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프로젝션 맵핑을 이용한 빔버타이징 기법의 공간 확장성 연구 = A Study of space expansion of Beamvertising and managing method using projection mapp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3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에 연구되었던 프로젝션 맵핑 작품들은 피사체를 중심으로 프로젝터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투사되어왔다. 하지만 IT기술의 발달은 프로젝터의 물리적 공간 활용성의 한계를 ...

      기존에 연구되었던 프로젝션 맵핑 작품들은 피사체를 중심으로 프로젝터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투사되어왔다. 하지만 IT기술의 발달은 프로젝터의 물리적 공간 활용성의 한계를 탈피하고 새로운 공간의 확장을 통해 미디어의 공간표현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게 되었다. 확장된 공간 리얼리티는 관객에게 현장감과 생동감을 더욱더 느낄 수 있도록 하며, 3차원적 실제 공간에서 가상의 3차원적 콘텐츠를 투사하는 3D 프로젝션 맵핑은 착시를 감각적으로 체험한다는 점에 혼합현실과 같은 개념으로 이는 새로운 결함을 통해 제3의 공간으로 확장되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공간에서 가상의 공간을 표현하는 매체로 활용되어지는 프로젝션 맵핑의 방법론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기존에 피사체를 중심으로 고정되어 투사되는 프로젝션 맵핑 구현방법에 탈피하여 공간 활용의 한계를 뛰어 넘은 빔버타이징을 통해 표현 기법으로써 프로젝션 맵핑의 이해와 공간의 확장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것은 기존 고정되어 있는 프로젝터의 제한적 공간활용을 벗어나 빔버타이징으로 대상과 공간의 경계를 넘어 관객이 있는 공간 제체가 영상매체로 활용되는 공간의 확장성과 콘텐츠의 발전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빔버타이징 표현 방법으로 현실과 가상의 공간영역의 경계를 새로운 공간의 확장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jection mapping existing research work was focused on the sub-ject,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to a state in which the project has been fix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 projector limits the physical space utilization escape ...

      Projection mapping existing research work was focused on the sub-ject,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to a state in which the project has been fix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 projector limits the physical space utilization escape the castle and through the expansion of new space in media representations of space have been able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Expanded space reality to the audi-ence to feel more and more realistic and vivid, and three -dimensional physical space, virtual three -dimensional content in a 3D projection mapping projection on the illusion that the sensory ex-perience of reality and the concept of mixed This new defects that extend into the space of the third possibility is shown. In this paper, the physical space to virtual space as a medium to express the pro-jection mapping methodology that is utiliz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the subject in the center is fixed to existing projection mapping on how to implement that escape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space beamvertising surpassed by expressed through projection mapping techniques and an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the space scalability is proposed. This is fixed in the existing projector out of the limited space utilization beamvertising target audience beyond the boundaries of space and the space to be used as my sieve video me-dia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expansion of space has been talking about the possi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은빈,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2012

      2 장승은, "프로젝션 맵핑에 의한 미디어 파사드" 1 : 849-853, 2012

      3 조재준, "프로젝션 매핑을 이용한 공간의 환영성과 확장성 표현방법"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6) : 125-133, 2013

      4 유정은, "창의적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 : 바이럴 마케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2

      5 유정은, "창의적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 : 바이럴 마케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2

      6 최민욱, "옥외광고 효과에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3 (3): 35-54, 2006

      7 SP투데이, "새로운 광고기법의 해석"

      8 황갑환, "물리 공간과 프로젝션 매핑을 활용한 깊이감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253-262, 2010

      9 권형준, "디지털 조형을 이용한 미디어 파사드" 22 (22): 3-7, 2008

      10 이경임, "공간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 : 벽의 요소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2000

      1 고은빈,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2012

      2 장승은, "프로젝션 맵핑에 의한 미디어 파사드" 1 : 849-853, 2012

      3 조재준, "프로젝션 매핑을 이용한 공간의 환영성과 확장성 표현방법"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6) : 125-133, 2013

      4 유정은, "창의적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 : 바이럴 마케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2

      5 유정은, "창의적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 : 바이럴 마케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2

      6 최민욱, "옥외광고 효과에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3 (3): 35-54, 2006

      7 SP투데이, "새로운 광고기법의 해석"

      8 황갑환, "물리 공간과 프로젝션 매핑을 활용한 깊이감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253-262, 2010

      9 권형준, "디지털 조형을 이용한 미디어 파사드" 22 (22): 3-7, 2008

      10 이경임, "공간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 : 벽의 요소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2000

      11 "http://www.cyworld.com/hivision1/3390035"

      12 "http://blog.naver.com/sptoday?Redirect=Log&log"

      13 K. Mase, "Ubiquitous Experience Media The authors develop several devices, including a wearable interaction tracker, that facilitate indexed recordings of human experiences" 13 (13): 20-29, 2006

      14 Martin Brynskov, "Staging Urban Interactions with Media Facades" 12 : 154-167, 2009

      15 싸이월드, "Car Launching Show - 프로젝션 맵핑 자동차와 만나다. 경관조명, 홀로그램, 문화 컨텐츠 기획, 게릴라 광고"

      16 이재운, "3D 프로젝션 매핑에 나타나는 확장된 가상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
      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3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