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설과 연극의 이야기하기(strorytelling) = A Comparative Study of Storytelling in Novels and Dramas - Focused on The Empire of Ligh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3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콘텐츠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같은 이야기지만 다른 방식으로 새롭게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 매체의 전회는 이야...

      콘텐츠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같은 이야기지만 다른 방식으로 새롭게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 매체의 전회는 이야기를 지각하고 인식하는 태도를 바꿔 이야기 자체보다는 같은 이야기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르게 표현하고 있는가에 주목하게 했다. 그리고 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야기를 담아내는 그릇인 매체 환경과 새롭게 변형하는 재창작자의 시각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즉, 기존의 이야기와 그것을 변주한 작품을 비교 연구하는 것은 각각의 매체가 지닌 성격을 이해하는 것이자 창작자들 사이의 시각 차이를 살피는 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한국적 상황을 바탕으로 한 김영하의 소설 『빛의 제국』을 이방인의 시각에서 새롭게 변주한 동명의 연극 〈빛의 제국〉의 이야기하기 방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소설과 연극을 작동시키는 메카니즘은 무엇이며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두 창작자들이 분단을 바라보는 시각 차이를 살펴보았다.
      김영하의 소설 『빛의 제국』은 남파공작원이라는 이색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소설에서 주인공 김기영이 남파공작원이라는 사실이 그다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물론 그와 같은 내력이 그의 현재를 만들어낸 중요한 인자이기는 하지만, 소설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은 비로소 단절되어 있던 과거를 인정하고 자기의 서사를 완성함으로써 스스로의 욕망에 솔직한 현존재로서의 실존을 깨닫게 되는 여정에 있다. 그리하여 소설은 그가 지금 여기 있는 시공간을 낯설게 하여 생경한 모든 것들에서 과거를 떠올리고 망각했던 자기를 추체험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이에 비해 연극 〈빛의 제국〉은 자기 서사의 완성보다는 개인의 서사 속에 담겨 있는 공동체의 서사를 복원하는 데 주력한다. 연극이 지닌 현장성과 쌍방향성을 바탕으로 지금 여기에 함께 하는 우리들의 집단적 트라우마를 이끌어냄으로써 분단에 대해 재인식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단에 대한 재인식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면서도 이에 대한 인식이 없는 한국인들을 낯선 이방인의 시선에서 바라보았기에 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분단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현재의 삶에 익숙해진 우리는 어느새 우리가 분단국가라는 사실을 잊은 채 살고 있다. 그것이 우리 모두의 삶을 형성하는 데 있어 근간이 되고 있음에도 말이다. 이처럼 연극 〈빛의 제국〉은 이방인이라는 낯선 시선을 투과하여 분단이 아픈 상처이기는 하지만, 우리 모두가 함께 치유해나가야 할 우리 모두의 과거이자 현재이며 미래라는 사실을 상기하도록 이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developments in science have created numerous media, the demand for stories has increased. However, creating stories is something that machines cannot do; therefore, they are not replacements for humans in this context. Thus, stories cannot be writ...

      As developments in science have created numerous media, the demand for stories has increased. However, creating stories is something that machines cannot do; therefore, they are not replacements for humans in this context. Thus, stories cannot be written at high speeds despite developments in civilization. These days, a common storytelling technique is to change the goal and meaning of an existing story so that they are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his trend has become so popular that we often find it in the lines of characters in TV drams.
      When we take a look at stories that are retold, we focus on the way they unfold rather than on the narratives themselves. Techniques for telling stories are greatly influenced by viewpoints of the recreators whose work may cause the same stories to be understood differently or the focus of stories to change, resulting in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Young-ha Kim’s novel, The Empire of Light, uses the unique material of a North Korean spy; however,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Ki-young Kim —is a spy is not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the novel. His identity is naturally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created his present status, but what is given more weight in the novel is the acknowledgment of his past, which was severed. He completes his own narration, realizing his existence as a being who can be honest about his desires. The novel unfolds in a way that defamiliarizes the reader with the time and place of the main character’s current existence by having him recall the unfamiliar past and relive forgotten experiences.
      In comparison, the play, The Empire of Light, focuses more on restoring the narration of community than on completing one’s narration. Plays convey the sense of being on-the-spot or bidirectional, capturing the collective trauma of an audience and making us aware again of the divisions in our nation. This reawakening regarding division is possible because the play resorts to the perspective of a stranger who views Koreans as living in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without being aware of this fa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소설의 이야기하기:개인 서사의 완성
      • 3. 연극의 이야기하기:공동체 서사의 복원
      • 4. 나오며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소설의 이야기하기:개인 서사의 완성
      • 3. 연극의 이야기하기:공동체 서사의 복원
      • 4. 나오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셰익스피어, "햄릿" 전예원 2007

      2 송진석, "연극과 소설: 네르발과 그락의 경우" 한국불어불문학회 (50) : 280-320, 2002

      3 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1997

      4 기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현실문화연구 1996

      5 류은영, "스토리텔링-이야기를 만들어 포맷하는 장치" 현실문화 2010

      6 김영하, "스테이" 웅진싱크빅 2010

      7 김영하, "빛의 제국" 문학동네 2006

      8 백지연,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과지성사 1999

      9 李慶和, "朴泰遠 소설의 담론 구조 연구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천변풍경」을 중심으로" 關東大學校 大學院 1996

      10 최혜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나는 ‘산책자(flâneur)’연구" 23 : 1989

      1 셰익스피어, "햄릿" 전예원 2007

      2 송진석, "연극과 소설: 네르발과 그락의 경우" 한국불어불문학회 (50) : 280-320, 2002

      3 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1997

      4 기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현실문화연구 1996

      5 류은영, "스토리텔링-이야기를 만들어 포맷하는 장치" 현실문화 2010

      6 김영하, "스테이" 웅진싱크빅 2010

      7 김영하, "빛의 제국" 문학동네 2006

      8 백지연,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과지성사 1999

      9 李慶和, "朴泰遠 소설의 담론 구조 연구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천변풍경」을 중심으로" 關東大學校 大學院 1996

      10 최혜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나는 ‘산책자(flâneur)’연구" 23 :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