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 해방촌 경사지 주택 건축의 유형 및 변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6550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2015. 2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10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146 p. ; : 삽화,지도,설계도,사진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성홍
        참고문헌 :140-142p.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s residential areas in Seoul experienced numerous changes in its appearance. The previous residential areas showed aspects of being developed into large scale apartments or commercialized due to unbearable pressure for development during the u...

      Today’s residential areas in Seoul experienced numerous changes in its appearance. The previous residential areas showed aspects of being developed into large scale apartments or commercialized due to unbearable pressure for development during the urban expansion process represented in the period of liberalization, the Korean War, an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the 60s. However, the natural urban growth process generally accepts the changes and finds its point of revolution from the microscopic difference.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the microscopic changes, architectural aspects,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Haebangchon in Yongsan-dong 2ga in Seoul which remained as low-rise single-family housing due to physical and economic conditions such as Namsan Mountain, US Army Base in Yong san and 3rd Namsan Tunnel while numerous other squatter areas in Seoul were developed into apartments.

      The residential areas in Haebangchon had autogenous characteristics from the beginning of its formation. Its architecture and the residential areas have experienced changes from late 70s to early 90s due to Yongsan First Self-Help Redevelopment. Als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aebangchon as hillside are the frame determining the form of residential areas and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ypologies and architectural aspects from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structures.

      The research scope was 23 individual buildings from the southeastern side of Haebangchon which is house numbers of 11~44. The site was observed microscopically and the typologies and architectural aspect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s the size of the site. The average land parcel area of the small blocks belong to the 23 selected buildings are abut 137.7㎡ whereas the average area for single family housing was 133.2㎡ which is larger than the minimum land parcel area, 76.03㎡ applied to the Self-Help Redevelopment. Assuming that the streets and land parcels of the research subject sites remained unchanged in terms of urban fabric, the redevelopment was conducted larger than 76.03㎡. This size was about 33.06㎡ smaller than the minimum land parcel area of the Young dong district in Gangnam, 165㎡, which was built through Land Readjustment Project.

      Second i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 size. The 23 selected subject buildings had average of 76.03㎡ of basement space which was split into small household such as single-family housing for residential purpose. The average household area of the first floor was 61.49㎡ for single-family and multi-family which was larger than multiplex housing(about 39.67㎡). Also, the single-family and multi-family had entry and arrangement based on the 1st floor with minor changes in the plan structure of different floors but multiplex housing had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 structure.

      Third, each building had different the location of arrangement, entry, and front gat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street slopes and types of site frontage. Majority of the buildings had the front door near the entrance by using the street level responding to the street and direction.

      Fourth, the research sites experienced general transformation of the residential area which was the transformation from single floor housing to 2~3rd floor housing with basements. The development took place gradually over long period(15 year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emergence of multi-family housing. Such comparison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xisting apparent differences of plan structure between multi-family housing and single-family housing, which still remains. The integrated transformation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hanges of stair(street). The changes in stair(street) was that exterior independent stairs connecting the housing were gradually integrated into internal stair in the order of single-family housing>multi-family housing>mixed-use housing>multi-family housing. The single-family housing showed different aspects for the transformation of stair(street) with installation of exterior stair later due to interfacial separation. Also, the different conditions of each site showed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internal factors.

      The above 4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scale of urban fabric, the inherent architecture, and microscopic architectural changes. The Haebangchon remained as foreign area in the midst of the centers of change having the importance as the case of residential area in Seo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서울 주거지는 많은 변모를 겪어왔다. 해방과 한국전쟁 60년대 산업화 도시화 시기로 대변되는 도시 팽창 과정에서 기존 주거지들은 대단위 아파트로 개발되거나 주변의 개발 압력에...

      오늘날 서울 주거지는 많은 변모를 겪어왔다. 해방과 한국전쟁 60년대 산업화 도시화 시기로 대변되는 도시 팽창 과정에서 기존 주거지들은 대단위 아파트로 개발되거나 주변의 개발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상업화 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도시 성장 과정이란 대개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미세한 차이에 의해 변혁의 지점을 찾는다.

      본 연구는 그간 서울의 많은 불량 주택지들이 아파트로 대체되어 갈 때 남산과 용산 미군기지, 남산3호 터널 등 물리적 여건과 경제 상황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여전히 저층 단독주택지로 남아있는 서울 용산동 2가 해방촌의 주택지 형성 과정과 건축 특징과 변화를 미시적으로 관찰 분석한다.

      해방촌 주택지는 그 형성 초기부터 자생의 성격을 가지며 용산1 자력재개발사업을 거치면서 7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까지 주택지와 건축에 변화를 겪었다. 또한, 경사지로서 다양한 지형을 가지는 해방촌의 물리적 구조는 주택지와 건축의 형식을 결정짓는 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 유형과 건축적 특징을 물리적 구조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해방촌 동남 측 일대 11~44번지로 대상지 내에서 총 23동의 개별 건축물을 선정하여 주택 유형과 건축적 특징을 미시적으로 현장 관찰, 분석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크게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대지 규모로 총 23동 대상 건축물이 속한 소 블록의 평균 필지 면적은 약 41평(137.7㎡), 단독주택은 약 40평(133.2㎡)으로 자력재개발 시 적용하였던 필지 최소면적(23평)보다는 컸다. 이는 연구대상지가 그동안 도시조직에 큰 변화를 겪지 않고 길과 필지가 유지되었음을 가정할 때 23평 보다는 큰 규모로 개발되었음을 보여 주며, 이를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강남의 영동지구 필지 최소 면적 50평(165㎡)과 비교하면 약 10평 정도 작은 규모였다.

      둘째는 주택 유형별 수평 및 수직의 평면 규모로 총 23동 대상 건축물은 평균 약 23평의 지하공간을 갖고 있었으며 단독주택을 포함, 대개 소형 세대로 분할하여 주거용으로 사용하였고 주택의 세대당 가구 면적은 1층을 기준으로 단독, 다가구는 약 18.6평으로 비슷하며 다세대 주택(약 12평)보다 컸다. 또한, 단독, 다가구는 1층을 기준으로 배치 및 현관 진입이 이루어졌고 층별 평면의 구조에 약간씩 차이가 있는 반면 다세대 주택은 수평 및 수직적 평면의 구조가 동일했다.

      셋째는 개별 건축물들은 대지 접도 유형과 도로 경사에 따라 배치 및 현관, 대문 위치 등이 모두 다르며 길과 향에 대응하면서 도로 레벨을 이용하여 현관과 가까운 지점에 대문을 두어 연결하는 형식이 많았다.

      넷째는 연구 대상지는 단층 주거에서 지하를 갖춘, 지상2~3층의 규모로 수직화되는 주택지의 일반적인 변용을 겪었고 오랜 기간(약 15년) 점진적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 주택 유형(다세대,다가구)의 등장 전·후 비교가 가능했다. 그것은 여전히 다수 남아있는 단독주택(다가구거주)과 다세대 주택의 뚜렷한 평면 구조 차이에 의해 가능하였고 그것의 변용을 집약하면 계단(길)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었다. 계단(길)의 변화는 단독> 다가구> 주거복합> 다세대주택 순으로 주택을 연결하는 계단이 외부 독립계단에서 내부 계단실로 점차 통합되었고 단독주택의 경우는 층간 수직 분리에 의해서 추후 외부계단을 신설하면서 계단(길)의 변용에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각 대지의 상이한 조건과 내부 요인에 따라 양상도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4가지 연구 결과는 크게 도시조직의 스케일과 그 안의 건축, 그리고 미시적인 건축 변화로 요약된다. 그동안 이방 지대로 남아 있으면서도 언제나 변화의 중심 가운데 놓여있는 해방촌은 서울 도심의 주거지 사례로서 연구의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0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01
      • 1. 연구 배경 01
      • 2. 연구 목적 03
      • 제1장 서 론 0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01
      • 1. 연구 배경 01
      • 2. 연구 목적 03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04
      • 1. 공간 범위 04
      • 2. 시간 범위 07
      • 3. 연구 방법 07
      • 제3절 선행연구 분석 08
      • 제2장 해방촌의 형성 과정과 변화 10
      • 제1절 해방촌의 형성 11
      • 1. 1946년 이후 자생 주거지 형성 11
      • 2. 1978~1993년 용산1 자력재개발사업 17
      • 제2절 시기별 법 제도의 변화 26
      • 1. 1985년 건축법 시행령(다세대 합법화) 26
      • 2. 1990년 건설교통부 지침(다가구 합법화) 27
      • 제3장 해방촌의 도시조직 및 건축물 유형 29
      • 제1절 도시 조직 29
      • 제2절 대상 건축물의 유형 및 개요 40
      • 제3절 소결 47
      • 제4장 해방촌의 주택 건축 유형 및 변용 49
      • 제1절 분석의 틀 및 대상 건축물의 분석 49
      • 1. 단독주택 51
      • 2. 다세대주택 83
      • 3. 다가구주택 96
      • 4. 주거·복합주택 103
      • 제2절 평면의 구조 126
      • 1. 현관과 대문의 연결 129
      • 제3절 계단(외부 계단 부착형, 외부 계단실 부착형, 내부 계단실형) 131
      • 제5장 결 론 137
      • 참고문헌 140
      • ABSTRACT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