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보장지수 도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for deriving the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과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해결해야하는 문제와 대상의 우선순위를 양적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지역...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과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해결해야하는 문제와 대상의 우선순위를 양적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지역사회보장지수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인구집단과 사회보장의 주요 영역을 교차하고 지수화 과정을 거쳐 지역별 사회보장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보장을 기초생계, 고용, 주거, 신체건강, 정신건강, 학대, 사회참여, 문화 등 8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인구집단은 아동청소년, 청년, 노인, 여성, 장애인, 다문화 등 6개로 구분하였다. 지역사회보장지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사회보장의 영역과 인구집단이 교차하는 지점마다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의 지표를 구성하여 총 82개의 2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fsQCA를 활용하여 사회보장지수를 0에서 1사이로 지수화하였다. 분석결과, 17개 시도와 8개 영역이 교차한 136개의 지점에서는 서울과 제주의 주거, 광주의 주거, 광주의 기초생계, 제주의 사회참여, 울산의 고용, 대전의 정신건강 순으로 문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17개 시도와 6개 인구집단이 교차한 102개의 지점에서는 세종의 다문화, 부산의 노인, 강원의 아동청소년, 대전의 노인, 전북의 아동청소년 순으로 문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 본 연구에서 활용한 지수화 방식을 적용하여 시, 군, 구 단위로 지역사회보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를 확장한다면 지역 자체적으로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및 사업을 추진 할 때, 중요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추진한 사업의 성과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in order to implement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jects that can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that can confirm the priorities of...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in order to implement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jects that can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that can confirm the priorities of problems and targets that need to be solved by region in quantitative numb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oss the major population groups and major areas of social security, and to derive the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through the indexing process. To this end, social security was divided into eight areas: basic livelihood, employment, housing,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buse, social participation, and culture. Population group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hildren and adolescents, youth, the elderly, wom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ulti-cultural.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a total of 82 secondary data were used by configuring at least one to a maximum of three indicators at each intersection of the social security and the population group, and fsQCA was used to set the social security index to 0 was indexed between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t 136 points where 17 regions and 8 areas intersect, the level of problem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Seoul, Jeju, and Gwangju housing, Gwangju basic livelihood, Jeju social participation, Ulsan employment, and Daejeon mental health. Next, at 102 points where 17 regions and 6 population groups intersect, the level of problem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multi-cultural in Sejong, the elderly in Busan, children and youth in Gangwon, the elderly in Daejeon,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Jeonbuk. If the evaluation of the regional social security situation is extended to the city, county, and gu units using the indexing method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when implementing welfare projects or establishing a Community Welfare Plan.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s promoted based on this will be impro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진,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 김동진,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3 김동진,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 이봉주, "한국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세이브더칠드런 2013

      5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6 오후, "충북도민의 재난안전 인식도 분석 : 지역안전지수 7대 분야를 중심으로" 충북연구원 29 (29): 45-69, 2018

      7 김지경,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정사업 연구Ⅱ: 지역사회 진단⋅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8 배상수, "지역유형별 보건기관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2011

      9 신진동, "지역안전지수 등급과 시군구 특징 분석 - 교통분야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215-231, 2016

      10 통계청, "지역사회지표작성 매뉴얼"

      1 김동진,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 김동진,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3 김동진,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 이봉주, "한국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세이브더칠드런 2013

      5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6 오후, "충북도민의 재난안전 인식도 분석 : 지역안전지수 7대 분야를 중심으로" 충북연구원 29 (29): 45-69, 2018

      7 김지경,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정사업 연구Ⅱ: 지역사회 진단⋅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8 배상수, "지역유형별 보건기관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2011

      9 신진동, "지역안전지수 등급과 시군구 특징 분석 - 교통분야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215-231, 2016

      10 통계청, "지역사회지표작성 매뉴얼"

      11 이현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 평가와 모형개발"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12 한국지역사회복지연구소, "지역사회복지계획론" 양서원 2008

      13 강혜규,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이해 -지자체의 제4기 계획 수립, 실행 지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14 김태화, "지역사회보건지수(Community Health Index: CHI)의 개발과 한국사례에 적용" 한국경제연구학회 37 (37): 37-74, 2019

      15 김동현, "지역사회건강 수준 순위평가를 위한 전략개발과 적용"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16 김영수, "지역발전지수의 개발과 지역간 발전격차 분석" 산업연구원 2006

      17 고경환, "지방자치단체의 복지통계생산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8 보건복지부, "제4기(‘19~’22)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안내"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19 김보영,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전략과 방향" 5-17, 2014

      20 박기봉, "전국기반 지역발전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415-2423, 2016

      21 노혜진, "의제기반 지역별 실태 및 복지지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5

      22 윤홍식, "사회복지정책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23 이봉주, "배분의제 1차년도 성과평가 – 빈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7

      24 통계청, "데이터 기반 균형발전 정책추진을 위한 통계청-국가균형발전위원회 업무협약(MOU)체결 -지역 균형발전 및 삶의 질 측정 등 지역통계 도약을 위한 기반 마련 -" 2021

      25 송창영,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안전지수 향상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16 (16): 211-222, 2020

      26 이민홍, "기초자치단체 노인문제지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15

      27 이미숙, "공간적 자기상관을 활용한 지역안전지수의 공간패턴 분석 -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 39 (39): 29-40, 2021

      28 김은정, "건강도시 지표 및 지수 개발과 수도권 지역의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72 : 161-180, 2012

      29 강신욱, "개정 사회보장기본법 시행 과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0 Carling, P., "Return to Community: Building Support System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Guilford Press 1995

      31 보건복지부, "2021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안내" 보건복지부 2020

      32 김소영, "2019 의제기반 지역별 실태 및 복지지표 연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9

      33 심재헌, "2014 지역발전지수를 통해서 본 농어촌 삶의 질실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7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