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교육을 위한 -더 결합형과 -던의 교육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0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어말 어미 ‘-더-’가 다른 언어에는 거의 존재 하지 않는 문법 형태소이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잘 인지 하 지 못하고, 학습하였다 할지라도 사용을 회피하는데 서 ...

      본 연구는 선어말 어미 ‘-더-’가 다른 언어에는 거의 존재 하지 않는 문법 형태소이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잘 인지 하 지 못하고, 학습하였다 할지라도 사용을 회피하는데 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또한 형태적인 유사성으로 인해 동음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의미적으로도 유사한 ‘-던’ 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립국어원의 말뭉치 자료를 근거로 ‘-더라/-더군(요)/-던 데(요)/-던가/-더니/-었더니/-던/-었던’을 선정하여 2장에서는 이들의 문법적 제약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문법적 제 약은 서법 제약, 서술어 제약, 선어말 어미 제약, 주어 제약의 네 가지에 대하 여 논의하였는데 ‘-더-’ 결합형과 ‘-던’은 문법 적 제약이 아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의미 부분에 서는 ‘-더-’ 결합 형 들에서 나타나는 ‘-더-’의 공통 의미 즉, 시점(視點)을 발화시 이전으로 이동시켜 과거를 지각하는 의 미가 나타남을 확인한 후에 ‘-더-’ 결합형들에서 나타나는 각 각의 개별 의미에 대해서 논하였다. 또한 ‘-더-’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던’은 ‘-더-’와 시점 (視點)을 이동시킨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것을 발화시 이후로도 이동시킬 수 있고 직접 보지 않은 사실이나 상황에서도 쓸 수 있다는 의미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그 후에 ‘-던’의 개별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2장의 국어학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학적인 논의를 하고자 했다. 3.1.에서는 ‘-더-’ 결합형들과 ‘- 던’이 현재 어떻게 교수되고 있는가를 한국어 교재를 크게 세 가지의 기준을 통해 살펴보았다. 세 가지의 기준을 가지고 살 펴본 결과 이들이 모두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따라서 3.2.에 서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수 방안 설계 원리를 세워 3.3.에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쓸 수 있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2. '-더-' 결합형과 '-던'의 문법적 제약과 의미 2
      • 2.1. 문법적 제약 2
      • 2.2. 의미 4
      • 2.2.1. '-더-' 결합형의 의미 4
      • 1. 서론 1
      • 2. '-더-' 결합형과 '-던'의 문법적 제약과 의미 2
      • 2.1. 문법적 제약 2
      • 2.2. 의미 4
      • 2.2.1. '-더-' 결합형의 의미 4
      • 2.2.2. '-던'의 의미 15
      • 3. '-더-' 결합형과 '-던'의 교육 방안 17
      • 3.1. 교재로 본 교수 실태와 그 문제 17
      • 3.2. 교육 방안 설계 원리 20
      • 3.3. 교육 방안의 실제 25
      • 3.3.1. 초급 단계 25
      • 4. 결론 2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재성,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2001

      2 강승혜, "한국어 문법서와 교재에 나타난 ‘-더-’관련 문법항목 의미 기술의 검토와 ‘-더-’관련 문법항목의 제시 순서" 2009

      3 박진경, "한국어 교육을 위한 ‘-더-’의 문법 기술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 강원경, "한국어 교육용 문법항목의 제시 방법에 관한 연구 : ‘-더-’관련문법항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최해주, "한국어 교육문법의 결합형어미 제시방식 제고 - ‘-더-’ 결합형어미를 중심으로 -" 2009

      6 강원경, "한국어 ‘-더라’ 교수방안" 2001

      7 H.Douglas Brown, "원리에 의한 교수 -제3판-" 2008

      8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83

      9 김석득, "우리말 형태론 : 말본론" 탑출판사 1994

      10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2" 2007

      1 이재성,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2001

      2 강승혜, "한국어 문법서와 교재에 나타난 ‘-더-’관련 문법항목 의미 기술의 검토와 ‘-더-’관련 문법항목의 제시 순서" 2009

      3 박진경, "한국어 교육을 위한 ‘-더-’의 문법 기술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 강원경, "한국어 교육용 문법항목의 제시 방법에 관한 연구 : ‘-더-’관련문법항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최해주, "한국어 교육문법의 결합형어미 제시방식 제고 - ‘-더-’ 결합형어미를 중심으로 -" 2009

      6 강원경, "한국어 ‘-더라’ 교수방안" 2001

      7 H.Douglas Brown, "원리에 의한 교수 -제3판-" 2008

      8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83

      9 김석득, "우리말 형태론 : 말본론" 탑출판사 1994

      10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2" 2007

      11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2006

      12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제 5판" 2010

      13 송재영(Song Jae-Young),한승규(Han Seung-Gyu), "연결 어미 ‘-더니’ 연구" 국어학회 2008

      14 허웅, "국어학 : 우리말의 오늘.어제" 샘문화사 1991

      15 김민수, "국어문법론" null 1992

      16 현윤호, "과제 수행 중심의 말하기 지도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12호, 2001

      17 이희자, "(한국어 학습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3

      18 유동석, "'더'의 의미에 관한 관견"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