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입당구법순례행기』, 엔닌이 만난 길 위의 이름들 = Ennin’s Diary, The Names which Ennin had met on His W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8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入唐求法巡禮行記』(Ennin’s Diary) written by Japanese Buddhist monk, Ennin (圓仁) in the early 9th century is a diary-style travel writing which is the record of his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This article aims to introd...

      『入唐求法巡禮行記』(Ennin’s Diary) written by Japanese Buddhist monk, Ennin (圓仁) in the early 9th century is a diary-style travel writing which is the record of his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historical facts and personal feelings recorded in it, focusing on the names of people and nature which he had met on his way of a trip to Tang(唐) and Silla(新羅) dynasty. The theme of article is here discussed anthroponyms and toponyms in two separat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itled ‘The People on the Way’, I shortly introduce Ennin’s appearance as a cultural-historical geographer and the academic value of his travel writing, and then present the ordinary life of the Tang people and Silla residents in Tang on which official history did not tell all the particulars. In the second chapter named ‘The Nature along the Way’, I explain some geographical features of Wutaishan (五台山), Huanghe (黃河), Dayunhe (大运河), Tang’s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十五道), Changancheng (长安城), and the lowest administrative districts, Cun(村) in rural area and Fang (坊) in urban area. Finally, I basically analyze the see route and island names in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through which Ennin had returned to his country, Japan. In particular, I identify the historical fact that he and his crew was not able to visit to Cheonghaejin (淸海鎭), the base of Jangbogo fleet force in Wando for political reasons at that time, and try to decide exact location of island names such as Goyi-do (高移島), Gucho-do (丘草嶋), and An-do (鴈嶋) on his homeward journe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입당구법순례행기』는 9세기 전반 일본인 불교 승려 엔닌이 당나라로의 구법 여행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행문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들과 개인의 감정들을 ...

      『입당구법순례행기』는 9세기 전반 일본인 불교 승려 엔닌이 당나라로의 구법 여행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행문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들과 개인의 감정들을 길에서 만난 사람들과 자연들의 이름을 중심으로 소개하려는 것이다. 특히 동북아시아 한・중・일 삼국 사이에서 펼쳐졌던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 속을 횡단했던 한 인간의 활동을 길과 이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엔닌이 구법과 순례의 여행길에서 만났던 이름들을 크게 인명과 지명으로 나누어 두 개의 장을 구성하였다. 첫째, ‘길 위의 사람들’이라는 장에서는 엔닌의 문화역사지리학자로서의 면모와 여행기의 학술적 가치를 간략히 소개한 후, 엔닌이 만난 당나라와 신라 사람들에 대해 관찬 사서들이 말해 주지 않았던 그들의 평범한 삶의 모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길 가의 자연들’이라는 장에서는 9세기 전반 당나라의 산과 강, 마을과 도시의 풍경을 오대산, 황하, 대운하, 그리고 15도(道) 행정구역, 장안, 촌(村)과 방(坊) 등을 사례로 소개하였다. 끝으로 엔닌이 귀국길에 경유했던 한반도 서남해안의 바닷길과 섬 이름을 기초적으로 분석하여 엔닌 일행이 정치적인 이유로 완도의 청해진을 방문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하고 고이도, 구초도, 안도의 지명 위치 비정을 시도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로, "헤안 초기의 동아시아세계의 교섭과 현황 - 장보고와 엔닌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53) : 493-512, 2011

      2 강경하, "한일 구법승 기행문의 문학성 고찰-『왕오천축국전』과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9) : 5-24, 2019

      3 한국고전종합DB, "한국문집총간 [叢瑣, 册十, 詩○麗水郡, 吳宖默(1834~1906)의 麗水 郡守 재임 시절(1897.04~1899.06)]"

      4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15(전남편 Ⅲ)" 한글학회 1983

      5 김순배, "한국 도로명의 명명 유연성 연구 -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5 : 33-93, 2016

      6 Reischauer, E. O., "중국 중세사회로의 여행: 풀어 쓴 엔닌의 일기" 한울 2012

      7 신복룡, "입당구법순례행기" 선인 2007

      8 신복룡, "입당구법순례행기" 정신세계사 1991

      9 박규태, "일본의 신사(神社)" 살림출판사 2005

      10 이병로, "일본에서의 신라신과 장보고- 적산명신과 신라명신을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19-341, 2006

      1 이병로, "헤안 초기의 동아시아세계의 교섭과 현황 - 장보고와 엔닌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53) : 493-512, 2011

      2 강경하, "한일 구법승 기행문의 문학성 고찰-『왕오천축국전』과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9) : 5-24, 2019

      3 한국고전종합DB, "한국문집총간 [叢瑣, 册十, 詩○麗水郡, 吳宖默(1834~1906)의 麗水 郡守 재임 시절(1897.04~1899.06)]"

      4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15(전남편 Ⅲ)" 한글학회 1983

      5 김순배, "한국 도로명의 명명 유연성 연구 -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5 : 33-93, 2016

      6 Reischauer, E. O., "중국 중세사회로의 여행: 풀어 쓴 엔닌의 일기" 한울 2012

      7 신복룡, "입당구법순례행기" 선인 2007

      8 신복룡, "입당구법순례행기" 정신세계사 1991

      9 박규태, "일본의 신사(神社)" 살림출판사 2005

      10 이병로, "일본에서의 신라신과 장보고- 적산명신과 신라명신을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19-341, 2006

      11 네이버 지식백과, "일본사(박석순, 2009), 중국사(신승하, 2008)"

      12 이유진, "엔닌(円仁)의 求法旅行과 唐 문화 체험" 대구사학회 99 : 55-77, 2010

      13 김정희, "언어와 종교를 통해 본 삼국의 교류와 자타(自他)인식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55) : 97-117, 2013

      14 고경석, "신라의 對中 해상교통로 연구-중부횡단항로와 남부사단항로 개설 시기를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21) : 97-137, 2011

      15 강봉룡, "신라 말∼고려시대 서남해지역의 한·중 해상교통로와 거점포구" 고려사학회 (23) : 381-401, 2006

      16 박무영, "나에게로 가는 길" 41 : 56-59, 2016

      17 百度地图, "高邮市, 护国兴教寺"

      18 김은국, "登州를 중심으로 한 渤海와 東아시아의 交流" 동아시아고대학회 (17) : 77-107, 2008

      19 山口光圓, "比叡山廷曆寺: 傳敎大師ㆍ慈覺大師傳 4" 敎育新聞社 1961

      20 "朝鮮地誌資料(全羅南道篇 7冊)"

      21 Google Maps, "大慈寺, 五台山, 鹳雀园"

      22 이유진, "圓仁의 入唐求法과 동아시아 인식" 동양사학회 (107) : 1-30, 2009

      23 장종진,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하여 본 新羅譯語" 한국고대사탐구학회 (7) : 139-166, 2011

      24 이유진, "唐代 求法僧의 숙박시설: 円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를 중심으로" 22 : 231-255, 2009

      25 권덕영, "古代 東아시아인들의 國外旅行記 撰述"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9) : 1-35, 2010

      26 小野勝年,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全4卷)" 鈴木學術財團 1964

      27 戴均良, "中国古今地名大词典" 上海辭書出版社 2005

      28 김순배, "『티베트 원정기』의 지리들: ‘유명’과 ‘무명’의 지리들 사이에서" 대한지리학회 53 (53): 707-730, 2018

      29 주성지, "『입당구법순례행기』지명 분석을 통한 엔닌(圓仁) 노정의 디지털 복원" 2020

      30 이유진, "『入唐求法巡禮行記』 解題"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8) : 283-300, 2010

      31 김문경, "[단행본]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32 Reischauer, E. O., "Ennin’s diary : the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Ronald Press 19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3 1.70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