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동시조음 모델에 기반한 스피치 애니메이션 생성 = Speech Animation Synthesis based on a Korean Co-articulation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91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eech animation synthesis specialized in Korean through a rule-based co-articulation model. Speech anim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ultural industry, such as movies, animations, and games that require natural and 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eech animation synthesis specialized in Korean through a rule-based co-articulation model. Speech anim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ultural industry, such as movies, animations, and games that require natural and realistic motion. Because the technique for audio driven speech animation has been mainly developed for English, however, the animation results for domestic content are often visually very unnatural. For example, dubbing of a voice actor is played with no mouth motion at all or with an unsynchronized looping of simple mouth shapes at best. Although there are language-independent speech animation models, which are not specialized in Korean, they are yet to ensure the quality to be utilized in a domestic content production. Therefore, we propose a natural speech animation synthesis method that reflect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riven by an input audio and text. Reflecting the features that vowels mostly determine the mouth shape in Korean, a coarticulation model separating lips and the tongue has been defined to solve the previous problem of lip distortion and occasional missing of some phoneme characteristics. Our model also reflects the differences in prosodic features for improved dynamics in speech animation. Through user studies, we verify that the proposed model can synthesize natural speech ani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규칙 기반의 동시조음 모델을 통해 한국어에 특화된 스피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음성에 대응되는 입 모양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기술은 영어를 중심으...

      본 논문에서는 규칙 기반의 동시조음 모델을 통해 한국어에 특화된 스피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음성에 대응되는 입 모양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기술은 영어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자연스럽고 사실적인모션이 필요한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문화산업 전반에 널리 활용된다. 그러나 많은 국내 콘텐츠의 경우, 스피치 애니메이션을 생략하거나 음성과 상관없이 단순 반복 재생한 뒤 성우가 더빙하는 형태로 시각적으로 매우 부자연스러운 결과를보여준다. 또한, 한국어에 특화된 모델이 아닌 언어 비의존적 연구는 아직 국내 콘텐츠 제작에 활용될 정도의 퀄리티를 보장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음성과 텍스트를 입력받아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성을 반영한 자연스러운 스피치 애니메이션생성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어에서 입 모양은 대부분 모음에 의해 결정된다는 특성을 반영하여 입술과 혀를 분리한 동시조음 모델을 정의해 기존의 입술 모양에 왜곡이 발생하거나 일부 음소의 특성이 누락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더 나아가운율적 요소에 따른 차이를 반영하여 보다 역동적인 스피치 애니메이션 생성이 가능하다. 제안된 모델은 유저 스터디를 통해자연스러운 스피치 애니메이션을 생성함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국내 문화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은, "한글 문자 입력에 따른 얼굴 에니메이션" 한국전자통신학회 4 (4): 116-122, 2009

      2 임홍빈, "한국어의 불규칙 활용에 대하여" (3) : 1-21, 2014

      3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박이정출판사 2014

      4 정일홍, "한국어 음소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3D 립싱크 애니메이션"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9 (9): 331-339, 2008

      5 오현화, "한국어 모음 입술독해를 위한 시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 21 (21): 19-26, 2002

      6 김종록,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 활용 사전 돌아보기" 한글학회 (295) : 73-134, 2012

      7 임성민, "어텐션 기반 엔드투엔드 음성인식 시각화 분석" 한국음성학회 11 (11): 41-49, 2019

      8 김탁훈,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한국어 립싱크 연구 : 영어권 애니메이션의 립싱크 기법을 기반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13) : 97-114, 2008

      9 이광희, "시청각 정보를 활용한 음성 오인식률 개선 알고리즘" 341 (341): 341-342, 2010

      10 양순임, "‘ㅎ’ 불규칙용언의 표기 규정에 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회 (62) : 315-338, 2012

      1 김태은, "한글 문자 입력에 따른 얼굴 에니메이션" 한국전자통신학회 4 (4): 116-122, 2009

      2 임홍빈, "한국어의 불규칙 활용에 대하여" (3) : 1-21, 2014

      3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박이정출판사 2014

      4 정일홍, "한국어 음소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3D 립싱크 애니메이션"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9 (9): 331-339, 2008

      5 오현화, "한국어 모음 입술독해를 위한 시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 21 (21): 19-26, 2002

      6 김종록,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 활용 사전 돌아보기" 한글학회 (295) : 73-134, 2012

      7 임성민, "어텐션 기반 엔드투엔드 음성인식 시각화 분석" 한국음성학회 11 (11): 41-49, 2019

      8 김탁훈,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한국어 립싱크 연구 : 영어권 애니메이션의 립싱크 기법을 기반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13) : 97-114, 2008

      9 이광희, "시청각 정보를 활용한 음성 오인식률 개선 알고리즘" 341 (341): 341-342, 2010

      10 양순임, "‘ㅎ’ 불규칙용언의 표기 규정에 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회 (62) : 315-338, 2012

      11 H. P. Graf, "Visual prosody : Facial movements accompanying speech" IEEE 396-401, 2002

      12 Y. Zhou, "Visemenet : Audio-driven animator-centric speech animation" 37 (37): 1-10, 2018

      13 D. Povey, "The kaldi speech recognition toolkit" IEEE Signal Processing Society 2011

      14 Y. -C. Wang, "Rule-based korean grapheme to phoneme conversion using sound patterns" 2 : 843-850, 2009

      15 K. Tjaden, "Rate and loudness manipulations in dysarthria" 2004

      16 M. McAuliffe, "Montreal forced aligner : Trainable textspeech alignment using kaldi" Interspeech 498-502, 2017

      17 P. Edwards, "Jali : an animator-centric viseme model for expressive lip synchronization" 35 (35): 127-, 2016

      18 J. -R. Park, "Human-like fuzzy lip synchronization of 3d facial model based on speech speed"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416-419, 2006

      19 H. -J. Hyung, "Evaluation of a korean lip-sync system for an android robot" IEEE 78-82, 2016

      20 S. L. Taylor, "Dynamic units of visual speech" 275-284, 2012

      21 R. D. Kent, "Coarticulation in recent speech production models" 5 (5): 115-133, 1977

      22 G. S. Turner, "Characteristics of speaking rate in the dysarthria associated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36 (36): 1134-1144, 1993

      23 I. Albrecht, "Advances in Modelling, Animation and Rendering" Springer 283-293, 2002

      24 S. -W. Kim, "A talking head system for korean text" 50 :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7 0.07 0.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5 0.04 0.29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