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임상고찰 = Clinical Experiences of Cardiac Surgery Using Minimal Inci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4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최근에 시작된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은술 환자에게 미용상 효과가 좋으며, 통증이 적으며 빠른 회복을 가져온다. 본 교실에서는 그간 실시한 소절개심장수술의 현황을 임상고찰...

      배경: 최근에 시작된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은술 환자에게 미용상 효과가 좋으며, 통증이 적으며 빠른 회복을 가져온다. 본 교실에서는 그간 실시한 소절개심장수술의 현황을 임상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이후 1998년 11월까지 총 31례의 소절개술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실시하였다. 남녀 비는 17:14였으며, 1세에서 75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흉골좌연종절개술을 실시한 예는 9례로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공심폐기의 사용없이 박동상태에서 내유동맥으로 좌전행지관상동맥에 우회술을 실시하였는데, 그 중 1례는 내유동맥의 비꼬임으로 술 후 1주일 째 재수술한 경우였다. 흉골우연종절개는 1례로 승모판교련절개술 후 재발된 협착증에 대해 승모판치환술을 실시한 경우였다. 소흉골절개선으로 수술한 예는 21례로, 승모판치환 및 삼첨판성형술이 6례, 승모판치환술 5례, 중복판치환술 2례, 대동맥판치환술 1례, 좌심방점액종 1례, 심방중격결손증 2례, 심실중격결손증 2례, 우심실 자창 1례였다. 처음 5례는 T형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으나 경험이 쌓이면서 대동맥기저부의 노출이 좋고 흉골 봉합시 안정감이 높은 화살모양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시간, 인공심폐 구동시간, 대동맥차단시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수술 1일까지의 흉관배액양, 흉관 거치기간, 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은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선 예들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 예는 2례였으며 1례는 흉골소절개선으로 승모판치환 수술 1일에 대동맥 삽관부위의 파열로 출혈 사망하였고, 다른 1례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2일에 부정맥으로 사망하였다. 사망의 원인과 수술절개선의 선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합병증은 뇌색전증 1례, 창상의 혈종 1 례가 있었다. 결론: 소절개선으로도 정중흉골절개선과 마찬가지로 심장 수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various cardiac surgeries has become widely accepted since it has been proven to have distinct advantages for the patients. We describe here the results of our experiences of minimal incision in cardiac sur...

      Background: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various cardiac surgeries has become widely accepted since it has been proven to have distinct advantages for the patients. We describe here the results of our experiences of minimal incision in cardiac surgery. Material and Method: From February 1997 to November 1998, we successfully performed 31 cases of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Male and female ratio was 17:14, and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1 to 75 years. A left parasternal incision was used in 9 patients with single vessel coronary heart disease. A direct coronary bypass grafting was done under the condition of the beating heart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support(MIDCAB). Among these, one was a case of a reoperation 1 week after the first operation due to a kinked mammary artery graft. A right parasternal incision was used in one case of a redo mitral valve replacement. Mini-sternotomy was used in the remaining 21 patients. The procedures were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tricuspid annuloplasty in 6 patients, mitral valve replacement 5, double valve replacement 2, aortic valve replacement 1, removal of left atrial myxoma 1,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 2, repair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2, and primary closure of r ght ventricular stab wound 1. The initial 5 cases underwent a T-shaped mini-sternotomy, however, we adopted an arrow-shaped ministernotomy in the remaining cases because it provided better exposure of the aortic root and stability of the sternum after a sternal wiring. Result: The operation time, th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the aorta cross-clamping time, the mechanical ventilation time, the amount of chest tube drainage until POD#1, the chest tube indwelling time, and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unit staying were in an acceptable range. There were two surgical mortalities. One was due to a rupture of the aorta cannulation site after double valve replacement on POD#1 in the mini-sternotomy case, and the other was due to a sudden ventricular arrhythmia after MIDCAB on POD#2 in the parasternal incision cas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2 cases in which a cerebral embolism developed on POD#2 after a mini-sternotomy in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wound hematoma developed after a right parasternal incision in a single coronary bypass grafting. Neither mortality nor complication was directly related to the incision technique itself.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parasternal or mini-sternotomy incision can be used in cardiac surgeries since it is as safe as the standard full sternotomy incis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