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 웹기반 신용교육 효과관련 변인 인과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Major Variables Affecting Web-based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for Corporate Employe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b-based instruction has become a viable strategy in an arena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for corporate employees. Among other things, it is a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ose who have jobs and like to participate in the consumer education at ...

      Web-based instruction has become a viable strategy in an arena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for corporate employees. Among other things, it is a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ose who have jobs and like to participate in the consumer education at free time when they want. Voluntary participation in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tself, however, does not guarantee its outcomes. What is necessary is to figure out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utcomes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s that exist among the variables. Specifically,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major variables affecting outcomes of web-based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2) what a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outcomes of web-based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learning flow, age, interaction, self-efficacy and credit rating were major variables related to outcomes of web-based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and that these variables may becom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of learning achievement or transfer is considered as outcomes. That is, leaning achievement being measured for the outcome variable, the influencing variables were in the order of learning flow, age, interaction and credit rating with the interaction being mediated by learning flow and having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When transfer was measured for the outcome variable, the influencing variables were in the order of learning flow, interaction, self-efficacy and credit rating with all the variables being mediated by learning flow and having an effect on transfer. Web-based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as a part of corporate education needs to be operated after developing an more effective program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considering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취업 후 경제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소비자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신용교육은 웹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교육과 같은 방법이 실효적이다. 웹기반 교육은 무엇보다도 생...

      취업 후 경제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소비자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신용교육은 웹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교육과 같은 방법이 실효적이다. 웹기반 교육은 무엇보다도 생업에 종사하고 있는 성인들로 하여금 자유로운 시간에 자발적으로 교육을 받는데 편의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 금융 소비자들이 웹기반 신용교육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신용교육의 효과가 보장되지 않는다. 필요한 것은 신용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과 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우선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두 가지였다. 첫째, 기업의 웹기반 신용교육의 효과관련 변인들은 무엇인가? 둘째, 기업의 웹기반 신용교육의 효과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연구결과, 기업 웹기반 신용교육의 주요 효과관련 변인은 학습몰입, 연령,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신용등급 등이었으며, 교육효과를 성취도, 전이도 중 어느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우선 교육효과를 성취도로 볼 때는 학습몰입, 연령, 상호작용, 신용등급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되며, 특히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이도를 교육효과로 볼 때는 학습몰입,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신용등급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되며, 특히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신용등급 변인 모두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볼 때 기업교육 일환으로서의 웹기반 신용교육은 이 연구에서 규명한 효과관련 변인들 및 이들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교수설계를 통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것은 가능한 한 대표본 확보를 통해 확정적인 반복연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효용,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경제교육" 10 (10): 1-7, 2003

      2 홍세희, "특별기고 :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 정혜윤,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교육연구원 31 (31): 269-286, 2015

      4 금융감독원, "초․중․고 금융교육 표준안 개발 연구" 금융감독원 2010

      5 정화민,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웹 기반 원격교육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12 (12): 255-272, 2011

      6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5

      7 김아영, "자아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1-38, 2004

      8 정상목, "이러닝 환경에서 몰입학습 증진을 위한 대화 기반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7 (7): 150-160, 2007

      9 이혜정, "이러닝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4 (4): 75-92, 2008

      10 박성익,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에의 자기주도성’의 다차원적, 위계적 요인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7 (27): 317-340, 2011

      1 성효용,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경제교육" 10 (10): 1-7, 2003

      2 홍세희, "특별기고 :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 정혜윤,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교육연구원 31 (31): 269-286, 2015

      4 금융감독원, "초․중․고 금융교육 표준안 개발 연구" 금융감독원 2010

      5 정화민,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웹 기반 원격교육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12 (12): 255-272, 2011

      6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5

      7 김아영, "자아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1-38, 2004

      8 정상목, "이러닝 환경에서 몰입학습 증진을 위한 대화 기반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7 (7): 150-160, 2007

      9 이혜정, "이러닝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4 (4): 75-92, 2008

      10 박성익,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에의 자기주도성’의 다차원적, 위계적 요인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7 (27): 317-340, 2011

      11 임규연,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2 이윤호, "우리나라에서 평생경제교육의 정립과 발전 방향" 한국경제교육학회 17 (17): 71-102, 2010

      13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14 서영경, "신용정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소비자 교육"

      15 홍기칠, "수업변인과 학습몰임과의 관계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5 (5): 19-44, 2009

      16 이지연, "동일 강좌의 이러닝과 면대면 분반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수업경험" 한국교육공학회 28 (28): 53-78, 2012

      17 송병호, "대학 이러닝 교양강좌의 학습자 만족도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9 (29): 241-261, 2013

      18 최명숙, "대학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변인들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53, 2008

      19 임규연, "기업의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 4 (4): 123-156, 2002

      20 윤계섭, "금융능력 개발을 위한 전략과 방안 : 투자자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6

      21 신종호, "e-러닝에서의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22 성행남, "e-러닝 학습몰입과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9 (9): 107-138, 2009

      23 강정화, "e-Learning에서 영어식 사고구조, 사전 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의 몰입을 통한 학습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8 (8): 165-176, 2010

      24 강명희,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27, 2006

      25 원효진, "e-Learning 프로그램 교수설계요인이 학습전이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82-489, 2013

      26 Hudson, L. R., "Web-based training"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2001

      27 고윤정, "Web-PBL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강화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6 (16): 179-202, 2006

      28 Skadberg, Y. X., "Visitors’ flow experience while browsing a web site : Its measurement, contributing factors and consequences" 20 (20): 403-422, 2004

      29 Chiu, C. M., "Usability, quality, value and e-learning continuance decisions" 45 (45): 399-416, 2005

      30 Garrison, D. R., "Understanding Distance Education" Routledge 1989

      31 Blume, B. D., "Transfer of training : A meta-analytic review" 36 (36): 1065-1105, 2010

      32 Warr, P., "Trainee characteristics and the outcomes of open learning" 48 : 347-375, 1995

      33 Csikszentmihalyi, M.,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4 Zimmerman, B. J., "Self-efficacy : An essential motive to learn" 25 (25): 82-91, 2000

      35 Shin, N., "Online learner’s ‘flow’experience : an empirical study" 37 (37): 705-720, 2006

      36 Chu, R. J., "Multi-level analysis of peer support, Internet self-efficacy and e-learning outcomes-The contextual effects of collectivism and group potency" 55 (55): 145-154, 2010

      37 Garrison, D. R., "Mapping the boundaries of distance education : Problems in defining the field" 1 (1): 7-13, 1987

      38 Hay, A., "Interaction and virtual learning" 13 (13): 193-204, 2004

      39 Rodriguez, B. C. P., "Interaction and effectiveness of corporate e-learning programmes" 16 (16): 480-489, 2013

      40 Wang, M., "Integrating organizational, social, and individual perspectives in web 2. 0-based workplace e-learning" 13 (13): 191-205, 2011

      41 Brown, K. G., "Individual differences in choice during learning: The influence of learner goals and attitudes in web-based train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1999

      42 Liu, I. F., "Extending the TAM model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to Use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54 (54): 600-610, 2010

      43 Chen, H., "Exploring web users' optimal flow experiences" 13 (13): 263-277, 2000

      44 Cheng, Y. M., "Exploring the roles of interaction and flow in explaining nurses'e-learning acceptance" 33 (33): 73-80, 2013

      45 Reeves, T., "Educational design research" Routledge 2006

      46 권오영, "E-learning의 정서적 반응 및 학습성과가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219-235, 2008

      47 Bates, R. A., "Critical Issues in HRD: A New Agend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erseus 2003

      48 Zhang, D., "Can e-learning replace classroom learning" 47 (47): 75-79, 2004

      49 Howell, A. W., "A process model of learner behavior & engagement during web-based train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