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변문을 통해 본 불교경전의 문화적 변용과 해석 = The Cultural Transfiguration and Understanding of Buddhist Sutra viewed in Dunhuang Bianw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83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work of religious literature, if it want to be propagated widely, must reflects the readers’ understandings and needs. Provided the matters of common concern are faithfully represented and the readers’ level of understanding is adapted to, it ca...

      A work of religious literature, if it want to be propagated widely, must reflects the readers’ understandings and needs. Provided the matters of common concern are faithfully represented and the readers’ level of understanding is adapted to, it can be circulated extensively.
      As a religious literature, Dunhuang Buddhistic Bianwen prevailed for the Tang and Five Dynasties, and obtained immense popular support. They were produced by Chinese, and were intended to provide for the Chinese people. Therefore, the works inevitably represent the Chinese folk custom and culture in it. Having the differences of the contents between the works and the Buddhist scriptures in mind, this paper try to ascertain the components of the Chinese custom and the culture infiltrated into the works. This research also means to seek internal causes which made it prevalent at the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돈황변문은 본래 인도에서 인도인에 의해 탄생한 불교 경전의 가르침을 일반 대중에게 알리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중국에서 중국인에 의해 창작되어 중국인 사이...

      돈황변문은 본래 인도에서 인도인에 의해 탄생한 불교 경전의 가르침을 일반 대중에게 알리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중국에서 중국인에 의해 창작되어 중국인 사이에서 유전되고 향유되었던 것이다. 전파 지역과 전파 대상이 달라지면 그 전파 방법을 물론이고 심지어 전파 내용도 필요에 따라서 달라져야 한다.
      중국에 들어온 불교는 속강이라는 새로운 전파 방법을 운용하되 소의경전의 내용에 얽매이지 않고 그 내용을 다소 변형시키거나 없던 내용을 새롭게 첨가하기도 했다. 이것은 모든 종교문학이 으레 그러하듯 속강 향유자들의 높은 호응과 광범위한 전파를 위해 그들의 공통된 인식과 수요, 의지(意志)와 바람을 반영한 당연한 결과였다.
      본 논문은 각각의 변문 텍스트와 이들 텍스트가 의거하고 있는 경전과의 내용 비교를 통해, 속강승에 의해 경전의 내용이 변형되거나 새롭게 첨가된 내용들을 가려낸 다음, 이들을 크게 민속신앙과 전통풍습, 전통사상이라는 세 카테고리로 대별하여 그렇게 변형되고 첨가될 수밖에 없었던 배경과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곧 속강 성행의 내적 요인이자 중국불교의 흥성 배경이기도 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부처님의 생애" 조계종출판사 2010

      2 정병윤, "돈황변문으로 본 중고(中古)시기 돈황불교의 성격" 중국연구소 60 : 3-33, 2014

      3 黃征, "돈황변문교주" 소명출판 2015

      4 "高僧法顯傳(大正藏 51)"

      5 "雜寶藏經(大正藏 4)"

      6 朱越利, "道經總論" 遼寧敎育出版社 1991

      7 "過去現在因果經(大正藏 3)"

      8 "賢愚經(大正藏 4)"

      9 李小榮, "變文講唱與華梵宗敎藝術" 三聯書店 2002

      10 金榮華, "讀敦煌變文雜記" 2003

      1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부처님의 생애" 조계종출판사 2010

      2 정병윤, "돈황변문으로 본 중고(中古)시기 돈황불교의 성격" 중국연구소 60 : 3-33, 2014

      3 黃征, "돈황변문교주" 소명출판 2015

      4 "高僧法顯傳(大正藏 51)"

      5 "雜寶藏經(大正藏 4)"

      6 朱越利, "道經總論" 遼寧敎育出版社 1991

      7 "過去現在因果經(大正藏 3)"

      8 "賢愚經(大正藏 4)"

      9 李小榮, "變文講唱與華梵宗敎藝術" 三聯書店 2002

      10 金榮華, "讀敦煌變文雜記" 2003

      11 "維摩詰經(大正藏 14)"

      12 上海古籍出版社, "法藏敦煌西域文獻" 1994

      13 姜亮夫, "楚辭學論文集" 上海古籍出版社 1984

      14 "普曜經(大正藏 3)"

      15 "方廣大莊嚴經(大正藏 3)"

      16 高國藩, "敦煌民俗學" 上海文藝出版社 1989

      17 鄭炳潤, "敦煌寫本 〈여산원공화〉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4

      18 季羨林, "敦煌學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1998

      19 "撰集百緣經(大正藏 4)"

      20 "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大正藏 14)"

      21 "太子瑞應本起經(大正藏 3)"

      22 愛德華, "唐代的外來文明" 陝西師範大學出版社 2005

      23 "修行本起經(大正藏 3)"

      24 "佛開解梵志阿颰經(大正藏 1)"

      25 "佛本行集經(大正藏 4)"

      26 張傳璽, "中國歷代契約會編考釋" 北京大學出版社 1995

      27 吳慧穎, "中國數文化" 岳麓書社 1995

      28 高國藩, "中國巫術史" 三聯書店 1999

      29 方立天, "中國佛敎與傳統文化" 上海人民出版社 1988

      30 中村元, "中國佛敎發展史" 天華出版公司 1984

      31 "七佛八菩薩所說大陀羅尼神呪經(大正藏 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7-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Journal of Sinology and China Studies KCI등재
      2015-07-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China Studies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KCI등재
      2015-03-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hina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27 0.4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