숙 ; 한수정,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59-78, 2011

      20 김성숙 ; 서현아,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일치수준과 자녀 놀이몰입 간의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413-433, 2021

      21 류희정 ; 이진희,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8 (8): 47-64, 2013

      22 변은진, "유아 놀이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23 나은숙, "유아 놀이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589-608, 2013

      24 김정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지위 및 놀이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5 성수경,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26 신선희 ; 차윤희 ; 김영희, "어머니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81-300, 2008

      27 정은주, "어머니 정서 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8 박형신 ; 김정주,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유아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8 (8): 501-522, 2017

      29 김정주 ; 박형신,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7 (17): 29-48, 2017

      30 임예슬 ; 한유진,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부-자녀 간 상호작용과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6 (36): 1-16, 2015

      31 송하나,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자기 조절 능력이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6 (26): 147-161, 2013

      32 이상호,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과 자아탄력성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3 Csikszent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해냄 2008

      34 손수민 ; 김진아, "만5세 또래 인기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보육학회 18 (18): 33-48, 2018

      35 안소영 ; 최윤정, "놀이중심의 유아교육:유치원에서 하루 종일 놀이에 몰입하도록 지원하기"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555-577, 2009

      36 김수인,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놀이몰입과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37 Hughes, F. P.,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2

      38 김진경, "놀이를 통한 실행기능 증진과 놀이몰입의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39 장유란,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0 김미숙, "교사가 지각한 5세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1 김미림,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놀이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2 교육과학기술부,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43 Barnett, L. A.,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4 (4): 51-74, 1991

      44 Smilansky, S.,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children : Preschool children" Wiley 1968

      45 Shaffer, D. 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Wadsworth/ThomsonLearning 2005

      46 Parten, M. B.,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wn" 27 : 243-269, 1932

      47 DeMulder, E. K.,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 Links from home to school" 36 (36): 274-282, 2000

      48 Seligman, M. E., "Positive Health" 57 : 3-18, 2008

      49 Lieberman, J. N.,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107 (107): 219-224, 1965

      50 Lieberman, J. N., "Playfulness : It’s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creativity" Academic Press 1977

      51 Barnett, L. A., "Playfulness : Definitions, designing, and measurement" 3 : 319-336, 1990

      52 Singer, D., "Play=Learning : How play motivates and enhances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53 Piaget, J., "Play, dream and imitation in childhood" Norton 1962

      54 Rogers, C. S., "Play in the lives of children" NAEYC 1988

      55 Deci, E. L., "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26 (26): 325-346, 1991

      56 Werner, P. H., "Learning through movement : Teaching cognitive content through physical activities" Mosby 1979

      57 Ryan, R. 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 (25): 54-67, 2000

      58 Yogman, M. J., "Father and child: Developmental and clinical perspectives" Little, Brown 101-122, 1982

      59 Keller, H., "Developmental consequences of early parenting experiences : Self recognition and self regulation in three cultural communities" 75 (75): 1745-1760, 2004

      60 Chang, F., "Attention in preschoolers : Associations with effortful control and motivation" 76 (76): 247-263,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