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언어학 연구사 기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메타역사기술론적 접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6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iograhie oder Wissenschaftsgeschichts-schreibung ist die lingusitische Teildisziplin, bei der es sich darum handelt, die linguistischen Fakten in einen Zusammenhang zu sezten, um den Verlauf der Theorieentwicklung aufzuzeigen. Die Geschichte der...

      Historiograhie oder Wissenschaftsgeschichts-schreibung ist die lingusitische Teildisziplin, bei der es sich darum handelt, die linguistischen Fakten in einen Zusammenhang zu sezten, um den Verlauf der Theorieentwicklung aufzuzeigen. Die Geschichte der linguistischen Historiographie in Korea lasst sich auf die 1950er Jahre zuruckverfolgen, besonders im Rahmen der Koreanistik. Sie erldebte jedoch seit den 1990er Jahren einen richtigen Aufschwung. Nun stellt sich die Frage, in welcher Form die linguistischen Geschichtsschreibungen vollzogen sind, Erforderlich ist im damit, zu uberprufen, welche Ziele sie verfolgen, nach welchen Verfahren sie zustande kommen, und auf welche inhaltliche Elemente sie Wert legen.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besteh darin, auf der metahistoriographischen Ebene vorhandene historiograhische Werke der Linguistik in Korea kritissch zu betrachten, was uber die bloße Deskription hinausgehen. Es wird auch darauf abgezielt, ein Modell fur die lingusitistische Geschichtsschreibung aufzubau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원용, "형태론 연구의 쟁점과 전망- 유추론자와 규칙론자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48 : 1-44, 2010

      2 김민수, "현대의 국어연구사 (1945-1992)" 서광학술자료사 1993

      3 박영배, "한국의 영어학 연구와 교육 - 과제와 전망" 47 (47): 253-290, 2001

      4 장소원, "한국에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 성과 및향후 전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429-454, 2010

      5 박영환, "한국언어문학 국어학 분야 수록논문분석" 한국언어문학회 51 (51): 1-20, 2003

      6 이주희,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대한 경향과 전망" 한국언어문학회 (61) : 57-81, 2007

      7 유형선, "한국어 주어 연구사" 12 : 5-20, 2003

      8 임동훈, "한국어 조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16 : 149-182, 2002

      9 이준호,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사 -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9 : 305-336, 2008

      10 조국현,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과제 및 절차"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2 (32): 205-233, 2005

      1 송원용, "형태론 연구의 쟁점과 전망- 유추론자와 규칙론자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48 : 1-44, 2010

      2 김민수, "현대의 국어연구사 (1945-1992)" 서광학술자료사 1993

      3 박영배, "한국의 영어학 연구와 교육 - 과제와 전망" 47 (47): 253-290, 2001

      4 장소원, "한국에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 성과 및향후 전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429-454, 2010

      5 박영환, "한국언어문학 국어학 분야 수록논문분석" 한국언어문학회 51 (51): 1-20, 2003

      6 이주희,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대한 경향과 전망" 한국언어문학회 (61) : 57-81, 2007

      7 유형선, "한국어 주어 연구사" 12 : 5-20, 2003

      8 임동훈, "한국어 조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16 : 149-182, 2002

      9 이준호,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사 -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9 : 305-336, 2008

      10 조국현,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과제 및 절차"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2 (32): 205-233, 2005

      11 조국현, "한국 텍스트언어학 연구에 대한 성찰- 정체성, 연구 내용 및 방법, 성과와 문제점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5 : 585-612, 2003

      12 신형욱, "학술지를 통해 본 독일어교육 연구 50년의 흐름"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4 (24): 169-212, 2009

      13 박창원, "통시음운론 연구사와 국어음운사 연구 30년" 19 : 41-66, 1989

      14 김정대, "최근 20년 동안의 국어연구의 흐름" 21 : 85-121, 2001

      15 정동규, "주제와 방법론으로 살펴본 국내 독어학 연구 경향" 한국독어학회 19 (19): 1-18, 2009

      16 김주미, "의미·화용론 연구사 - 최근 30년간 의미론 연구의 경향" 35-46, 2005

      17 박종덕, "음운론 연구사 - 최근 30년 사이의 음운론 연구의 성과와 특징" 1-12, 2005

      18 이봉원, "음성학에 기반을 둔 국어 음운론 연구의 현호아과 전망" 한국어학회 37 : 105-125, 2007

      19 김석득, "우리말 연구사" 정음문화사 2003

      20 김방한 편, "언어학 연구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21 조국현, "언어 교육에 관한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내용 및 성과"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2 : 143-169, 2007

      22 박영목, "쓰기 교육과 읽기 교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의 동향" 10 : 1-21, 2001

      23 박동근, "상위 연구사적 관점에서 본 최근 30년간의 형태론 연구사" 33 : 55-90, 2004

      24 한성일, "사회언어학 연구사" 한말연구학회 17 (17): 317-366, 2005

      25 남길임, "사전편찬학 연구사 - 국어사전 편찬의 30년, 사전 편찬 방법론을중심으로" 82-92, 2005

      26 최윤영, "독어독문학의 시작과 정착 - 19세기 독어독문학에 대한 학문사적 고찰" 한국독일어문학회 14 (14): 313-338, 2006

      27 권재일, "국어형태론 연구의 새로운 전망" 38 : 17-41, 2001

      28 고영근, "국어학연구사" 학연사 1985

      29 김민수,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1987

      30 이관규, "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전망" 16 : 105-147, 2002

      31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0

      32 허재영, "국어사 연구사 - 최근 30년 국어사 연구사" 68-81, 2005

      33 홍종선,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 19 : 353-374, 1989

      34 송철의, "국어 형태론 연구의 과제와 성과" 27 : 45-65, 1997

      35 최웅환, "국어 품사론 연구의 전개와 전망" 한국어학회 47 : 33-60, 2010

      36 하치근, "국어 조어론 연구의 오늘 · 어제" 우리말학회 19 (19): 1-45, 2006

      37 이진호, "국어 음운론 연구의 성과와 전망" 배달말학회 39 (39): 143-166, 2006

      38 오충연, "국어 상 연구의 최근 동향: 통사론과 결부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0 : 63-88, 2006

      39 임규홍,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학회 20 (20): 111-145, 2007

      40 오정란, "국어 경음화 연구의 과제와 전망" 17 : 91-110, 2002

      41 장경희, "구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회 45 : 1-26, 2009

      42 박영준, "광고언어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어학회 17 : 5-300, 2002

      43 안재철, "韓國 漢文文法 硏究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7-50, 2006

      44 Elffers-van Ketel, Els, "The Historiography of Grammatical Concepts.19th and 20th century changes in the subject-predicate conceptionand the problem of their historical reconstruction" 1991

      45 Schmitter, Peter, "Historiographie und Narration. Metahistoriographische Aspekte der Wissenschaftsgeschichts- schreibung der Linguistik" 2003

      46 박영순, "21세기 국어 문장의미 연구의 방향" 1 : 29-58, 1997

      47 김무식, "20세기 국어음운론의 연구 동향과 방향" 33 : 67-100,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extlinguistic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8 1.19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