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통지화의 전승발전과 보존을 위한 민간지화에 관한 연구 = 김희영씨 일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2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적으로 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지화에 관한 연구는 궁중, 불교, 무속에만 국한되어 있어 민간지화에 대한 연구사례는 거의 찾아볼 수 없어 일반인들은 지화를 종교적인 꽃으로 인식하고 ...

      역사적으로 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지화에 관한 연구는 궁중, 불교, 무속에만 국한되어 있어 민간지화에 대한 연구사례는 거의 찾아볼 수 없어 일반인들은 지화를 종교적인 꽃으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지화 인식범위를 확장하고 민간지화의 전승발전과 보존을 도모하고자 김희영씨 일가를 중심으로 민간지화의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민간지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과 범위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민간지화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김희영씨와 전수자들을 만나 민간지화제작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지화는 크게 실내장식, 혼례상, 회갑 잔칫상, 꽃상여, 세시풍속에서 사용되며 공간적, 예술적, 심리적 기능을 중심으로 생활예술로 일반화 된 것이 특징이다. 둘째, 민간지화는 꽃의 사실적인 부분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꽃 본래의 형태와 유사하며 한 꽃꽂이에 여러 가지 꽃을 꽂아 화려하게 장식한다. 셋째, 대표적인 지화로 모란, 작약, 다리화, 동백, 수국, 장미가 있으며 꽃잎의 개수와 꽃잎 끝 모양에 따라 꽃이 달라지기 때문에 유동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넷째, 오직 천연염색으로 염색을 한 한지만을 사용한다. 다섯째, 지화 크기에 대한 제한이 없어 의례의 규모 및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나 꽃의 비례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조선 말기부터 지금까지 김희영씨 일가를 중심으로 이어진 전승계보와 지화제작 방법을 밝혀 사라져 가고 있는 민간지화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처럼 민간지화 의 전승을 드러내고 그 맥락을 이어간다면 지화에 대한 잘못된 인식의 오류에서 벗어나 대중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on Korean paper flowers with high cultural value are confined to palace, Buddhism, and shamanism. Therefore, there are few cases of research on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and ordinary people perceive paper flowers as religious flowers. ...

      Studies on Korean paper flowers with high cultural value are confined to palace, Buddhism, and shamanism. Therefore, there are few cases of research on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and ordinary people perceive paper flowers as religious flow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based on Heeyoung Kim"s family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were investigated in detail, and Heeyoung Kim"s met with the practitioners and analyzed the case studies of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are commonly used in interior decorations, marriage ceremonies, 60‘s birthday, funeral and ceremonial customs, and are characterized by living arts centering on spatial, artistic, and psychological functions. Second,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are similar to the original forms of flowers because they emphasize realistic parts of flowers, and they are decorated with colorful flowers by inserting various flowers in one flower arrangement. Third, Kim’s typical flowers are peony, darihwa, camellia, hydrangea, and rose. The number of petals and the shape of the end of the petals are able to change flexibly. Fourth, only Korean paper, Hanji, dyeing with natural dyeing method, are used for making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Fifth, becaus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size of petal, it is possible to change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eremony and the size of the space, but the proportion of the flower is import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related to the Korean paper flowers were derived by finding the tradition and production methods that have been centered on the Kim’s family since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f the tradition of civilian Korean paper flowers is revealed and the context is continued, it is possible to escape from the mistake of misunderstanding and it will lead to popular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민간지화의 분석 및 고찰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민간지화의 분석 및 고찰
      • Ⅳ. 결론
      • Refer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