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더듬 치료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언어재활사의 자격급수와 경력에 따른 말더듬 치료 인식에 대한 기초 연구 = A Preliminary Study of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According to Eligibility Type and Career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 for Ensuring Professionalism of Stuttering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2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and to propos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for the national SLP certification system to ensure professionalism since the legislation of August 20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and to propos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for the national SLP certification system to ensure professionalism since the legislation of August 2012. In detail,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efficacy; stuttering therapy support systems; clinical practice of university and center activities by their eligibility type; career of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 and the stuttering therapy. Methods: Awareness was studied through a questionnaire targeted at 261 SLPs working in 43 language treatment centers in Gyeongsang-do, including Busan and Daegu.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6 question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four ques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stuttering, four questions on stuttering therapy support systems, three questions on the clinical practices of universities, and five questions on center activitie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including stuttering therapy efficacy, stuttering therapy support systems, clinical practices of universities, and center activities depending on eligibility type.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LP license.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the career of the SLP. Last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the career of stuttering therapy. Conclusion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re could b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of SL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2012년 8월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제도가 법제화된 이래 언어재활사의 말더듬 치료 전문성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말더듬 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

      목적: 본 연구는 2012년 8월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제도가 법제화된 이래 언어재활사의 말더듬 치료 전문성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말더듬 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재활사의 개별 변인을 자격급수, 언어치료 경력 및 말더듬 치료 경력으로 나누어 말더듬 치료효능감,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 대학에서 임상실습 그리고 소속기관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부산, 대구를 포함한 경상도 지역의 언어치료 관련 43개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261명(남 13명, 여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설문지는 총 16개의 문항으로,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적합하도록 네 가지 하위범주, 즉 말더듬 치료 효능감 4문항,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 4문항, 학교에서 임상실습 3문항 그리고 소속기관 활동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첫째, 언어재활사의 자격급수에 따라 말더듬 치료(말더듬 치료 효능감,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 대학에서 임상실습, 소속기관 활동)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언어치료 경력에 따라 말더듬 치료(네 가지 모두)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언어재활사의 말더듬 치료 경력에 따라 말더듬 치료(말더듬 치료 효능감,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언어재활사는 자격급수, 언어치료 경력 등과 같은 몇몇 개별 변인에 따라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종복, "학령기 이전 말더듬 아동에 대한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235-252, 2013

      2 안종복,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315-333, 2013

      3 김수진, "치료지원 바우처사업 대상아동의 장애유형과 연령에 따른 재활치료 실태 및 부모욕구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691-706, 2008

      4 김태숙, "전문인력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 간호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5 김수진, "언어치료사의 전문성 인식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6 (16): 397-407, 2011

      6 신문자,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201-218, 2012

      7 박용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8 김혜영,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85-306, 2013

      9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언어치료사들의 인식 및 사용실태 조사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6 (6): 27-39, 2007

      10 임윤석, "말더듬 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조사" 호남대학교 2013

      1 안종복, "학령기 이전 말더듬 아동에 대한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235-252, 2013

      2 안종복,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315-333, 2013

      3 김수진, "치료지원 바우처사업 대상아동의 장애유형과 연령에 따른 재활치료 실태 및 부모욕구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691-706, 2008

      4 김태숙, "전문인력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 간호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5 김수진, "언어치료사의 전문성 인식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6 (16): 397-407, 2011

      6 신문자,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201-218, 2012

      7 박용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8 김혜영,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85-306, 2013

      9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언어치료사들의 인식 및 사용실태 조사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6 (6): 27-39, 2007

      10 임윤석, "말더듬 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조사" 호남대학교 2013

      11 신명선, "노인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재활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조사" 한국언어치료학회 21 (21): 53-72, 2012

      12 안종복, "구어산출 메커니즘 협응을 이용한 소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 전이에 미치는 효과 - 사례 연구 -" 한국언어치료학회 21 (21): 173-190, 2012

      13 Crowe, T. A, "Teacher attitudes toward stuttering" 6 (6): 163-174, 1981

      14 Shapiro, D. A, "Stuttering intervention: A collaborative journey to fluency freedom" Pro-Ed 1999

      15 Kroll, R. M, "Opinions on stuttering therapy : A survey of CASLPA members" 14 (14): 59-63, 1990

      16 Yaruss, J. S, "National stuttering association members opinions about stuttering treatment" 27 : 227-242, 2002

      17 Sommers, R. K, "Inservice train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re we meeting the needs for fluency training" 4 (4): 22-28, 1995

      18 Cooper, E. B, "Clinician attitudes towards stuttering : Two decades of change" 21 (21): 119-135, 1996

      19 Manning, W. H, "Clinical decision making in fluency disorders" Delmar Cengage Learning 2010

      20 Schuell, H, "Aphasia in adults" Haper & Row Pub 1964

      21 Cooper, E. B, "A fluency disorders prevention program for preschools and children in the primary grades" 1 : 28-31,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