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래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 =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of outpatient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8239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74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문희
        권말에 부록 수록
        권두에 국문요지, 권말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57-59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외래간호사는 환자안전문화의 출발행태(entry behavior)를 좌우하는 중요한 입지에 있으므로 병원경영과 간호관리 활동 차원에서 안전간호활동을 위한 근거중심 자료를 외래간호사로부터 확...

      외래간호사는 환자안전문화의 출발행태(entry behavior)를 좌우하는 중요한 입지에 있으므로 병원경영과 간호관리 활동 차원에서 안전간호활동을 위한 근거중심 자료를 외래간호사로부터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래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2013년 9월 23일~ 9월28일까지 서울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외래간호사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하고, SPSS 21.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대상자는 연령 평균 33.7세, 부서경력 평균 3.13년, 현 병원경력 9.50년, 간호사경력 10.77년이었고 안전교육은 평균 2.42회 받았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205점 만점에 대하여 평균 134.94점으로 저조하였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직원안전 영역의 안전간호 활동 수행정도와 간호사 경력의 2변수에 의해 6.9% 설명될 수 있었다.
      안전간호 활동 수행정도는 총 16점 만점에 대하여 평균 13.78점으로 양호하였지만 이 수행정도는 더 높아져야 한다. 안전간호 활동 수행정도는 환자안전 공식기구(있다), 환자안전 영역에 대한 환자안전문화 인식, 사고보고 영역에 대한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3변수에 의해 16.1% 설명될 수 있었다.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 활동 수행정도 간 Pearson 상관계수 . 207의 양의 관계가 나타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안전간호 활동 수행정도도 잘 하므로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와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높이면 환자안전문화의 정착도 실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외래간호업무에 대한 표준 개발과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인식을 개선하고 수행정도를 높여야한다. 간호사 경력의 고하에 따른 멘토-멘티 활성화도 기대되는 방안이므로 제안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 부록목차 ⅱ
      • 표 목 차 ⅲ
      • 국문요약 ⅳ
      • 목 차 ⅰ
      • 부록목차 ⅱ
      • 표 목 차 ⅲ
      • 국문요약 ⅳ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3
      • 4. 연구의 제한점 4
      • Ⅱ. 이론적 고찰 5
      • 1. 외래간호사의 역할 5
      • 2. 환자안전 6
      • 3. 환자안전문화 7
      • 4. 안전간호활동 8
      •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0
      • 1. 연구 설계 10
      • 2. 연구 대상 10
      • 3. 연구 도구 11
      •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2
      • 5. 자료 분석 방법 12
      • Ⅳ. 연구 결과 14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 2.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16
      • 3. 안전간호 활동 수행정도 32
      • 4. 환자안전문화에 인식과 안전간호 활동
      • 수행정도 간 상관관계 46
      • 5. 다중회귀분석 48
      • Ⅴ. 논의 50
      • Ⅵ. 결론 55
      • 참고문헌 57
      • 부 록
      • 1. 설문지 60
      • 2. 환자안전문화 인식 도구의 문항의 신뢰도 68
      • 3. 안전간호 활동 도구의 문항의 신뢰도 69
      • 4.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변수 간 상관관계(가로표) 70
      • Abstract 71
      • 감사의 글 73
      • 국문 연구윤리서약서 75
      • 영문 연구윤리서약서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