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15656

      • 저자
      • 발행사항

        창원 : 경남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1 판사항(5)

      • DDC

        372.2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iii, 42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27-29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must offer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help parents with young children effectively perform their parenting roles based o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aren...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must offer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help parents with young children effectively perform their parenting roles based o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the latter's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ir children.
      For the pre- and post-tests, the study introduced the communication skill scale developed by Mildard and Bienvenu (1974) and adapted by Shin Du-gyun (1988). Meanwhile, the data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the SPSS 14.0 program in conjunction with the paired t-test for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The study results and inherent limit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represent an effective means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Items for which higher or lower pre-test scores were recorded at the star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did not result in an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ose items which the average pre-test score was about 3.5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A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s part of this study was carried in a short term manner that involved short sessions, their actual effect on improv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limited. Despite this point, the significance of the items which showed an effect during short-term parent education programs should not be underscored, as this finding implies that salient communication areas have already to some extent been prepar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through the pre-test separate the items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edness of parents and implement parent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communication that reflect the pre-test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부모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계획적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부모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계획적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향상 기술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창원시에 소재하는 H어린이집 만3~5세 학부모 13명이며, 부모효율성훈련에 기초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Mildard와 Bienvenu(1974)가 개발하고 신두균(1988)이 번안한 의사소통 검사도구를 사전 및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4.0를 이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증진에 효과적이다. 의사소통 부모교육프로그램 시작단계에서 사전점수가 높거나 낮은 항목은 유의한 증진을 보이지 않는 반면, 사전검사 평균점수가 3.5정도의 항목에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교육을 단기간, 단기 횟수로 준비하였기 때문에 부모들이 원하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증진 효과를 보는 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단기교육을 통해 효과를 보이는 항목 즉, 일정 수준이상 준비되어 있는 의사소통영역을 발견하였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는 사전검사를 통해서 부모들의 준비도에 따라 항목을 구별하여 그에 맞는 의사소통 부모교육 내용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Ⅱ. 이론적 배경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Ⅱ. 이론적 배경
      •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4
      • 2. 부모교육 프로그램 = 8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16
      • 2. 연구도구 = 16
      • 3. 연구절차 = 16
      • 4. 자료 분석 = 18
      • 5. 의사소통 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18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변화 = 21
      • Ⅴ. 논의 및 결론
      • 1. 논의 = 25
      • 2. 결론 = 26
      • 참고문헌 = 27
      • 부록1. 의사소통 부모교육 프로그램 = 30
      • 부록2. 부모용설문지 = 34
      • 부록3.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개별문항 분석결과 = 38
      • ABSTRACT =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