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곰소만 조간대에서 Salts, DIP, TDN의 물질 수지 = Mass Balance of Salts, DIP, DIN and DON in the Gomso Tidal Fl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간대가 잘 발달된 곰소만의 생지화학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용존인(DIP)과 총용존질소(TDN: DIN과 DON의 합)에 대한 계절별 물질수지를 추산하였다. 현장조사는 1999년에서 2000년 동안 계...

      조간대가 잘 발달된 곰소만의 생지화학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용존인(DIP)과 총용존질소(TDN: DIN과 DON의 합)에 대한 계절별 물질수지를 추산하였다. 현장조사는 1999년에서 2000년 동안 계절별로 연평균 강우량을 보인 봄철(4월), 건조한 여름철(8월), 집중호우가 있었던 여름철(9월), 비가 없었던 겨울철(11월)에 각각 13시간씩 염분, 유속, 영양염 , Chlorophyll-a 등에 대한 연속 관측을 수행하였다. DIP는 봄, 건조한 여름 조사기간 중 곰소만에서 외해로 각각 $-1.10{\imes}10^6g\;P\;day^{-1},\;-4.50{\times}10^5g\;P\;day^{-1}$로 순유출(net efflux)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면 집중호우가 있었던 9월과 겨울철인 11월은 곰소만 내부로 각각 $2.72{\times}10^6g\;P\;day^{-1},\;1.06{\times}10^4g\;P\;day^{-1}$로 순유입 (net influx)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곰소만 조간대는 flux의 크기로 볼 때 봄과 여름에 대부분 연안해수에 대하여 DIP의 공급원 역할을 하고, 단기적으로 집중호우가 있을 때 한시적으로 DIP의 저장장소로서 역할을 하며, 겨울철에는 비록 그 크기는 여름철에 비하여 작지만 연안해수에서 조간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곰소만 조간대를 유출입하는 flux들(조류에 의하여 곰소만 내외로 해수교환, 염지하수 유입, 육상기원 담수에 의한 유입) 중 겨울철을 제외하고 해수교환에 의한 flux가 연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한편 TDN은 겨울철을 제외하고 염지하수의 유입에 의한 flux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유동량은 봄, 여름, 집중호우 시기에 각각 $1.38{\times}10^7g\;N\;day^{1},\;2.45{\times}10^6g\;N\;day^{-1},\;4.65{\times}10^7g\;N\;day^{-1}$이 곰소만 조간대로 순유입되어 소모 내지 저장되었고, 겨울철에는 $-1.70{\times}10^7g\;N\;day^{-1}$이 곰소만 외부로 유출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곰소만은 겨울철을 제외하고 TDN의 소모 내지 저장 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ne of the on-going projects to investigate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we develop seasonal mass balance calculations (or DIP, DIN and DON in Gomso Bay. We have obtained 13-hours time-series data of salinity, tidal current, nu...

      As one of the on-going projects to investigate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we develop seasonal mass balance calculations (or DIP, DIN and DON in Gomso Bay. We have obtained 13-hours time-series data of salinity, tidal current, nutrients, and chlorophyll-a of seawater for spring, dry summer, rainy summer and winter during $1999{\sim}2000$. DIP of $-1.10{\times}10^6g\;P\;day^{-1},\;-4.50{\times}10^5g\;P\;day^{-1}$ was out-fluxed from the bay to the bay proper for spring and dry summer, respectively. Whereas $1.06{\times}10^4g\;P\;day^{-1}$ of net influx of DIP was found during winter and $2.72{\times}10^6g\;P\;day^{-1}$ of net influx was also found during the rainy summer. Therefore we suggest the role of Gomso tidal flat as a source of DIP fur the seasons of spring and summer, but as an opposite role during the rainy summer and winter but much smaller in magnitude. Except winter, the advection process by tidal current is found the most dominant flux among the diverse fluxes of DIP in the bay. Whereas ground water is estimated as the strongest flux of TDN except winter. TDN of $1.38{\times}10^7g\;N\;day^{-1},\;2.45{\times}10^6g\;N\;day^{-1},\;and\;4.65{\times}10^7g\;N\;day^{-1}$ was in-fluxed to the bay from the bay proper far spring, rainy summer and summer, respectively. Only $-1.70{\times}10^7g\;N\;day^{-1}$ of net out-flux was found during the winter. Therefore we suggest the role of Gomso tidal flat as a sink of TDN far the year round except win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해 곰소만 조간대에 발달한 쉐니어의 퇴적학적 특성과 진화" 212-228, 1993

      2 "한반도 연안 해역에서 해저 지하수 유출의 환경 생태학적 중요성" 10 : 204-212, 2005

      3 "인천 송도 조간대 저서미세조류의 일차생산에 관한 연구" 110-, 1991

      4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 56-, 1981

      5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173-181, 1993

      6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5 : 346-356, 2000

      7 "금강하구 공극수에서의 영양염과 용존금속의 수직적분포와 flux" 54-, 1998

      8 "곰소만의 오염물질수지연구" 환경부 505-, 1999

      9 "곰소만의 오염물질수지연구" 환경부 505-, 1999

      10 "곰소만에서의 오염물질 플럭스 및 탈질산화" 4 : 32-41, 2001

      1 "황해 곰소만 조간대에 발달한 쉐니어의 퇴적학적 특성과 진화" 212-228, 1993

      2 "한반도 연안 해역에서 해저 지하수 유출의 환경 생태학적 중요성" 10 : 204-212, 2005

      3 "인천 송도 조간대 저서미세조류의 일차생산에 관한 연구" 110-, 1991

      4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 56-, 1981

      5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173-181, 1993

      6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5 : 346-356, 2000

      7 "금강하구 공극수에서의 영양염과 용존금속의 수직적분포와 flux" 54-, 1998

      8 "곰소만의 오염물질수지연구" 환경부 505-, 1999

      9 "곰소만의 오염물질수지연구" 환경부 505-, 1999

      10 "곰소만에서의 오염물질 플럭스 및 탈질산화" 4 : 32-41, 2001

      11 "곰소만 조간대에서 인의 시공간적 분포" 7 : 171-180, 2002

      12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8 : 251-261, 2003

      13 "Vertical distributions of chemical oceanographic parameters in Jinhae Bay in July" ocea (ocea): 89-93, 19841983

      14 "Utility of radium isotopes for evaluating the input and transport of groundwater-derived nitrogen to a Cape Cod estuary" 46 : 465-470, 2001

      15 "Sedimentary nutrient cycling and a nutrient budget for Green Bay The 34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Great Lakes Research" 31-, 19911991

      16 "Sediment-water exchange of nutrients in the intertidal zone of the Humber Estuary" 37 : 261-279, 1998

      17 "Seasonal variations in nutrient budgets of Hakata Bay" 55 : 439-448, 1999

      18 "Scavenging processes of marine particles in the eutrophic coastal sea NRCT-JSPS Joint Seminar on Marine Science" Chulalingkorn Univ 254-, 1994

      19 "Polyphosphate in sea water" lim ocea (lim ocea): 515-518, 1968

      20 "Phosphorus and nitrogen mass budgets for Green Bay OME 36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Great Lake Research" 64-, 19931993

      21 "Phosphate sorption in superficial intertidal sediments" 1-16, 1994

      22 "Patterns of groundwater discharge into Florida Bay" 44 : 1045-1055, 1999

      23 "P ratio in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Chinhae Bay" ocea (ocea): 107-118, 1994

      24 "Mass balance of carbon and phosphorus in Shark Bay" lim ocea (lim ocea): 625-639, 1983

      25 "LOICZ biogeochemical modelling guidelines" 5 : 96-, 1996

      26 "Groundwater and pore water inputs to the coastal zone" 66 : 3-33, 2003

      27 "Ground water input to coastal salt ponds of southern Rhode Island estimated using 226Ra as a tracer" 54 : 163-174, 2001

      28 "Flow-induced uptake of particulate matter in permeable sediments" 41 : 309-322, 1996

      29 "Estuarine systems of the East Asia region" 14 : 127-, 2000

      30 "Estimating submarine inputs of groundwater and nutrients to a coastal bay using radium isotopes" 96 : 61-71, 2005

      31 "Distribution of various nitrogenous compounds and respiratory oxygen consumption rate in Masan Bay Korea during summer 1986" ocea (ocea): 303-310, 1992

      32 "Determination of total dissolved nitrogen in natural waters" lim ocea (lim ocea): 751-754, 1980

      33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 ocea (lim ocea): 799-801, 1969

      34 "Carbon-Nitrogen-Phosphorus Cycling in Tomales Bay" 4 : 395-402, 1998

      35 "Carbon and nutrient dynamics in a hypertrophic lagoon in southwestern Taiwan" 42 : 97-114, 2003

      36 "Budgets of nitrogen phosphorus and suspended solid in an intertidal flat" 1791-1797, 1986

      37 "Biogeochemical cycling in an organic rich coastal marine basin - II" 101-121, 1981

      38 "ArcCN-Runoff" 19 : 875-879, 2004

      39 "An assessment of the annual mass balance of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in Narragansett Bay" 31 : 15-61, 1995

      40 "A phosphorus mass balance for the Green Bay ecosystem OME36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Great Lake Research" 63-, 19931993

      41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