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 강원도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rand image of local communities - focusing on the brand image of Gangwon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58881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brand image of local communities - focusing on the brand image of Gangwondo

      • 형태사항

        51p. 26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남용현
        참고문헌 : p.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 브랜드 이미지는 지역이 갖고 있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소구대상에게 명확히 인지시킴으로써 경쟁 지역들로부터의 차별화하여 홍보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이는 지...

      지역 브랜드 이미지는 지역이 갖고 있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소구대상에게 명확히 인지시킴으로써 경쟁 지역들로부터의 차별화하여 홍보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이는 지역 경쟁력의 향상과 함께 지역 이미지를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주민으로 하여금 자긍심 고취와 지역 활성화에 목적이 있다.
      강원도 브랜드 이미지 제작에 관한 연구를 위해 이론적 배경과 지역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을 정의하고, 디자인의 기능적 요소에 대한 분류를 도입하여 국내의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이미지와 강원도 기초자치단체들의 브랜드 이미지를 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와 언론사가 실시한 강원도 이미지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강원도 브랜드 이미지 제작에 있어서 표현될 내용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 지방자치단체들의 브랜드 이미지는 표면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를 표현 하고 있지만 실제로 소구대상에게 인지되는 이미지는 별다른 이야기가 없는 중복된 이미지를 드러낸다.
      이는 브랜드 이미지의 제작이 비전문적인 인력에 의해 개발 진행과 결정이 이루어져 충실한 조사와 계획의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성과 위주의 제작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반복 하지 않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경쟁력 있는 자원과 문화 그리고 주민들이 함께 만들어 온 지역의 가치를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의 브랜드 이미지 정립에 충실히 해야 할 것이다.
      강원도는 자연환경을 자원으로 한 관광자원과 먹거리 등 관광지역으로의 강한 이미지를 띠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강원도가 가지고 있는 비교 우위적 요소인 자연을 중심으로 연계되는 친환경산업과 관광관련 산업으로 강원도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며 연동해 나가는 전략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 이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훈련되고 고정된 전담인력의 운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rand image of a local community is used as a mean to differentiate the community from its competitors and to become superior in public relations. It vitalizes the local community and improves its image for raising local competitive power. It als...

      The brand image of a local community is used as a mean to differentiate the community from its competitors and to become superior in public relations.
      It vitalizes the local community and improves its image for raising local competitive power. It also activates local industries, instill in residents a sense of pride.
      In case of Gangwondo, its brand name is currently under collection of publicity.
      In order to develop a band image of Gangwondo, the concept of the local brand image was studied and examples of the brand image usage of other local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by literature survey.
      Also,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strategy and the improvements of the brand image development of Gangwondo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n the image of Gangwondo obtained by the press.
      Most local communities had already developed their brand images and have been using those. However, the developments were done without having enough investigation and incorporation of the strategic plan. As the result, lots of problems including duplication of brand images, a waste of budget, insufficient development time, and inefficiency occurred. Finally the initially intended objectives couldn't be satisfied.
      All communities have different and special resources of their own. Therefore, the value developed by their culture, resources and residents should be focused on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local brand images.
      Although the contents of advertizement of many local communities superficially include various meanings, they don't show the special and unique images of their local communities.
      Gangwondo should recognize various problems in developing its brand image and try to make effective brand image with care from start to finish.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of the local press, it has been found that Gangwondo has a strong brand image as a good sightseeing place having great natural environment and food. Attracting large industry and industrial facilities making great effects on the local economy is important for local governments, and this is not exceptional for Gangwondo.
      In order to satisfy this, Gangwondo should have its own identity by focusing on developing green industry such as tourism and its by-products. For this, the brand image of Gangwondo must be developed after finding strong and weak points of Gangwondo compared to other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and analyzed data from the current study.
      Also, a team trained and specialized for effectively advertizing the brand image to improve its image should be operated.
      For Gangwondo, a brand image is about to be developed.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helpful in developing effective and successful local brand image for Gangwond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3
      • Ⅱ. 지역브랜드의 이론적 배경 = 4
      • 1. 지역 경쟁력의 개념과 구성 요인 = 4
      • Ⅰ. 서론 =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3
      • Ⅱ. 지역브랜드의 이론적 배경 = 4
      • 1. 지역 경쟁력의 개념과 구성 요인 = 4
      • 1) 지역 경쟁력의 개념 = 4
      • 2) 지역 경쟁력의 구성 요인 = 5
      • 2. 지역 브랜드 이미지 의미와 효과 = 8
      • Ⅲ. 브랜드 이미지 분석의 틀 = 10
      • 1. 브랜드 이미지 = 13
      • 2. 브랜드 이미지 역할 = 15
      • 3. 브랜드 이미지가 갖추어야 할 요소 = 17
      • 4. 브랜드 이미지의 자산요소 = 18
      • 5. 브랜드 이미지의 기능적 측면 = 19
      • 6. 브랜드 이미지의 개선 효과 = 20
      • Ⅳ. 연구 분석 및 논의 = 22
      • 1. 국내 지방자치단체 브랜드이미지 분석 = 22
      • 1) 경기 = 22
      • 2) 경남 = 25
      • 3) 충남 = 28
      • 4) 전남 = 30
      • 5) 제주 = 32
      • 2. 강원도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이미지 분석 = 34
      • 3. 강원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38
      • 1) 강원도의 일반 현황 = 38
      • 2) 강원도의 홍보 목표 = 39
      • 3) 강원도 이미지 진단 = 40
      • 4. 조사결과의 요약 분석 = 43
      • Ⅴ. 결론 = 45
      • 참고문헌 = 47
      • Summary =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