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망에서 브리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 증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0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피망 작물에서 점박이응애 및 칠레이리응애의 수직 분포 및 확산 정도를 알아보고, 주간 브릿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확산은 점박이응애의 접종 밀도 및 위...

      피망 작물에서 점박이응애 및 칠레이리응애의 수직 분포 및 확산 정도를 알아보고, 주간 브릿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확산은 점박이응애의 접종 밀도 및 위치에 따라 달랐다. 점박이응애를 상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하였을 경우 방사 5일까지도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머무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당 100 마리를 접종했을 때 이미 방사 1일차에 하위엽까지 이동하였다. 반면에 하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 후 1일차에 중·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3일차는 상위엽에만 존재하였다. 주당 100 마리를 접종한 경우 접종 1일차에 상위엽까지 이동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이후 칠레이리응애의 접종 위치에 따라 이들이 확산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점박이응애가 없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를 하위엽에 방사하여도 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상위엽에 방사하면 방사 후 3일까지 는 상위엽에 머물러 있었다. 점박이응애가 있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는 방사 이후 먹이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망 세개 주를 상부 또는 하부에 실로 연결하고, 2, 3번 작물에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후 1번 작물의 상·하위엽에 각각 칠레이리응애를 방사하였을 경우 연결된 실을 통해 이웃 작물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방사되는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증진하기 위해서 가능하다면 작물체 간격을 좁혀주거나 작물체를 인위적으로 연결하여 준다면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 가능하여 방사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방제효과도 크게 증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ispersion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were investigated within and between green pepper plants.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an artificial bridge with th...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ispersion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were investigated within and between green pepper plants.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an artificial bridge with threads on dispersal of P. persimilis between the plants. The extent of spread of T. urticae depended on its infested density and location. When 10 adults of T. urticae were inoculated on upper leaf, they stayed on the upper leaf until 5 days after inoculation. However, when 100 adults were inoculated on an upper leaf, they dispersed to the lower leaf within a day. In condition that 10 adults of T. urticae were inoculated on the lower leaf, they started to move toward upward within a day. In the absence of T. urticae, P. persimilis tended to move to the leaves where T. urticae was present when both T. urticae and P. persimilis were inoculated together within a plant. An artificial bridge with threads between two plants was helpful to disperse P. persimilis to neighboring plants. Therefore,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dispersal of P. persimilis can be promoted by supplying the artificial bridges among plants and by narrowing the distances between pl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초 록
      • 재료 및 방법
      • 시험곤충
      • 점박이응애의 피망작물 주내 수직 분포
      • ABSTRACT
      • 초 록
      • 재료 및 방법
      • 시험곤충
      • 점박이응애의 피망작물 주내 수직 분포
      • 칠레이리응애의 피망작물 주내 수직 분포
      • 피망작물 주내 점박이응애 분포에 따른 칠레이리응애의공간 분포
      • 피망작물 간 점박이응애 및 칠레이리응애의 확산
      • 피망작물 간 브리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생물적방제효과
      • 결과 및 고찰
      • 점박이응애의 피망작물 주내 수직 분포
      • 칠레이리응애의 피망 작물 주내 수직 분포
      • 점박이응애 분포에 따른 칠레이리응애의 피망작물 주내공간 분포
      • 피망작물 간 칠레이리응애의 확산 분포
      • 피망작물에서 점박이응애 및 칠레이리응애 방사 위치에따른 밀도 변동
      • 피망작물 간 브리지 이용에 이한 칠레이리응애의생물적방제 효과
      • Literature C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은혜, "시설딸기에서 Natural Enemy in First (NEF) 기법을 적용한 점박이응애 방제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58 (58): 319-320, 2019

      2 Kennedy, G. G., "spider mites, 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Vol. 1A" Elsevier 233-242, 1985

      3 Kumaran, N., "Within-plant and within leaf dispersion pattern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Tetraanychidae) on okra" 44 : 1949-1957, 2011

      4 Migeon, A., "Trends in Acarology" Springer 557-560, 2010

      5 Campbell, C. A. M., "The effects of timing and rates of release of Phytoseiulus persimilis against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on dwarf hops" 9 : 453-465, 1999

      6 Takafuji, A., "The effect of the rate of successful dispersal of a phytoseiid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 (Acarina:Phytoseiidae) on the persistence in the interactive system between the predator and its prey" 18 : 210-222, 1977

      7 Opit, G. P., "Survival, horizontal distribution, and economics of releasing predatory mites (Acari: Phytoseiidae) using mechanical blowers" 33 : 344-351, 2005

      8 Walzer, A., "Spatio-temporal within-plant distribution of the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confronted with specialist and generalist predators" 30 : 139-145, 2007

      9 Parolin, P., "Secondary plants used in biological control: a review" 58 : 91-100, 2012

      10 Wilson, L. J., "Seasonal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etranychus urticae implications for management" 83 : 291-303, 1993

      1 함은혜, "시설딸기에서 Natural Enemy in First (NEF) 기법을 적용한 점박이응애 방제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58 (58): 319-320, 2019

      2 Kennedy, G. G., "spider mites, 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Vol. 1A" Elsevier 233-242, 1985

      3 Kumaran, N., "Within-plant and within leaf dispersion pattern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Tetraanychidae) on okra" 44 : 1949-1957, 2011

      4 Migeon, A., "Trends in Acarology" Springer 557-560, 2010

      5 Campbell, C. A. M., "The effects of timing and rates of release of Phytoseiulus persimilis against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on dwarf hops" 9 : 453-465, 1999

      6 Takafuji, A., "The effect of the rate of successful dispersal of a phytoseiid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 (Acarina:Phytoseiidae) on the persistence in the interactive system between the predator and its prey" 18 : 210-222, 1977

      7 Opit, G. P., "Survival, horizontal distribution, and economics of releasing predatory mites (Acari: Phytoseiidae) using mechanical blowers" 33 : 344-351, 2005

      8 Walzer, A., "Spatio-temporal within-plant distribution of the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confronted with specialist and generalist predators" 30 : 139-145, 2007

      9 Parolin, P., "Secondary plants used in biological control: a review" 58 : 91-100, 2012

      10 Wilson, L. J., "Seasonal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etranychus urticae implications for management" 83 : 291-303, 1993

      11 Skirvin, D., "Of mites and movement: the effects of plant connectedness and temperature on movement of Phytoseiulus persimilis" 27 : 242-250, 2003

      12 Zemek, R., "Interactions in a tritrophic acarine predator–prey metapopulation system: prey location and distance moved by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 Phytoseiidae)" 23 : 21-40, 1999

      13 Nachman, G., "Interactions in a tritrophic acarine predator–prey metapopulation system IV: effects of host plant condition on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anychidae)" 26 : 43-70, 2002

      14 Zemek, R., "Interactions in a tritrophic acarine predator-prey metapopulation system: effects of Tetranychus urticae on the dispersal rates of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na: Tetranychidae, Phytoseiidae)" 22 : 259-278, 1998

      15 Ryoo, M. I., "Influence of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prey among patches and spatial coincidence on the functional and numerical response of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na, Phytoseiidae)" 120 : 187-192, 1996

      16 Weintraub, P. G.,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a predatory mite on greenhouse sweet pepper" 42 : 23-35, 2007

      17 Jones, V. P., "Dispersion indices and sequential sampling plans for the citrus red mite (Acari: Tetranychidae)" 77 : 75-79, 1984

      18 Buitenhuis, R., "Dispersal of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Acari: Phytoseiidae) on potted greenhouse chrysanthemum" 52 : 110-114, 2010

      19 Lopez, L., "Dispersal of Amblyseius swirskii (Acari: Phytoseiidae) on high-tunnel bell peppers in presence or absence of Polyphagotarsonemus latus (Acari: Tarsonemidae)" 17 : 1-7, 2017

      20 Jones, V. P., "Developing sampling plans for spider mites (Acari: Tetranychidae): those who don’t remember the pest may have to repeat it" 83 : 1656-1664, 1990

      21 van Lenteren, J. C., "Biological and integrated pest control in greenhouses" 33 : 239-269, 1988

      22 Zhang, Z. Q., "Behavioural responses to prey density by three acarine predator species with different degrees of polyphagy" 96 : 147-156, 1993

      23 Pratt, P. D., "Banker plants: evaluation of release strategies for predatory mites" 18 : 211-217, 2000

      24 Buitenhuis, R., "Amblyseius swirskii in greenhouse production systems: a floricultural perspective" 65 : 451-464, 2015

      25 Suski, Z. W., "Advances in acarology, light response in the two-spotted spider mite. II. Behavior of the “sedentary” and “dispersal” phases" Cornell University Press 445-453, 1963

      26 Collier, T., "A critical evaluation of augmentative biological control" 31 : 245-256,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