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법부의 물적 독립 - 예산안편성권과 관련하여 = Judicial Independence and the Types of Allocating Budget to the Judicia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의 사법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적 재원 및 물적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인적 및 물적 재원은 직간접으로 행정부를 통하여 의회에 의해 제공된다. 그 기...

      국가의 사법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적 재원 및 물적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인적 및 물적 재원은 직간접으로 행정부를 통하여 의회에 의해 제공된다.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법부가 외부에 의존하는 것은 독립적이고 공정한 사법집행을 위협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예산을 통하여 사법부를 통제하여 행정부에 종속시켰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사법부의 예산은, 정부 및 의회권력의 변동이나 성향에 상관없이 사법부의 독자적인 정책결정과 그를 위해 필요한 예산안편성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청된다.
      사법부의 예산안편성권은 권력분립의 실질화의 측면, 사법권력과 다른 두 권력 사이의 견제의 형평성의 측면, 그리고 사법정책결정의 독자성의 측면 등에서 사법부의 물적 기초의 확립을 위한 독자적인 예산안편성권이 인정되어야 한다.
      외국의 경우, 민주주의의 발전정도, 역사적 전통과 헌정의 경험에 따라 예산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일률적이지는 않다. 크게 보아 사법부가 입법부를 직접 상대하는 미국형, 사법부가 행정부를 통하여 입법부를 간접적으로 상대하는 영국형, 그리고 절충적인 형태로 일본형을 들 수 있다.
      오늘날에는 사법부의 예산의 독자성에 관하여는 국제적으로도 승인되고 있어서, 사법부의 예산은 사법부 스스로 편성하고 이를 관련당국에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 사법부의 독립을 위하여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법부의 예산안편성권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현행헌법을 개정하여 명문으로 규정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현행헌법상 국회의 장에 규정되어 있는 예산안편성권에 관한 규정에 단서조항을 두거나, 재정에 관한 별도의 장을 두어 별개의 조항으로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헌법개정을 하지 않고도 헌법적 관습으로 사법부의 예산안편성권을 실질적으로 확보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험상 기대하기 어렵고, 법률규정으로 사법부의 예산요구안을 수정없이 그대로 정부의 예산안에 포함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judiciary depends in a large measure upon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finances made available to it. In all systems in the world, these financial or material resources are provided by the legislature, either di...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judiciary depends in a large measure upon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finances made available to it. In all systems in the world, these financial or material resources are provided by the legislatur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executive government. The dependence of the judiciary on outside sources for the wherewithal to perform its functions must always pose some threat to the independent and impartial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there were many experiences of the interferences in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through the Budget control to the judiciary. The budget of the judiciary shall be prepared by the competent authority in collaboration with the judiciary. The judiciary shall submit their estimate of the budget requirements to the appropriate authority regardless of the changes or characters of governmental and parliamentary powers.
      Theoretically,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can be justified by three aspects ; the position of the judiciary as a genuine third powerholder, the equilibrium of the means of checks and balances, and the autonomy of the judicial policies.
      There are three types of allocating budget to the judiciary ; 1) In the American system, the court or the court system is responsible for its own budget. 2) In the Westminster(English) system, the executive government provided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needed by the court with money voted by the legislature. 3) The third type is mixed one of these two systems(Japanese type).
      Today, the autonomy of the budget of the judiciary is approved in international level. There are some drafts and declarations which provide it an essential condi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In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only the executive can formulate the national budget bill.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could be allowed withou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autonomy of the judicial budget. But it is the best way to amend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n the budget formulation.
      As another way of the achievement of the autonomy of judicial budge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statute on the National Finance Act in order to submit to the executive the estimated expenditures and proposed appropriations for the judicial branch without change.
      The legislature and the executive must resist any temptations to use the power of the purse to influence judicial decision-making, either directly or by seeking to influence judicial policy, and judges must be resolute in resisting any temptation to endeavour to please the legislature or the executive government in the hope of obtaining more favourable treatment in relation to money or resour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수, "헌법학(하)" 박영사 2008

      2 이헌환, "헌법상 법관의 다양화방안과 신분보장" 한국헌법학회연구보고서(대법원연구용역) 2008

      3 이헌환, "정치과정에 있어서의 사법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6

      4 유 훈, "재무행정론" 법문사 2005

      5 사법제도발전위원회 연구실, "심의대상안건 검토자료 제1집"

      6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자료 제6집, 제9집, 제10집"

      7 사법발전재단, "사법부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상)"

      8 오광석, "사법부예산제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행정대학원 1995

      9 이승웅, "사법부예산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72

      10 김성환, "사법부예산의 독립" (85) : 1971

      1 김철수, "헌법학(하)" 박영사 2008

      2 이헌환, "헌법상 법관의 다양화방안과 신분보장" 한국헌법학회연구보고서(대법원연구용역) 2008

      3 이헌환, "정치과정에 있어서의 사법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6

      4 유 훈, "재무행정론" 법문사 2005

      5 사법제도발전위원회 연구실, "심의대상안건 검토자료 제1집"

      6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자료 제6집, 제9집, 제10집"

      7 사법발전재단, "사법부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상)"

      8 오광석, "사법부예산제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행정대학원 1995

      9 이승웅, "사법부예산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72

      10 김성환, "사법부예산의 독립" (85) : 1971

      11 이열모, "사법부예산독립원칙과 그 한계"

      12 정윤석, "사법부에 대한 행정부의 영향력 연구 - 인사관행과 예산배정상의 정권별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외국어대학교 2001

      13 정덕장, "사법권의 독립" 바울서신사 1984

      14 김제형, "사법권독립과 예산편성의 재고" 3 (3): 1962

      15 법원행정처, "법원사"

      16 이헌환, "법과 정치" 박영사 2007

      17 강현중, "대법원의 예산안요구권과 법률안제출권" 37 (37): 1996

      18 법률신문, "대법원의 법률안제출권 및 예산안요구권"

      19 "http://www.uscourts.gov/ao/budget.htm"

      20 "http://www.nichibenren.or.jp/ja/opinion/ga_res/2002_1.html"

      21 "http://www.gesetze-im-internet.de/bundesrecht/bho/gesamt.pdf"

      22 "The Universal Declaration on the Independence of Justice" 447-461, 1983

      23 "The Syracuse Draft Principles on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24 The Hon. Leonard, "The IBA Standards on Judicial Independence : An Australian Perspective"

      25 Bradley, A.W, "The Constitutional Position of the Judiciary, in English Public Law" Oxford Univ. Press 333-, 2004

      26 Löwenstein, K, "Political and the Government Process" The Univ. of Chicago Press 1965

      27 Tamanaha, Brian Z, "On the Rule of Law - History, Politics, Theory" Cambridge Univ. press 2004

      28 Shetreet,S, "Judicial Independence : The Contemporary Debate" Martinus Nijihoff Publishers 1985

      29 "IBA Code of Minimum Standards of Judicial Independence" 388-392,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6 0.89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