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菜根譚』 수용 과정과 번역 = Process of Acceptance of Caigentan and its Translatio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6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behind the acceptance of Caigentan, the compilation of aphorisms by Hong Zi-cheng, and its translations in Korea. Caigentan has long been a steady seller, with hundreds of related books published in Korea since th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behind the acceptance of Caigentan, the compilation of aphorisms by Hong Zi-cheng, and its translations in Korea. Caigentan has long been a steady seller, with hundreds of related books published in Korea since the 20th century. The historical process was traced in detail to examine which editions were selected for translation, who they were translated by, and how they came to be accepted.
      First, the book was divided into the first edition series and Qing edition series. The entire text was compar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eries, and to identify errors. The Qing edition highlight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ries by taking the form of a Manchu-Chinese parallel text.
      The introduction of the Manchu-Chinese parallel text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its widespread circul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as examined. An analysis of the preface written by the physician Lee Jae-woo revealed his role in the circulation of the book by the upper middle class, dispatched as a delegation to Qing China. In the 20th century, Manhae Han Yong-un realized the popularity of Caigentan during his trip to Japan, and published a translation in 1917.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his translation were reviewed. The features exhibited in Cho Chi-hun’s translation in the late 20th were also discussed. Lastly, constructive criticism was given based on the features and problems found in Korean translation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hed light on not only the history of acceptance and Korean translators of Caigentan—a representative work of aphoristic literature in Asia—but also enhance understanding of how it was disseminated throughout East Asia.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지훈, "채근담" 현암사 177-, 2014

      2 오주리, "조지훈 시의 동아시아적 미학과 존재론: 홍자성의 『채근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3) : 247-280, 2020

      3 안대회, "조선 중후기 淸言小品의 향유와 창작" 한국한문학회 (59) : 123-154, 2015

      4 이재복, "전통의 발견과 국학의 탄생 - 조지훈 학문 세계의 해석 원리와 지적 형상을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8 (28): 329-365, 2020

      5 안대회, "동아시아 淸言小品의 전파와 향유" 민족문화연구원 (75) : 231-260, 2017

      6 한용운, "菜根譚講義" 8 (8): 67-73, 1936

      7 王同策, "菜根譚注釋" 浙江古籍出版社 1996

      8 呂宗力, "菜根譚の作者の本籍と版本の源流についての考察" 31 : 1990

      9 湯浅邦弘, "菜根譚―中国の處世訓" 中央公論新社 2010

      10 洪自誠, "菜根譚, 李在祐, 菜根談序"

      1 조지훈, "채근담" 현암사 177-, 2014

      2 오주리, "조지훈 시의 동아시아적 미학과 존재론: 홍자성의 『채근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3) : 247-280, 2020

      3 안대회, "조선 중후기 淸言小品의 향유와 창작" 한국한문학회 (59) : 123-154, 2015

      4 이재복, "전통의 발견과 국학의 탄생 - 조지훈 학문 세계의 해석 원리와 지적 형상을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8 (28): 329-365, 2020

      5 안대회, "동아시아 淸言小品의 전파와 향유" 민족문화연구원 (75) : 231-260, 2017

      6 한용운, "菜根譚講義" 8 (8): 67-73, 1936

      7 王同策, "菜根譚注釋" 浙江古籍出版社 1996

      8 呂宗力, "菜根譚の作者の本籍と版本の源流についての考察" 31 : 1990

      9 湯浅邦弘, "菜根譚―中国の處世訓" 中央公論新社 2010

      10 洪自誠, "菜根譚, 李在祐, 菜根談序"

      11 洪應命, "菜根譚, 李在祐 序"

      12 林東錫, "菜根譚" 동서문화사 2010

      13 中村璋八, "菜根譚" 講談社 學術文庫 1986

      14 今井宇三郎, "菜根譚" 岩波文庫 1975

      15 한용운, "精選講義菜根譚" 新文館 1-2, 1917

      16 趙志忠, "滿文菜根譚小議" (3) : 64-66, 1996

      17 中村璋八, "淸朝本全譯 菜根譚" 東方書店 2006

      18 田口一郎, "汲古 61" 汲古書院 39-45, 2012

      19 張兆平, "『滿漢合璧菜根譚』考辨" (2) : 64-66, 2014

      20 김보성, "『東詩叢話』(규장각본)의 저자 및 저본 고찰" 한국한문학회 (68) : 403-430, 2017

      21 한영규, "19세기 여항문인 劉在建의 『古今法語』편찬 의식" 진단학회 (119) : 171-19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2.0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