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사의 코칭이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수직적 신뢰 관점에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0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과관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사의 코칭이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수직적 신뢰관점으로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가설...

      본 연구는 성과관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사의 코칭이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수직적 신뢰관점으로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인 상사의 코칭에는 Heslin 등에 의해 개발된 안내, 촉진, 감화를 하위변인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공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quitt에 의해 개발된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을 하위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준정부기관인 K공단의 승인을 얻어 정규직원을 대상으로 무기명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표본 493부 중 총 440부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상사의 코칭은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코칭의 하위 변인인 ?안내?감화?는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촉진?은 상호작용공정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을 위해 상사의 코칭에 대해 중요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과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의 관계를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수직적 신뢰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으며, 공공기관 종사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ffect of a team leader?s coaching, which is given during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on the team member?s perception on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vertical trust of subordinate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ffect of a team leader?s coaching, which is given during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on the team member?s perception on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vertical trust of subordinates in their supervisor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independent variable ? team leader?s coaching using such sub-variables as guidance, promotion and inspiration, which were developed by other researchers including Heslin and the dependent variable ? fairness based on such sub-variables as the procedural fairness, reciprocal fairness and distributive fairness.
      For the research, an online anonymous survey of regular employees of K Corporation that was a quasi-government body was conducted after acquiring permission from the company. 440 samples among total 493 cases that have been collecte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eam leader?s coaching affected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reciprocal fairness and distributive fairness. In addition, the sub-variables of coaching - ?guidance and inspiration? influenced procedural fairness and reciprocal fairness while reciprocal fairness was affected by other sub-variable - ?promotion?.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pointed out the significance of team leader?s coaching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ubordinate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thesis is significant and differs from previous works in that it h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coaching and the team member?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selected those who worked for a public institution as a the subject of the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문제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5
      • 제 1 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문제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5
      • 제1절 상사의 코칭 5
      • 1. 코칭의 정의 5
      • 2. 상사코칭의 주요행동 7
      • 3. 코칭철학 11
      • 제2절 인사평가공정성 12
      • 1. 인사평가의 정의 12
      • 2. 인사평가의 목적과 의의 13
      • 3. 공정성 14
      •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16
      • 제1절 연구모형 16
      • 제2절 연구가설 18
      • 1. 상사의 코칭 18
      • 2. 인사평가 공정성 20
      • (1) 절차공정성 20
      • (2) 상호작용공정성 20
      • (3) 분배공정성 21
      • 3. 상사의 코칭과 직원의 인사평가 절차공정성 지각 22
      • 4. 상사의 코칭과 직원의 인사평가 상호작용공정성 지각 24
      • 5. 상사의 코칭과 직원의 인사평가 분배공정성 지각 26
      • 제 4 장 연구 방법 29
      • 제1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절차 29
      • 1. 연구대상 29
      • 2. 자료수집절차 30
      • 제2절 연구도구 33
      • 1. 측정도구의 구성 33
      • 2. 연구분석방법 34
      • 제 5 장 연구결과 35
      • 제1절 신뢰성 분석결과 35
      • 제2절 상관 분석결과 36
      • 제3절 분석결과해석 39
      • 1. <가설 1> 상사의 코칭과 절차공정성 39
      • 2. <가설 2> 상사의 코칭과 상호작용공정성 39
      • 3. <가설 3> 상사의 코칭과 분배공정성 40
      • 제4절 가설의 요약 44
      • 제 6 장 결론 43
      • 제1절 분석결과의 시사점 43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6
      • 참고문헌 47
      • 설문지 52
      • Abstract 56
      • 감사의글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