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국민참여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의미와 한계: X-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ublic Participatory National R&D Project: A Case Study on X-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6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국민을 참여시킨 X-프로젝트를 분석, 국민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과정과 실제적 참여, 그리고 사회적 효과와 한계는 무엇인지 논...

      이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국민을 참여시킨 X-프로젝트를 분석, 국민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과정과 실제적 참여, 그리고 사회적 효과와 한계는 무엇인지 논의한다. X-프로젝트는 2015년 12명의 민간 위원이 추진하고 미래창조과학부가 후원하며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지원한 사업이다. 국민은 일상에서 겪는 아픔이나 문제를 반영한 6,212개의 질문을 제기했으며, X-프로젝트 위원, 학계와 출연연 전문가, 정부정책담당자가 모여 50개 질문으로 국민의 요청을 연구과제화하고 연구팀을 공모했다. 대학, 정부출연연 연구자뿐 아니라 고등학생, 대학원생, 일반인, 기업인 포함 310개 연구팀이 신청했고 최종 54개 연구팀이 선정됐다. X-프로젝트 참여자, 비참여자 및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국민참여형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광범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발견했다. 대중의 아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 연구의 필요성은 물론 이 연구에 대중의 직접 참여가 가능함을 발견했다. 둘째, 시민들이 생산한 지식이 전문가들의 시각에서도 유용하다는 발견이다. 전문 연구자들은 국민이 제기한 질문이 매우 참신하고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셋째, 국민참여형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실행으로 시민들이 과학기술 발전의 수혜자가 아닌 발전에 기여하는 주체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인식했다는 발견이다. 그러나 국민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동기 부여,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아이디어 제기부터 연구에 이르는 전과정에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의 개선, 일반인 연구자와 전문 연구자가 협업할 수 있는 방법 및 제도의 개선은 앞으로의 과제로 지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investigates X-project, in which the public was invited to participate in a national R&D project, examines how X-project attracted the public's attention and involved them in a national R&D project,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

      The paper investigates X-project, in which the public was invited to participate in a national R&D project, examines how X-project attracted the public's attention and involved them in a national R&D project,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X-project. X-project was executed by a 12 citizen-led committee,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back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People raised 6,212 questions that reflected the severe needs they experienced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platforms of X-project. In addition, the committee members, scholars, experts, government officials, and citizens gathered together to select the fifty most provocative and novel of the questions raised by the public, and invited public participation to answer the questions in innovative ways. 310 research teams including professional researchers from universities and institutes, high-school students, lay persons, and corporate workers applied for X-project, and 54 of these teams were finally selected to receive funding from the government. Through planning and conducting X-project, as well as interviewing and surveying the participants in X-project and non-participants, we found that there was an enormous social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public participatory national R&D projects. People asserte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put a greater focus o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satisfying public needs. We also confirmed that the public could take part in national R&D projects. Most of all, we found that the questions raised by the public were very challenging, novel, and complex, and thus researchers need break-through approaches to address them. It can be also argued that through experiencing the X-project citizens can regard themselves as ones who are not only recipients of the benefits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contributors of the development of them. We finally argue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X-project in terms of how to provide diverse incentives that attract more participation, how to develop the process in which people got involved in the project in more easy ways, and how to create new ways for lay persons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to cooperate in solving social probl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용, "한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비교 분석" 한국과학기술학회 15 (15): 191-227, 2015

      2 박성원, "한국인의 미래인식, 사회분위기, 미래적응력 측정(3차년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3 박희제, "한국인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분석: 세대, 성, 전공계열의 영향을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13 (13): 1-23, 2005

      4 박진희, "한국 사회에서 과학기술 민주화 논의의 전개" 한국역사연구회 (87) : 169-200, 2013

      5 강경균, "청소년의 'X-질문‘ 발굴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6 김애순,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시그마프레스 2015

      7 정영란,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872-881, 2002

      8 이영희, "인간 유전정보 보호와 시민참여" 3 (3): 41-73, 2003

      9 현재환,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한국과학기술학회 12 (12): 33-79, 2012

      10 조현석, "숙의적 시민참여 모델 연구" 6 (6): 1-30, 2006

      1 박인용, "한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비교 분석" 한국과학기술학회 15 (15): 191-227, 2015

      2 박성원, "한국인의 미래인식, 사회분위기, 미래적응력 측정(3차년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3 박희제, "한국인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분석: 세대, 성, 전공계열의 영향을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13 (13): 1-23, 2005

      4 박진희, "한국 사회에서 과학기술 민주화 논의의 전개" 한국역사연구회 (87) : 169-200, 2013

      5 강경균, "청소년의 'X-질문‘ 발굴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6 김애순,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시그마프레스 2015

      7 정영란,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872-881, 2002

      8 이영희, "인간 유전정보 보호와 시민참여" 3 (3): 41-73, 2003

      9 현재환,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한국과학기술학회 12 (12): 33-79, 2012

      10 조현석, "숙의적 시민참여 모델 연구" 6 (6): 1-30, 2006

      11 김동광, "생명공학과 시민참여" 2 (2): 107-134, 2002

      12 박대민, "사회적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민참여모형: 온라인과학상점" 한국언론학회 6 (6): 6-47, 2010

      13 송위진,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특성과 발전 방향" 기술경영경제학회 20 (20): 129-151, 2012

      14 윤진효, "사회로부터의 기술혁신에 관한 연구 : 재난영상전송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15 (15): 103-122, 2007

      15 채경진, "문화다양성 정책의 수혜자 만족과 인식변화" (1) : 183-200, 2014

      16 송위진, "문제지향적 연구개발사업의 주요 특성과 정책방향: 사회-기술기획과 사용자 참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17 정진우,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18 (18): 357-369, 1998

      18 홍성욱, "과학기술자들의 신뢰 회복과 리더십 확립" 2008

      19 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이해도 조사" 2010

      20 정복철,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정치패러다임: 과학상점의 대안가능성 탐색" 국제지역연구원 15 (15): 217-235, 2008

      21 김태희, "과학기술과 사회 연계에 대한 담론: 사회참여형 과학기술 평가방법의 적용가능성 모색" 한국과학기술학회 15 (15): 163-189, 2015

      22 한재각, "과학기술 시민참여의 새로운 유형 : 수행되지 않은 과학 하기" 9 (9): 1-31, 2009

      23 박진희, "과학기술 관련 시민사회운동의 역사와 그 역할" 4 (4): 111-140, 2004

      24 이광성, "고급사고력 성취에 있어서 고급수준 질문의 활용정도와 학업능력수준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연구" 16 (16): 1-16, 2001

      25 송민, "X-프로젝트 추진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26 박성원, "X-프로젝트 추진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27 Pouliot, C, "Using the Deficit Model, Public Debate Model and Co-Production of Knowledge Models to Interpret Points of View of Students Concerning Citizens' Participation in Socioscientific Issues" 4 (4): 49-73, 2009

      28 Callon, M, "The role of lay people in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4 (4): 81-94, 1999

      29 Poli, R, "The implicit future orientation of the capability approach" 71 : 105-113, 2015

      30 Nonaka, I, "The Concept of ‘BA’: Building a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40 (40): 40-54, 1998

      31 Wynne, B, "Sheepfarming after Chernobyl: A case study in communicating scientific information" 31 (31): 10-39, 1989

      32 Nelkin, D, "Scientists in an environmental controversy" 1 (1): 245-261, 1971

      33 US National Science Board,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

      34 Wynne, B., "Risk Environment and Modernity: Towards an New Ecology" 1994

      35 Callon, M, "Research in the wild and the shaping of new social identities" 25 (25): 193-204, 2003

      36 Lauer, R, "Rate of Change and Stress: A Test of the Future Shock Thesis" 52 : 510-516, 1974

      37 Toffler, A, "Future Shock" Random House 1970

      38 Wynne, B, "Cumbrian Hill-farmers' Views of Scientific Advice"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