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련성 환아에서 Valproate에 의한 혈중 지질의 변화와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and Factors Affecting on Lipid Status of Valproate Therapy in Children with Epileps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7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소아기 경련성 질환에서 장기간 valproate의 치료에 의한 혈중 지질 변화와 혈중 지질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성별, 치료 전 체질량지수, valproate의 혈중농도 등에 따른 지질의...

      목 적 : 소아기 경련성 질환에서 장기간 valproate의 치료에 의한 혈중 지질 변화와 혈중 지질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성별, 치료 전 체질량지수, valproate의 혈중농도 등에 따른 지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4개월 이상 valproate를 복용 중인 3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치료시작, 치료 후 6개월, 12개월, 24개월에 공복 시 TC, TG, LDL, HDL를 측정하여 valproate 치료에 의한 혈중 지질의 변화와 성별, 치료 전 체질량지수, valproate 혈중농도 등이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Valproate 치료에 의해 TC는 12개월까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 LDL는 치료 후 12개월까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TG, HDL은 치료 전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C/HDL 비는 치료 전 3.2±0.8에서 6개월 3.0±0.5로 치료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2) 성별 및 치료 전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TC, LDL, HDL, TC/HDL의 차이는 없었으며, TG가 체질량지수 20 이하 군에서 20 이상 군보다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도 차이가 있었다(P<0.05).
      3) Valproate 혈중농도가 증가할수록 LDL는 감소했으며(r=-0.2915, P<0.05), TC, TG, HDL valproate 혈중농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Valproate의 치료는 혈중 지질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았으나 비만한 환아 특히 사춘기 전후의 비만한 여아에서는 항경련제의 선택에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Antiepileptic drugs may alter serum lipid status in epileptic patients. We conducted this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valproate on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s(TG), low-density lipoprotein(LDL), high-density lipopro...

      Purpose : Antiepileptic drugs may alter serum lipid status in epileptic patients. We conducted this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valproate on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s(TG), low-density lipoprotein(LDL), high-density lipoprotein(HDL), and TC/HDL ratio,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erum lipid status in children with epilepsy who had been receiving valproate therapy.
      Methods : Thirty epileptic children(16 males, 14 females, mean age 7.4±3.3 years) were evaluated for serum lipid status at the onset and the 6, 12 and 24 months of valproate therapy, and were analysed changes and potential factors of affecting changes such as sex, body mass index, valproate concentration, in serum lipid levels during valproate therapy.
      Results : TC were significantly lowered during first 12 months of valproate theraphy (P<0.05). LDL were lowered during first 12 months. HDL and TC/HDL ratio were not changed and TG were increased during valproate theraphy but not reach to statistical significance. TC, TG, LDL, and HDL return to pretreatment levels after 24 months of valproate theraphy. TC, LDL, HDL, and TC/HDL ratio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and initial body mass index, but T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of BMI below 20(P<0.05). LDL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rrelation to serum valproate concentration(r=-0.2915. P<0.05).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valproate therapy would not increase a risk for atherosclerotic disorders in adulthood, but weight gain with a metabolic consequence of obesity would increase risk for atherosclerotic disorders in adulthoo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