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선형 안정성 이론을 이용한 압축성 축 대칭 원뿔 경계층의 천이지점 예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52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축 대칭 원뿔 형상 위의 압축성 경계층의 천이 지점을 선형 안정성 이론 과 e<SUP>N</SUP>-method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축 대칭 좌표계에서의 압축성 유동 지배 방정식...

      본 연구에서는 축 대칭 원뿔 형상 위의 압축성 경계층의 천이 지점을 선형 안정성 이론 과 e<SUP>N</SUP>-method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축 대칭 좌표계에서의 압축성 유동 지배 방정식으로부터 압축성 원뿔 경계층의 선형 안정성 방정식을 얻었으며 안정성 방정식을 2차 정확도의 유한 차분법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수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된 코드로 원뿔 경계층의 안정성 특성 및 2차원 교란의 증폭률을 계산하고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교란의 증폭률을 활용하여 e<SUP>N</SUP>-method를 통해 천이지점 예측을 수행하였다. 풍동 시험 및 비행 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비행 조건에 있는 마하수 4와 8사이의 원뿔 경계층에 대한 본 연구의 천이지점의 예측 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벽면 냉각이 경계층 내부 교란의 안정성 및 천이 지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Reynolds number of compressible axi-symmetric sharp cone boundary layer is predicted by using a linear stability theory and the e<SUP>N</SUP>-method. The compressible linear stability equation for sharp cone b...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Reynolds number of compressible axi-symmetric sharp cone boundary layer is predicted by using a linear stability theory and the e<SUP>N</SUP>-method. The compressible linear stability equation for sharp cone boundary layer was derived from the governing equations on the body-intrinsic axi-symmetric coordinate system. The numerical analysis code for the stability equation was developed based on a second-order accurate finite-difference method. Stability characteristics and amplification rate of two-dimensional second mode disturbance for the sharp cone boundary layer were calculated from the analysis code and the numerical code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Transition prediction was performed by application of the e<SUP>N</SUP>-method with N=10. From comparison with wind tunnel experiments and flight tests data, capability of the transition prediction of this study is confirmed for the sharp cone boundary layers which have an edge Mach number between 4 and 8. In addition, effect of wall cooling on the stability of disturbance in the boundary layer and transition position is investiga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초록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ABSTRACT
      • 초록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후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훈, "축 대칭 압축성 원뿔 경계층의 선형 안정성 해석" 국방과학연구소 130-143,

      2 박동훈, "선형 안정성 이론을 이용한 압축성 축 대칭 원뿔 경계층의 천이지점 예측" 한국과학기술원

      3 G.G.Mateer, "Unusual Boundary Layer Transition Results on Cone in Hypersonic Flow" 7 (7): 660-664, 1969

      4 Gasperas, G., "The Stability of the Compressilbe Boundary Layer on a Sharp Cone at Zero Angle of Attack" 0494-, 1987

      5 Wilkinson, J.H., "The Algebraic Eigenvalue Problem" 1965

      6 Lesile, L. Mack, "Stability of Axisymmetric Boundary Layers on Sharp Cones at Hypersonic Mach Numbers" 1413-, 1987

      7 Lesile M. Mack, "Remarks on diputed numerical results in compressible boundary-layer stability theory" 27 : 342-347,

      8 Mujeeb R. Malik, "Prediction and Control of Transition in Supersonic and Hypersonic Boundary Layers" 27 (27): 1489-1493, 1989

      9 M.R.Malik, "On the stability of compressuble flow past axisymmetric bodies" 228 : 443-463, 1991

      10 M.R.Malik, "Numerical Methods for Hypersonic Boundary Layer Stability" 86 : 376-413, 1990

      1 박동훈, "축 대칭 압축성 원뿔 경계층의 선형 안정성 해석" 국방과학연구소 130-143,

      2 박동훈, "선형 안정성 이론을 이용한 압축성 축 대칭 원뿔 경계층의 천이지점 예측" 한국과학기술원

      3 G.G.Mateer, "Unusual Boundary Layer Transition Results on Cone in Hypersonic Flow" 7 (7): 660-664, 1969

      4 Gasperas, G., "The Stability of the Compressilbe Boundary Layer on a Sharp Cone at Zero Angle of Attack" 0494-, 1987

      5 Wilkinson, J.H., "The Algebraic Eigenvalue Problem" 1965

      6 Lesile, L. Mack, "Stability of Axisymmetric Boundary Layers on Sharp Cones at Hypersonic Mach Numbers" 1413-, 1987

      7 Lesile M. Mack, "Remarks on diputed numerical results in compressible boundary-layer stability theory" 27 : 342-347,

      8 Mujeeb R. Malik, "Prediction and Control of Transition in Supersonic and Hypersonic Boundary Layers" 27 (27): 1489-1493, 1989

      9 M.R.Malik, "On the stability of compressuble flow past axisymmetric bodies" 228 : 443-463, 1991

      10 M.R.Malik, "Numerical Methods for Hypersonic Boundary Layer Stability" 86 : 376-413, 1990

      11 Schubauer, G. B., "Laminar boundary layer oscillations and the stability of laminar flow" 14 : 381-384, 1947

      12 Stetson, K. F., "Laminar Boundary Layer Stability Experiments on a Cone at Mach 8. Part 1 : Sharp Cone" 1761-, 1983

      13 S.P.Schneider, "Flight Data for Boundary-Layer Transition at Hypersonic and Supersonic Speeds" 36 (36): 8-20, 1999

      14 Mujeeb R. Malik, "Efficient Computation of the Stability of Three-Dimensional Comprssible Boundary Layers" AIAA 1277-, 1981

      15 P.C.Stainback, "Effect of Unit Reynolds Number, Nose Bluntness, Angle of Attack and Roughness on Transition on a 5 degree Half Angle Cone at Mach 8" NASA 1969

      16 R.L.Kimmel, "Effect of Total Temperature on Boundary-Layer Stability at Mach 6" 38 (38): 1754-1755, 2000

      17 Helen L. Reed, "Compressible boundary-layer stability theory" 2 : 1341-1349, 1990

      18 Mujeeb R. Malik, "COSAL—A BLACK-BOX Compressible Stability Analysis Code for Transition Prediction in Three-Dimnensional Boundary Layers" NASA Contractor 1984

      19 T.J.Horvath, "Boundary Layer Transition of Slender Cones in Conventional and Low Disturbance Mach 6 Wind Tunnel" 2743-, 2002

      20 Leslie M. Mack, "BOUNDRY-LAYER LINEAR STABILITY THEORY" NATO 1984

      21 Gaster M, "A note on the relation between temporally-increasing and spatially-increasing disturbances in hydrodynamic stability" 14 : 222-224,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42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