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통 한옥과 현대 공동주택 주거단지의 소리풍경 특성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879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의 전통 한옥과 현대 공동주택 단지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거주환경과 소리환경에 대한 의식을 비교분석하여 우리의 삶이나 생활 방식에 대한 인식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표...

      이 연구는 우리의 전통 한옥과 현대 공동주택 단지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거주환경과 소리환경에 대한 의식을 비교분석하여 우리의 삶이나 생활 방식에 대한 인식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표가 있다. 거주환경과 소리환경의 의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전북 전주시와 전남 담양군의 한옥과 공동주택 단지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거주환경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편리성, 주택환경, 주변환경, 안정감, 안전성, 친밀감, 위생면, 주거형태의 8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편리성의 만족도가 높은 공동주택과는 달리 한옥은 안정감과 친밀감의 만족도가 높았다. 거주환경의 만족도에 기여하는 중요도는 공동주택이 편리성과 주변환경인 반면, 한옥은 주택환경과 위생면이높았다. 주택지 주변환경의 인상을 결정하는 요인은 전통, 조화, 변화, 활력, 정취, 위생, 매력, 운치, 균형, 정감, 개방 등의 11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공동주택이 위생의 인상이 높은 반면 한옥은 전통과 정취의 인상을 높게 평가하였다. 주택지 주변의 소리환경에 대한 인상 요인은 평온, 유쾌, 활기, 안정, 단조로움의 5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공동주택이 단조로운 소리환경인 반면, 한옥은 평온하고 유쾌한 소리환경으로 인식하고 소리환경의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공동주택의 소리환경이 층간소음이나 차소리 등의 내외부 소음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한옥은 관광객/사람들 말소리, 차소리, 새소리 등의 관광지의 성격 혹은 한적한 한옥 마을의 속성을 보여준다. 전통과 현대의 건물 종류와 용도에 따라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 생활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dwellers of traditional hanok houses and modern apartment complexes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of lives and lifestyles in Korea. We drafted a questionnaire to identify awareness of residen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dwellers of traditional hanok houses and modern apartment complexes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of lives and lifestyles in Korea. We drafted a questionnaire to identify awareness of residential and sound environments, which was distributed to the residents of hanok and apartment housing in Jeonbuk Jeonju and Jeonnam Damyang-gun. Eight factors determined the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convenience, housing environment, surrounding environment, stability, safety, intimacy, hygiene, and housing type. Unlike apartment housing, which has a high degree of convenience, hanok housing ha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tability and intimacy. For apartment housing, convenienc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had high importance of contribut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as housing environment and hygiene took high importance for hanok housing. Eleven factors of traditionality, harmony, change, vitality, atmosphere, hygiene, attractiveness, picturesqueness, balance, warmth, and openness determine the impression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residential area, and while apartment housing scored high for impressions of hygiene, hanok housing scored high for impressions of tradition 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