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백금계 촉매를 이용한 Olefin과 삼염화실란의 수소규소화 반응 = Platinum Catalyzed Hydrosilylation of Olefin with Hydrosila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5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으로 흔히 쓰이는 삼염화 실란과 올레핀의 수소규소화 반응에서 위치 선택성이 우수한 백금계 촉매 제조 및 이들의 반응 활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다양한 치환...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으로 흔히 쓰이는 삼염화 실란과 올레핀의 수소규소화 반응에서 위치 선택성이 우수한 백금계 촉매 제조 및 이들의 반응 활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다양한 치환기(Me, i-Pr, t-Bu, c-Hx)를 가진 5각고리와 , i-Pr과 c-Hx이 치환된 6각 고리의 N-heterocyclic carbene (NHC) 리간드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NHC 리간드를 Karstedt 촉매 Pt[(CH₂=CH-SiMe₂)₂O]₂와 반응시켜 새로운 카빈 형태의 NHC-Pt(DVTMS)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여기서 합성한 NHC 촉매를 사용하여 삼염화 실란과 para-위치에 치환된 (R=Me, Cl, OMe, CN) 스티렌계 화합물의 반응 특성을 연구하여 말단에 실릴기가 선택적으로 부가된 생성물을 얻었다. 이 반응에서 스티렌의 para-위치에 치환기 효과를 조사하였고, 지방족 올레핀과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Speier's catalyst, Karstedt's catalyst 그리고 NHC-Pt와의 반응활성 및 위치 선택성을 비교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NHC-Pt 촉매 사용시에 반응 활성은 Speier's catalyst와 Karstedt's catalyst에 비하여 떨어지나 위치 선택성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스티렌과 삼염화 실란과의 반응에서 이중결합 이동과 같은 부반응은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CN이 치환된 스티렌의 경우 NHC 5각고리 촉매 화합물보다 NHC 6각고리 촉매 화합물의 반응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para-위치에 치환기가 전자 주는 능력이 증가할수록 반응성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ichlorosilane containing Si-H bond has been regarded as an useful material applicable to synthesis of organosilicon compounds. Introduction of the trichlorosilane to unsaturated hydrocarbons by hydrosilyation is the major synthetic method. Conventio...

      Trichlorosilane containing Si-H bond has been regarded as an useful material applicable to synthesis of organosilicon compounds. Introduction of the trichlorosilane to unsaturated hydrocarbons by hydrosilyation is the major synthetic method. Conventional hydrosilyation catalysts, Speier's or Karstedt's catalyst, have been used for long time but they suffer from side reactions in particular reactions. Therefore five-member ring with various substituent (R=Me, i-Pr, t-Bu, c-Hx) and six-member ring with (R=i-Pr, c-Hx) N-heterocyclic carbene (NHC) ligands have been prepared. New NHC-Pt(DVTMS) complexes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s of NHC ligands with karstedt catalyst Pt[(CH₂=CH-SiMe₂)₂O]₂. Catalytic activities of the NHC-Pt(DVTMS) have been compared with common catalyst (speier, karstedt) for the hydrosilylation of para-substituted styrene [R=H (1a), R=Me (1b), R=Cl (1c), R=OMe (1d), R=CN (1e)] with trichlorosilane. NHC-Pt catalysts show exquisite selectivity. In particular, side reaction such as double bond migration wasn't observed in the hydrosilylation of styrene with trichlorosilane. Interestingly, the hydrosilylation of CN substituted styrene with trichlorosilane under NHC_(6)-Pt(DVTMS) is much more active than NHC_(5)-Pt(DVTMS). Consequently, reactivity of para-CH₂=CH-Ph-R increases with increasin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 제 1 장. 서론 = 2
      • 제 2 장. 실험 = 7
      • 2.1. 시약 및 기기 = 7
      • 2.2 Imidazolium Salt의 합성 = 7
      • 국문요약 = 1
      • 제 1 장. 서론 = 2
      • 제 2 장. 실험 = 7
      • 2.1. 시약 및 기기 = 7
      • 2.2 Imidazolium Salt의 합성 = 7
      • 2.2.1 1,3-Dimethylimidazolium iodide (1)의 합성 = 8
      • 2.2.2 1,3-Di-tert-butylimidazolium chloride (2)의 합성 = 8
      • 2.2.3 1,3-Di-tert-but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3)의 합성 = 9
      • 2.2.4 1,3-Dicyclohexylimidazolium chloride (4)의 합성 = 10
      • 2.2.5 1,3-Dicyclohex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5)의 합성 = 11
      • 2.2.6 1,3-Diisoprop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6)의 합성 = 11
      • 2.2.7 N,N'-Diisopropyl-1,3-propanediamine (7) 합성 = 12
      • 2.2.8 1,3-Diisopropyl-1,4,5,6-tetrahydropyrimidinium tetrafluoroborate (8) 합성 = 13
      • 2.2.9 N,N'-Dicyclohexyl-1,3-propanediamine (9) 합성 = 14
      • 2.2.10 1,3-Dicyclohexyl-1,4,5,6-tetrahydropyrimidinium tetrafluoroborat e (10) 합성 = 15
      • 2.3 Karstedt 촉매의 제조 = 15
      • 2.4 Platinum-carbene complex의 합성 = 16
      • 2.4.1 1,3-Dicyclohexylimidazol-2-ylidene이 치환된 Pt (9) 촉매의 합성 = 16
      • 2.4.2 1,3-Dimethylimidazol-2-ylidene이 치환된 Pt (10) 촉매의 합성 = 17
      • 2.4.3 1,3-Di-tert-buthylimidazol-2-ylidene이 치환된 Pt (11) 촉매의 합 성 = 18
      • 2.4.4 1,3-Diisopropylimidazol-2-ylidene이 치환된 Pt (12) 촉매의 합성 = 18
      • 2.4.5 1,3-Diisopropyl-1,4,5,6-tetrahydropyrimid-2-ylidene이 치환된 Pt (13) 촉매의 합성 = 19
      • 2.4.6 1,3-Dicyclohexyl-1,4,5,6-tetrahydropyrimid-2-ylidene이 치환된 Pt (14) 촉매의 합성 = 20
      • 2.5 백금계 촉매를 이용한 수소규소화 반응 = 20
      • 2.5.1 일반적인 조건 = 21
      • 2.5.2 스티렌과 삼염화실란의 수소규소화 반응 = 21
      • 2.5.2.1 Speier 촉매사용 = 21
      • 2.5.2.2 Karstedt 촉매사용 = 22
      • 2.5.2.3 Me-NHC_(5) Pt (10) 촉매사용 = 22
      • 2.5.2.4 i-Pr-NHC_(5) Pt (12) 촉매사용 = 23
      • 2.5.2.5 c-Hx-NHC_(5) Pt (9) 촉매사용 = 23
      • 2.5.2.6 i-Pr-NHC_(6) Pt (13) 촉매사용 = 23
      • 2.5.2.7 c-Hx-NHC_(6) Pt (14) 촉매사용 = 24
      • 2.5.3 메틸스티렌과 삼염화실란의 수소규소화 반응 = 24
      • 2.5.3.1 Speier 촉매사용 = 24
      • 2.5.3.2 Karstedt 촉매사용 = 25
      • 2.5.3.3 Me-NHC_(5) Pt (10) 촉매사용 = 25
      • 2.5.3.4 i-Pr-NHC_(5) Pt (12) 촉매사용 = 25
      • 2.5.3.5 c-Hx-NHC_(5) Pt (9) 촉매사용 = 25
      • 2.5.3.6 i-Pr-NHC_(6) Pt (13) 촉매사용 = 26
      • 2.5.3.7 c-Hx-NHC_(6) Pt (14) 촉매사용 = 26
      • 2.5.4 클로로스티렌과 삼염화실란의 수소규소화 반응 = 26
      • 2.5.4.1 Speier 촉매사용 = 26
      • 2.5.4.2 Karstedt 촉매사용 = 27
      • 2.5.3.3 Me-NHC_(5) Pt (10) 촉매사용 = 27
      • 2.5.3.4 i-Pr-NHC_(5) Pt (12) 촉매사용 = 28
      • 2.5.3.5 c-Hx-NHC_(5) Pt (9) 촉매사용 = 28
      • 2.5.3.6 i-Pr-NHC_(6) Pt (13) 촉매사용 = 28
      • 2.5.3.7 c-Hx-NHC_(6) Pt (14) 촉매사용 = 29
      • 2.5.5 메톡시스티렌과 삼염화실란의 수소규소화 반응 = 29
      • 2.5.6 사이아노스티렌과 삼염화실란의 수소규소화 반응 = 29
      • 2.5.6.1 Speier 촉매사용 = 29
      • 2.5.6.2 Karstedt 촉매사용 = 30
      • 2.5.6.3 Me-NHC_(5) Pt (10) 촉매사용 = 30
      • 2.5.6.4 i-Pr-NHC_(5) Pt (12) 촉매사용 = 30
      • 2.5.6.5 c-Hx-NHC_(5) Pt (9) 촉매사용 = 31
      • 2.5.6.6 i-Pr-NHC_(6) Pt (13) 촉매사용 = 31
      • 2.5.6.7 c-Hx-NHC_(6) Pt (14) 촉매사용 = 31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32
      • 3.1 Imidazolium salt의 합성 = 32
      • 3.2 Karstedt 촉매의 제조 = 35
      • 3.3 Platinum carbene complex의 합성 = 36
      • 3.4 백금계 촉매를 이용한 수소규소화 반응 = 44
      • 3.4.1 스티렌과 삼염화실란과의 반응 = 44
      • 3.4.2 메틸스티렌과 삼염화실란과의 반응 = 46
      • 3.4.3 클로로스티렌과 삼염화실란과의 반응 = 47
      • 3.4.4 4-메톡시스티렌과 삼염화실란과의 반응 = 48
      • 3.4.5 사이아노스티렌과 삼염화실란과의 반응 = 48
      • 제 4 장. 결론 = 50
      • ABSTRACT = 52
      • 참고문헌 = 54
      • 감사의 글 = 57
      • 부록 = 59
      • I. 본 연구에서 사용 또는 합성한 물질 data = 60
      • II. 본 연구에서 합성한 물질의 NMR spectra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