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일 넷우익 사이트와 혐한·반일 의식 - 니찬네루·재특회와 디시인사이드·일베저장소를 중심으로 - = Korea - Japan net nationalism site and the Anti - Korean sentiment, anti - Japanese conscious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4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nations - Korea and Japan, having historical experience under Pax-China system for a long time, have becoming the thinking of anti badly. In the internet world, I serach the up of the Net-nationalism and spreading, the phase of the discourse and t...

      Two nations - Korea and Japan, having historical experience under Pax-China system for a long time, have becoming the thinking of anti badly. In the internet world, I serach the up of the Net-nationalism and spreading, the phase of the discourse and the characteristics. Neo-Nationalism-anti foreign land or superiority of themselves, is called by the several names. I look into the representative Net-nationalism of Japan and Dcinside and Ilbe of Korea. I study the meaning of Nationalism and Net-nationalism in internet at the above poi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일 양국은 중화(中華) 질서하의 상호호혜적 교환과 갈등의 교류라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고는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나타나는 한일 양국간의 넷우익�...

      한·일 양국은 중화(中華) 질서하의 상호호혜적 교환과 갈등의 교류라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고는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나타나는 한일 양국간의 넷우익의 등장과 전개, 넷우익과 혐한·반일의 정의 및 현황과 특성을 고찰하고, 그들의 혐한·반일 담화의 위상과 특질 등을 살펴보았다. 결론은 한일 양국간에 격화되고 있는 우경화 현상과 넷우익의 특질을 자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비교 연구하여 그 의미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하여 논하면서. 원론적이기는 하지만, “정치적·외교적 곤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호이해와 감동의 기회를 마련해 공감할 수 있는 감성을 키워가면서 모든 지식을 전수하는 장소에서 ‘미움으로 결집하기보다는 열림과 소통으로 결집’하는 ‘시대적 성향’을 만들어 내기 위한 부단한 작업을 중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중일 누리꾼 넷셔널리즘 ‘막말 삼국지’"

      2 박수옥, "일본의 혐한류와 미디어내셔널리즘 : 2ch와 일본 4대 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7 (47): 120-147, 2009

      3 이진원, "일본의 외국인 정책과 재일코리안, In 새로운 한일관계의 출발과 재일코리안(2013)"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일본학연구소 31-, 2013

      4 이규수, "일본의 네오내셔널리즘과 ‘재특회’의 혐한·배외주의, In 새로운 한일관계의 출발과 재일코리안(2013)"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일본학연구소 67-, 2013

      5 고길희, "일본의 '한류'와 '혐한류'로 본 한일관계- '다원화 내셔널리즘'을 모색하며 -" 한국일본근대학회 (17) : 77-92, 2007

      6 "웹 서핑"

      7 "역사 항목"

      8 황지연, "사이버공동체의 정체성과 집합행동 : 디시인사이드, 에세랄클럽, 붉은악마 사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박유진, "사이버 커뮤니티 내의 악성게시물 특성에 관한 연구 : 디시인사이드 신고게시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10 정민희, "디지털 글쓰기의 상호작용성 연구 : 디시인사이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1 "한중일 누리꾼 넷셔널리즘 ‘막말 삼국지’"

      2 박수옥, "일본의 혐한류와 미디어내셔널리즘 : 2ch와 일본 4대 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7 (47): 120-147, 2009

      3 이진원, "일본의 외국인 정책과 재일코리안, In 새로운 한일관계의 출발과 재일코리안(2013)"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일본학연구소 31-, 2013

      4 이규수, "일본의 네오내셔널리즘과 ‘재특회’의 혐한·배외주의, In 새로운 한일관계의 출발과 재일코리안(2013)"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일본학연구소 67-, 2013

      5 고길희, "일본의 '한류'와 '혐한류'로 본 한일관계- '다원화 내셔널리즘'을 모색하며 -" 한국일본근대학회 (17) : 77-92, 2007

      6 "웹 서핑"

      7 "역사 항목"

      8 황지연, "사이버공동체의 정체성과 집합행동 : 디시인사이드, 에세랄클럽, 붉은악마 사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9 박유진, "사이버 커뮤니티 내의 악성게시물 특성에 관한 연구 : 디시인사이드 신고게시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10 정민희, "디지털 글쓰기의 상호작용성 연구 : 디시인사이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11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일베저장소, 짤방, 삼일절 사이버 공 격 사건 항목"

      12 "두산동아 표준국어대사전"

      13 황성빈, "넷우익과 반한류, 배외주의의 여론: 주요 언론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6 (6): 124-163, 2014

      14 김효진, "기호(嗜好)로서의 혐한(嫌韓)과 혐중(嫌中) -일본 넷우익(ネット右翼)과 내셔널리즘-" 일본연구소 33 : 31-56, 2011

      15 야스다 고이치, "거리로 나온 넷우익" 후마니타스 56-61, 2013

      16 "갤러리, 역사 항목"

      17 "개요, 주장·활동 항목"

      18 "개요, 역사, 이용자 수 및 연령층 항목"

      19 "강원도민일보"

      20 外村大, "現代日本における「在日朝鮮人問題」In 새로운한일관계의 출발 재일코리안(2013)"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일본학연구소 55-57, 2013

      21 "http://corp.itmedia.co.jp/"

      22 "2ちゃんねる, 在特會 항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