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중국불교의 현세간주의 특색 - 천태의 공ㆍ가ㆍ중의 관점을 중심으로  :  중국불교의 현세간주의 특색 = Chinese Buddhist Hsien-shih chien chu-i (現世間主義)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proving the hsien-shih chien chu-i (現世間主義) of Chinese Buddhism through analyses of five Chinese Buddhist thoughts. At first, shi-hsiang lun of T"ien-t"ai (天台實相論) is examined. T"ien-t"ai‘s shi-hsiang lun consi...

      This paper aims at proving the hsien-shih chien chu-i (現世間主義) of Chinese Buddhism through analyses of five Chinese Buddhist thoughts. At first, shi-hsiang lun of T"ien-t"ai (天台實相論) is examined. T"ien-t"ai‘s shi-hsiang lun consists in i-nien san-ch"ien shuo (一念三千說) and i-hsin san-kuan (一心三觀). I-nien san-ch"ien shuo is a teaching that a human being has infinite possibility, and i-hsin san-kuan is a teaching that k"ung (空), chia (假) and chung (中) are all one and the same. I think that this i-hsin san-kuan is an example par excellence of hsien-shih chien chu-i of Chinese Buddhism.
      We can see in four other Chinsese Buddhist sects doctrines similar to the i-hsin san-kuan theory of T"ien-t"ai. One of them is the doctrine of erh-ti ho-ming chung-tao (二諦合明中道) of San-lun tsung (三論宗). It consists in the concepts of ti-i fang-yen (第一方言), ti-erh fang-yen (第二方言) and ti-san fang-yen (第三方言) that respectively corresponds to k"ung, chia and chung.
      Hui-y?an of Ching-ying ssu (淨影寺 慧遠) also suggested a doctrine similar to T"ien-t"ai"s i-hsin san-kuan in structure: k"ung, yu (有), and fei-yu fei-wu (非有非無).
      The doctrine of shi-hs?an y?an-ch"i of Hua-yen (華嚴十玄緣起) presents the theory of i-chi i-qie (一卽一切). Shi-hs?an y?an-ch"i consists in five parts, and two of them, i-to hsiang-jung pu-t"ung men (一多相容不同門) and chu-fa hsiang-chi tzu-tsai men (諸法相卽自在門), are especially related to our topic, for the latter corresponds to k"ung and the former to chia.
      Finally, Liu-tsu t"an-ching (六祖壇經) presents the doctrines of wu-chu (無住), wu-nien (無念) and wu-hsiang (無相). Wu-chu corresponds to k"ung, wu-nien to chia, and wu-hsiang to chu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천태의 실상론: 일심삼관
      • Ⅲ. 길장의 이제합명중도: 중도를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 Ⅳ. 정영사 혜원의 공(空)의 이해
      • Ⅴ. 법장의 십현연기
      • Ⅰ. 서론
      • Ⅱ. 천태의 실상론: 일심삼관
      • Ⅲ. 길장의 이제합명중도: 중도를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 Ⅳ. 정영사 혜원의 공(空)의 이해
      • Ⅴ. 법장의 십현연기
      • Ⅵ. 『육조단경(六祖壇經)』의 무주ㆍ무념ㆍ무상
      • Ⅶ. 결론
      • 영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