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색상 이미지 불일치성 정도에 따른 소비자들의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효과 : 브랜드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14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색상 이미지의 불일치정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색상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것인지를 검증하였으며, 다음으로 브랜드에 지식에 따라 색상이미지의 유형이 소비자들의 브랜...

      본 연구는 색상 이미지의 불일치정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색상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것인지를 검증하였으며, 다음으로 브랜드에 지식에 따라 색상이미지의 유형이 소비자들의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지를 1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요인실험설계방식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불일치성이 낮은 상황에서의 색상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불일치성이 높은 상황에서의 색상 이미지에 대한 평가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는 불일치성이 낮은 상황에서 피험자들은 기존의 브랜드에 대한 스키마(브랜드와 기업)에 의존하기보다는 색상 본연의 의미가 낳는 체화된 의미의 색상 이미지에 의존해서 자신의 브랜드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은 불일치성이 큰 상황에서 색상 이미지의 영향력은 소비자들의 브랜드태도를 조절하는 변인이었으며, 브랜드에 대한 지식이 많은 피험자들은 준거적 의미의 색상 이미지, 브랜드에 대한 지식이 작은 피험자들은 체화된 의미의 색상 이미지가 브랜드태도를 결정하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actorial experiment design of 160 university student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at the evaluation toward the color image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congruity, and to verify the three hypothesis which assumed the moderating e...

      The factorial experiment design of 160 university student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at the evaluation toward the color image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congruity, and to verify the three hypothesis which assu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brand knowledge on the brand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results revealed that the evaluation of color image in the situation of high incongruity were less positive than in the situation of low incongruity. Secondly, subjects formed a brand attitude depending not by their schema such as the brand knowledge but by image of embodied meaning. Finally, in the situation of high incongruity,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knowledge was confirmed, and subjects who had high brand knowledge were influenced by the referential meaning of color image. However, subjects who possessed low brand knowledge were affected by the embodied meaning of color im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서론 및 연구목적
      • 이론적 배경
      • 일치성
      • 색상의 효과와 의미
      • 국문초록
      • 서론 및 연구목적
      • 이론적 배경
      • 일치성
      • 색상의 효과와 의미
      • 연구가설
      • 불일치 정도 차이에 따른 색상 이미지의 효과
      • 브랜드 지식의 조절효과
      • 연구방법
      • 연구방법개관
      • 주요 변인의 측정
      • 브랜드에 대한 지식
      • 연구결과
      • 주요 연구변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조작점검
      • 가설검증
      •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은, "컬러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한국마케팅학회 11 (11): 69-93, 2010

      2 이정교, "유명 광고모델과 제품 간의 이미지 부조화의 정도가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기억에 미치는 영향: 스키마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7 (7): 169-192, 2005

      3 권다은, "서비스 기업의 서비스 이미지 강화와 창조의 방법"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9 (9): 33-44, 2010

      4 김영조, "색상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메시지유형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학회 22 (22): 163-176, 2011

      5 이유재,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주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23 (23): 183-210, 1994

      6 황인석, "상품 컬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컬러 선호도와 적합도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7 (27): 27-43, 2012

      7 윤형건, "브랜드 개성과 그 브랜드 웹사이트 배색간의 상관관계" 한국광고학회 15 (15): 177-201, 2004

      8 오승욱, "광고 색상에 의한 동화 및 대조효과의 발생에 있어 지식수준의 조절효과" 한국광고학회 24 (24): 87-104, 2013

      9 Crowley, A. E., "The two-dimensional impact of color on shopping" 4 (4): 59-69, 1993

      10 Garber Jr, L. L., "The role of package appearance in consumer purchase consideration and choice" Marketing Science Institute 2000

      1 이상은, "컬러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한국마케팅학회 11 (11): 69-93, 2010

      2 이정교, "유명 광고모델과 제품 간의 이미지 부조화의 정도가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기억에 미치는 영향: 스키마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7 (7): 169-192, 2005

      3 권다은, "서비스 기업의 서비스 이미지 강화와 창조의 방법"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9 (9): 33-44, 2010

      4 김영조, "색상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메시지유형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학회 22 (22): 163-176, 2011

      5 이유재,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주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23 (23): 183-210, 1994

      6 황인석, "상품 컬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컬러 선호도와 적합도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7 (27): 27-43, 2012

      7 윤형건, "브랜드 개성과 그 브랜드 웹사이트 배색간의 상관관계" 한국광고학회 15 (15): 177-201, 2004

      8 오승욱, "광고 색상에 의한 동화 및 대조효과의 발생에 있어 지식수준의 조절효과" 한국광고학회 24 (24): 87-104, 2013

      9 Crowley, A. E., "The two-dimensional impact of color on shopping" 4 (4): 59-69, 1993

      10 Garber Jr, L. L., "The role of package appearance in consumer purchase consideration and choice" Marketing Science Institute 2000

      11 Heckler, S. E., "The role of expectancy and relevancy in memory for verbal and visual information: what is incongruency?" 18 (18): 475-492, 1992

      12 Peracchio, L. A.,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knowledge in schema-based product evaluation" 23 (23): 177-192, 1996

      13 Bottomley, P. A., "The interactive effects of colors and products on perceptions of brand logo appropriateness" 6 (6): 63-83, 2006

      14 Chang, W. L., "The impact of color traits on corporate branding" 4 (4): 3344-3355, 2010

      15 Nitse, P. S., "The impact of color in the e-commerce marketing of fashions: an exploratory study" 38 (38): 898-915, 2004

      16 Keller, K. L., "The effects of sequential introduction of brand extensions" 35-50, 1992

      17 Garber Jr, L. L., "The effects of food color on perceived flavor" 8 (8): 59-72, 2000

      18 Hong, J., "The effects of consumer prior knowledge and processing strategies on judgments" 47 (47): 301-311, 2010

      19 Sujan, M., "The effects of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on consumers’ brand and category perceptions: Some insights from schema research" 26 (26): 454-467, 1989

      20 Aaker, J. L., "The effect of cultural orientation on persuasion" 24 (24): 315-328, 1997

      21 Miller, E. G., "Shades of meaning: The effect of color and flavor names on consumer choice" 32 (32): 86-92, 2005

      22 Meyers-Levy, J., "Schema congruity as a basis for product evaluation" 39-54, 1989

      23 Scott, L. M., "Persuasive imagery: A consumer response perspective" Routledge 2003

      24 Cooper, G., "Pepsi turns air blue as color wars reach for the sky"

      25 Mandler, G., "Mind and emotion" RE Krieger Publishing Company 1982

      26 Madden, T. J., "Managing images in different cultures: A cross-national study of color meanings and preferences" 8 (8): 90-107, 2000

      27 Singh, S., "Impact of color on marketing" 44 (44): 783-789, 2006

      28 Chattopadhyay, A., "Humor in advertis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brand evaluation" 466-476, 1990

      29 Meyers-Levy, J., "How does the congruity of brand names affect evaluations of brand name extensions?" 79 (79): 46-, 1994

      30 Loken, B., "Handbook of consumer psychology" 133-165, 2008

      31 Jhang, J. H., "Get It? Got It. Good! Enhancing New Product Acceptance by Facilitating Resolution of Extreme Incongruity" 49 (49): 247-259, 2012

      32 Labrecque, L. I., "Exciting red and competent blue: The importance of color in marketing" 40 (40): 711-727, 2012

      33 Park, C. W.,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s: The role of product feature similarity and brand concept consistency" 18 (18): 185-193, 1991

      34 Bellizzi, J. A., "Environmental color, consumer feelings, and purchase likelihood" 9 (9): 347-363, 1992

      35 Burnkrant, R. E., "Effects of self-referencing on persuasion" 17-26, 1995

      36 Valdez, P., "Effects of color on emotions" 123 (123): 394-, 1994

      37 Gorn, G. J., "Effects of color as an executional cue in advertising: they're in the shade" 43 (43): 1387-1400, 1997

      38 Zhu, R., "Distinguishing between the meanings of music: When background music affects product perceptions" 333-345, 2005

      39 Garber, L. L., "Color as a tool for visual persuas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3-336, 2003

      40 Elliot, A. J., "Color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the effect of red on performance attainment" 136 (136): 154-, 2007

      41 Schindler, P. S., "Color and contrast in magazine advertising" 3 (3): 69-78, 1986

      42 Keller, K. L., "Brand synthesis: The multidimensionality of brand knowledge" 29 (29): 595-600, 2003

      43 Cohen, J., P.,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 John Wiley and Sons, Inc 2002

      44 Guilford, J. P., "A system of color-preferences" 487-502, 195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