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시술 환자의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Angioseal^(�) 사용과 고식적 용수 압박법의 비교  :  전향적 연구 = The efficacy and safety of angioseal^(�) compared to conventional manual compression after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31542

      • 저자

        김용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권현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김필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안석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유철웅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최진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이상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김준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김덕경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전은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이상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홍경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박정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서정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 발행기관
      • 학술지명
      • 권호사항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Korean

      • 주제어
      • KDC

        513.000

      • 등재정보

        KCI등재

      • 자료형태

        학술저널

      • 발행기관 URL
      • 수록면

        496-503(8쪽)

      • KCI 피인용횟수

        0

      • 제공처

        무료 KCI,   유료 KISS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은 최근 양적 및 질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지만 시술 시 천자부위의 혈관 합병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저자들은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은 최근 양적 및 질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지만 시술 시 천자부위의 혈관 합병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저자들은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환자에게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혈관폐쇄기구인 안지오실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식적인 용수 압박법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5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에서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200명의 환자(안지오실 사용군: A군, 100명, 고식적 용수압박법 사용군 B군, 100명)를 대상으로 시술 후 주요 합병증 및 경한 합병증, 지혈 후 환자가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보행개시 가능시간, 총 재원 기간과 시술 1주 후의 합병증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론 : 두 군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 시술의 종류, 시술 중 사용한 헤파린의 양, clopidogrel의 양, ticlopidine의 양, 지혈 시 수축기와 확장기혈압, ACT (activated clotting time)는 차이가 없었다. A군이 B군에 비해 시술 후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A군: 4.3±0.3시간, B군: 13.7±0.8시간, p=0.004) 및 보행개시까지의 시간(A군: 6.8±0.5시간, B군: 18.8±2.1시간, p=0.013)이 유의하게 짧았다. 시술 후 주요 합병증은 두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A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A군: 28명, B군: 19명, p=0.003). 반상출혈의 경우는 A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A군: 3명, B군: 12명, p=0.01), 혈종, 출혈의 발생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재원기간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239). 시술 1주 후 경과관찰에서 주요합병증은 역시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A군: 15명, B군: 13명 p=0.418), 반상출혈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혈종의 발생은 A군에서 더 낮았다(A군: 2명, B군:6명, p=0.004). 두 군 모두에서 출혈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안지오실의 사용은 고식적 용수 압박법에 비해 환자의 침상 안정시간을 줄여 조기 활동개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국소합병증의 위험도를 일부 낮추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Although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the vascular complication at puncture site is still the major cause of patients' morbidity.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

      Background : Although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the vascular complication at puncture site is still the major cause of patients' morbidity.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ly of newly-developed collagen-based arterial closure device, Angioseal after transfemoral percuaten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spective single center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 A total 200 patients undergoing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enrolled between April 2002 and Ma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gioseal group (group A, n=100) and manual compression group (group B, n=100). The baselin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time to sit up, the time to ambulatio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major and minor vascular puncture site complications were monitored.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1 week after procedure by telephone.
      Results :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wtics, clinical diagnosis, cardiocascular risk factors, typesof procedure, doses and numbers of anticoagulant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blood pressure and activated clotting time were also similar. The time to sit up (group A: 4.3±0.3 hours, group B: 13.7±0.8 hours, p=0.004) and the time to ambulation (group A: 6.8±0.5 hours, group B: 18.8±2.1 hours, p=0.013) were shorter in group A. No major vascular complications were noted. The incidence of hematoma and bleed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incidence of ecchymosis, how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group A:12%, group B: 3%, p=0.001) The duration of gospital stay was similar between groups. During 7 days of follow-up period incidence of hemato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p=0.004). Although the incidence of ecchymo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angioseal may be associated with earlier ambulation and less patients' morbidity with low incidence of local complication rate compared to manual compression after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ascular complications of cardiac catheterization" 167 : 375-378, 1994

      2 "Transfemoral catheterization:mechanical versus manual control of bleeding" 154 : 234-235, 1985

      3 "Time to hemostasis; A comparison of manual versus mechanical compression of the femoral artery" 4 : 149-156, 1995

      4 "Simpfendorfer C. The 6 Fr angioseal arterial closure device: results from a multicenter prospective registry" 87 : 789-791, 2001

      5 "Randomized evaluation of a new inflatable femoral artery compression device after coronary angiography" 86 : 1382-, 1992

      6 "Pressure dressings and postarteriographic care of the femoral puncture site" 119 : 97-99, 1976

      7 "Peripheral vascular complications after conventional and complex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al procedures" 69 : 63-68, 1992

      8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in 1985-1986 and 1977-1981:the NHLBI registry" 318 : 265-270, 1988

      9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the current era compared with 1985-1986: the NHLBI registries" 102 : 2945-2951, 2000

      10 "Mandatory and user facility device experience" United States Food^Drug Administration 2001

      1 "Vascular complications of cardiac catheterization" 167 : 375-378, 1994

      2 "Transfemoral catheterization:mechanical versus manual control of bleeding" 154 : 234-235, 1985

      3 "Time to hemostasis; A comparison of manual versus mechanical compression of the femoral artery" 4 : 149-156, 1995

      4 "Simpfendorfer C. The 6 Fr angioseal arterial closure device: results from a multicenter prospective registry" 87 : 789-791, 2001

      5 "Randomized evaluation of a new inflatable femoral artery compression device after coronary angiography" 86 : 1382-, 1992

      6 "Pressure dressings and postarteriographic care of the femoral puncture site" 119 : 97-99, 1976

      7 "Peripheral vascular complications after conventional and complex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al procedures" 69 : 63-68, 1992

      8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in 1985-1986 and 1977-1981:the NHLBI registry" 318 : 265-270, 1988

      9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the current era compared with 1985-1986: the NHLBI registries" 102 : 2945-2951, 2000

      10 "Mandatory and user facility device experience" United States Food^Drug Administration 2001

      11 "Local vascular complications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1 : 4-20, 1998

      12 "Initial experience with a new compression device for hemostasis after femoral artery puncture" 26 : 241-244, 1992

      13 "Immediate sealing of arterial puncture sites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and coronary angioplasty using a biodegradable collagen plug:results of an international registry" 21 : 851-855, 1993

      14 "Femoral artery hemostasis using an implantable device (Angio-SealTM) after coronary angioplasty" 37 : 362-365, 1996

      15 "Femoral artery catheterization complications:a study of 503 consecutive patients" 34 : 8-13, 1995

      16 "Efficacy and safety of a hemostatic puncture closure device with early ambulation after coronary angiography" 81 : 569-572, 1998

      17 "Early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6 French AngiosealTM device: Immediate closure of femoral puncture sites after diagnostic and interventioal coronary procedures" 53 : 437-442, 2001

      18 "Current complication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cardiac catheterization" 12 : 1400-1406, 1988

      19 "Coronary arteriography 1984-1987:results and complications" 17 : 5-10, 1989

      20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femoral arterial catheterization" 33 : 259-263, 1974

      21 "Complications of femoral artery closure devices" 52 : 3-7, 2001

      22 "Cardiac catheterization 1990:A report of the registry of the Society for Cardiac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24 : 75-83, 1991

      23 "Arteriotomy closure devices-The FDA perspective" 38 : 642-644, 2001

      24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closure devices (Angioseal, Vasoseal and Duett)." 25 : 423-429, 2002

      25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comparing a percutaneous collagen hemostasis device with conventional manual compression after diagnostic angiography and angioplasty" 22 : 1273-1279, 1993

      26 "2001 Heart and Stroke Statistical Upda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in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