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현장의 교육적 가능성: 금천예술공장의 작가-학생 공동예술프로그램 사례연구 = Educational Potential of Creative Art Space: A Case Study of a Collaborative Art Program in Geumcheon Art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creative art space by reviewing a case studyof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 recent collaborative art program carriedout in an art center in Seou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i...

      This paper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creative art space by reviewing a case studyof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 recent collaborative art program carriedout in an art center in Seou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ite were first arranged into threecategori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artist-student collaborations, andparticipants’responses to the collaborative works. Then the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findings of a previous study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in schools. Based on this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1) creative art space, as a social space where social interactionsand cultural exchanges are activated by the creative activities of professional artists, can makethe students’ experience in the workshop unique; 2) the practicing artists in the creative spacecan make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works more interactive and dynamic than the practitionersin more formal educational spaces do and therefore, 3) the art-making experience in a creativeart space can encourage more participation in the creative space, processes, sharing, andexchanging, compared with similar activities in other educational spaces. The study’s outcomescan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collaborative activities in creative artspaces. In addition, it draws educational attention to the need for a more socially responsive arteducation practice that is sensitive to changes in ideas and practices in the contemporary artworld. The study supports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of diverse forms of art space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현대미술기반 교육사례를 통해서 예술현장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최근의 사례연구에서 파악한 미술창작·전시공간 입주작가들이 고등학생들과 함께 진...

      이 글에서는 현대미술기반 교육사례를 통해서 예술현장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최근의 사례연구에서 파악한 미술창작·전시공간 입주작가들이 고등학생들과 함께 진행했던 공동예술작업의 특성과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예술현장기반 공동예술프로그램 실행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먼저 세 가지 범주: 창작공간의 환경 특성, 작가-학생 공동예술작업의 특성, 그리고 이 공동 작업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으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분석결과를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1) 전문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에 의해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인 교류가 활성화되는 일종의 사회적인 공간으로서, 창작공간은 학생들의 워크숍 경험을 독특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과 2) 창작공간의 작가들은 다른 교육공간들의 교육실행자들 보다 공동 작업을 더욱 상호작용적이며 역동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 따라서 3) 창작공간의 예술창작경험은 다른 교육공간의 유사한 활동보다 공간, 과정, 나눔과 협력에 대한좀 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술현장기반 공동작업의 특성에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이 연구는 교육자들이 현대미술세계의 작업개념들과 실제들의 변화에 대해민감한, 좀 더 사회적으로 반응하는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주목하도록 한다. 이 연구는 현대미술세계 안에서생성되고 있는 다양한 예술 공간들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연구들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경미, "현대 한국문화예술교육 실제에서의 도전과 기회: 문화기관의 실행자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46-170, 2012

      2 이동연, "한국의 대안공간 실태 연구" (사)문화사회연구소 2007

      3 박정애, "하이브리드 미술제작에서의 정체성의 형성: 미술 교육과정에의 함축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19, 2012

      4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5 김영나, "오늘의 미술가를 말하다. 1" 학고재 2010

      6 김상희, "예술강사지원사업 정책목표와 예술강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3 (3): 102-118, 2010

      7 백경미, "시각예술영역에서 재능의 의미 탐색: 예술적 재능에 대한 교육계와 예술계의 인식" 한국조형교육학회 145 (145): 145-164, 2013

      8 임학순, "사회문화예술교육 체계화연구"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9

      9 김형숙, "문화정체성 구축을 위한 다문화미술교육: 디아스포라 작가 탐구를 통한 실행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63-85, 2012

      10 허은영,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1 백경미, "현대 한국문화예술교육 실제에서의 도전과 기회: 문화기관의 실행자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46-170, 2012

      2 이동연, "한국의 대안공간 실태 연구" (사)문화사회연구소 2007

      3 박정애, "하이브리드 미술제작에서의 정체성의 형성: 미술 교육과정에의 함축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19, 2012

      4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5 김영나, "오늘의 미술가를 말하다. 1" 학고재 2010

      6 김상희, "예술강사지원사업 정책목표와 예술강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3 (3): 102-118, 2010

      7 백경미, "시각예술영역에서 재능의 의미 탐색: 예술적 재능에 대한 교육계와 예술계의 인식" 한국조형교육학회 145 (145): 145-164, 2013

      8 임학순, "사회문화예술교육 체계화연구"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9

      9 김형숙, "문화정체성 구축을 위한 다문화미술교육: 디아스포라 작가 탐구를 통한 실행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63-85, 2012

      10 허은영,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11 김선아, "디지털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수업환경에 따른 미술교사-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105 (105): 105-128, 2013

      12 김윤환, "공공기관 창작공간의 현황과 운영_② 프로그램과 운영구조: 특성을 살린 운영과 평가 필요" 예술경영

      13 백기영, "공공기관 창작공간의 현황과 운영_① 창작공간의 전개와 흐름: 복합문화공간형 2세대 창작스튜디오로" 예술경영

      14 Irwin, R., "a/r/tography: Rendering self through arts-based living inquiry" Pacific Educational Press 27-38, 2004

      15 Hickman, R., "Why we make art and why it is taught" Intellect 2010

      16 Davis, J., "Why our schools need the arts" Teachers College Press 2008

      17 Perkins, D. N., "The intelligent eye: Learning to think by looking at art" The J. Paul Getty Trust 1994

      18 Davis, J., "The arts, education, and aesthetic knowing: Ninety-first Yearbook of the NSS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2-123, 1992

      19 Sharp, C, "The arts, creativity and cultural educa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20 Eisner, E., "The art and the creation of mind" Yale University 2002

      21 Root-Bernstein. R., "Sparks of genius: The thirteen Thinking Tools of the world’s most creative people" Houghton Mifflin Company 1999

      22 윤준성, "Social Art : 동시대 미디어아트에 있어 소셜아트의 개념정리와 특성"

      23 White, H., "STEM to STEAM: The future of American innovation"

      24 Gardner, H.,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Basic Books 1993

      25 Winner, E., "Invented worlds: The psychology of the ar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26 Irwin, R., "Interdisciplinary art education: Building bridges to connect disciplines and cultures" The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44-59, 2005

      27 Parsons, M. J., "How we understand art: A cognitive developmental account of aesthetic exper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8 Yenawine, P., "How to look at modern art" Harry N. Abrams 1991

      29 Gagné, F.,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s" 29 (29): 103-112, 1985

      30 Fulková, M., "DNA as a work of art: Processes of semiosis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biology" 32 (32): 83-96, 2013

      31 Ofsted, "Creative partnerships: Initiative and impact"

      32 Stake, R., "Complementary methods for research in art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53-273, 1988

      33 Barone, T., "Arts based research" Sage 2012

      34 Root-Bernstein. R., "Arts at the center" 17-22, 2010

      35 Sullivan G., "Art practice as research: Inquiry in the visual arts" Sage 2005

      36 Gardner, H., "Art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The Getty Center for Education in the Arts 1990

      37 Efland, A., "Art and cognition: Integrating the visual arts in the curriculum" Teachers College Press 2002

      38 Costantino, T., "An interdisciplinary design studio: How can art and engineering collaborate t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63 (63): 49-53, 2010

      39 Bequette, J. W., "A Place for ART and DESIGN Education in the STEM Conversation" 65 (65): 40-4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