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51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부의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로 인해 제기된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

      본 연구는 정부의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로 인해 제기된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방향성을 지역성, 통합성, 주체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두 조직의 활동 및 협력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성 측면에서 읍면동 단위에서의 협력 논의는 시기적으로 매우 빠른 감이 있으나 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에 따라 새로운 협력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통합적 측면에서는 두 조직 모두 통합성을 구현할 기반이 취약하고, 지역사회의 한정적인 자원으로 인해 자원 확보 경쟁 및 이로 인한 갈등 가능성마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주체성 측면에서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참여 활동 경험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협력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한 과제로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성(읍면동 단위 등)을 고려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의식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보장적 기능/사회복지협의회는 개발적 기능으로 핵심 기능 정립,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주민생활 중심/사회복지협의회는 복지 중심으로 조직 구성상의 통합성 강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공식적 자원 조직화/사회복지협의회는 비공식적 자원 조직화로 읍면동 단위의 다중 안전망 구축 등을 제안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their adequate func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suggest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their adequate func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suggested by the government’s reinforcement of the welfare function of eup, myeon, and dong.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d regionality, integrity and subjectivity as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restructuring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 terms of these directions, examined the activities and coope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and related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s follows. From the aspect of regionality, it may be too early to discuss cooperation in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but it is required to find new cooper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determined will to promote the policy. In the aspect of integrity, both of the two organizations do not have a solid foundation for implementing integrity, and even the limited resources of community communities may cause competition and conflicts for securing resources. From the aspect of subjectivity, it is an important question how the experie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will be utilized for its cooperation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conscientiz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ity (the units of eup, myeon, dong, etc.), establishment of welfare function and developmental function as the key functions of, respectivel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reinforcement of the integr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entering on residents’ life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on welfare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construction of multi?layered safety net for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through organizing official resources b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unofficial resources by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과지역사회복지협의체ㆍ사회복지협의회 협력의 필요성
      • Ⅲ.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 현황과 문제
      • Ⅳ.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과지역사회복지협의체ㆍ사회복지협의회 협력의 필요성
      • Ⅲ.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 현황과 문제
      • Ⅳ.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환, "지역사회의 민관 협력 성장을 위한 복지거버넌스 확대"

      2 이영복, "지역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정립을 통한 네트워크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3 박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방향과 과제" 2 : 7-36, 2013

      4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현황 보도자료"

      5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6 김승용,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기능의 실태와 과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71-100, 2011

      7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조의 현황과 과제" 17-58, 2011

      8 심영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인식비교 연구: 의정부, 양주, 포천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57-285, 2010

      9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정민사 2014

      10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09

      1 최환, "지역사회의 민관 협력 성장을 위한 복지거버넌스 확대"

      2 이영복, "지역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정립을 통한 네트워크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3 박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방향과 과제" 2 : 7-36, 2013

      4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현황 보도자료"

      5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6 김승용,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기능의 실태와 과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71-100, 2011

      7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조의 현황과 과제" 17-58, 2011

      8 심영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인식비교 연구: 의정부, 양주, 포천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57-285, 2010

      9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정민사 2014

      10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09

      11 채현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를 위한 지방정부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0) : 177-201, 2014

      12 김형모, "지역복지 전달체계 네트워크를 위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과제" 6 (6): 25-49, 2009

      13 차흥봉, "지역복지 민관복지 거버넌스활동과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과제" 83-107, 2013

      14 최균,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 비교 -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0 (0): 211-228, 2013

      1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좋은이웃들 10만 양성 프로젝트-민간자원 활용 복지소외계층 상시발굴체계 구축-회의자료(2014.3.)"

      16 김수영, "자원봉사론" 공동체 2008

      17 平野隆之, "일본의 지역복지정책 및 방법" 학지사 2012

      18 보건복지부, "읍면동 주민센터 복지기능 강화시범사업. 은둔형 생활자․독거노인 등방문․지원 보도자료"

      19 이재완,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 중심의 민간자원 개발 및 활용 체계화모델 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3

      20 최균, "시군구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설치 필요성 조사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1

      21 이재완,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 법제화에 따른 사회복지협의회의 도전과 과제 토론문" 22-25, 2003

      22 보건복지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읍면동 인적안전망 강화 방안"

      23 보건복지부, "국민행복을 위한 실천, 2014년 보건복지부업무계획"

      24 김이배, "경상북도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중앙개편안을 중심으로-"

      25 社会保障審議会福祉部会., "町村地域福祉計劃及び都道府懸地域福祉支援計劃策定指針の在り方について(一人ひとりの地域住民への訴え)"

      26 橫浜市, "橫浜市市民活動推進檢討委員會報告書" 1999

      27 福祉士養成講座編輯委員会, "地域福祉論" 中央法規 1999

      28 自治省非營利活動硏究会, "地域づくりのための民間非營利活動に對する地方公共團體の かかわりの在り方に關する硏究會報告書" 1997

      29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3 제3차 시도사회복지협의회 사무처 회의자료(2013.5.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