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의 AI 기반 맞춤형 강의 추천 시스템 개발 및 실제 적용 사례 연구: K 대학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I-Powered Adaptive Course Recommender System in Higher Education: An Example from K Univers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혁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인 AI 기반 교양 강의 추천 시스템을 래피드 프로토타입 모형에 기반하여 개발하고, 실제 교내 포털 시스템에 적용하여 이용 결과를 ...

      본 연구는 대학혁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인 AI 기반 교양 강의 추천 시스템을 래피드 프로토타입 모형에 기반하여 개발하고, 실제 교내 포털 시스템에 적용하여 이용 결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당 서비스는 2020년 7월 교내 포털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추천 기능에 이용된 알고리즘은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과 수강 이력 기반 통계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각 모델당 21개의 교양 강의를 추천하였다. 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782명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보다 통계 기반 알고리즘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제 사후 추적 조사 결과, 2020년 2학기 희망 강의로 등록된 강의 내역과 실제 수강 내역에서 추천된 강의를 분석했을 때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의 Recall@21이 각각 약 37%와 43%로 통계 기반 알고리즘의 결과인 18%와 1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교양 강의를 선택할 때 흥미 및 관심사를 가장 우선순위로 고려하였으며, 강의 제목의 모호함 때문에 강의에 대한 키워드가 가장 필요한 정보라고 응답하였다. 더불어 설문 응답자들은 원하는 강의와 원하는 수업 방식을 추천 결과에 직접 반영하고자 하는 요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국내 대학 교육 실정에 맞는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강의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 학습자에게 맞춤형 교육 정보를 제공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outl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AI-based elective course recommendation system on the basis of rapid prototype methodology (RP), from algorithm modeling to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and follow-up survey. The algorithms used to ...

      This paper outl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AI-based elective course recommendation system on the basis of rapid prototype methodology (RP), from algorithm modeling to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and follow-up survey. The algorithms used to produce recommendations employed either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or a class history-based statistical model, incorporating students’ course ratings and course enrollment history data. The system was implemented on the campus portal website in July 2020, and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Our results, based on 782 responses, demonstrated that the statistical-based model ha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collaborative filtering model. However, a follow-up survey based on course wish list and course registration data found that Recall@21 for the collaborative filtering model was about 37% and 43%, respectively, compared with 18% and 14%, respectively, for the statistical-based model. Thus, we found a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recommended list and actual course behavior. In their responses, students regarded their academic interests as the top priority when choosing elective courses, and noted that keywords, capable of fully describing the lectures, were vital information due to ambiguous course titl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and real application of AI-based recommendation systems i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충일, "혼합필터링(Hybrid Filtering)을 활용한 교과목 추천시스템 개발" 엘지씨엔에스 14 (14): 71-82, 2015

      2 김두형, "협업 필터링을 활용한 대학 교양과목 추천 시스템" 2551-2556, 2020

      3 윤장혁, "협업 필터링을 응용한 대학 교양과목 추천" 3 (3): 37-42, 2016

      4 손기락, "협동적 필터링을 이용한 K-최근접 이웃 수강 과목 추천 시스템" 한국정보교육학회 11 (11): 281-288, 2007

      5 김미량, "학습자 중심 웹 기반 교수-학습체제의 화면설계 전략" 16 (16): 51-76, 2000

      6 나일주, "웹기반 가상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활동모형 개발" 17 (17): 27-52, 2001

      7 임철일, "웹 기반 수업 개발을 위한 인쇄물 기반의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1 (21): 3-28, 2005

      8 Laberge, R., "데이터 웨어하우스 멘토: 실용적 DW/BI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통찰" 비제이퍼블릭 2013

      9 권선아, "대학의 인공지능 도입과 인공지능교수에 대한 학습자 인식" 교육종합연구원 16 (16): 77-101, 2018

      10 유재준, "kNN 알고리즘 기반의 교양과목 추천 모델 연구" 24 (24): 107-109, 2020

      1 김충일, "혼합필터링(Hybrid Filtering)을 활용한 교과목 추천시스템 개발" 엘지씨엔에스 14 (14): 71-82, 2015

      2 김두형, "협업 필터링을 활용한 대학 교양과목 추천 시스템" 2551-2556, 2020

      3 윤장혁, "협업 필터링을 응용한 대학 교양과목 추천" 3 (3): 37-42, 2016

      4 손기락, "협동적 필터링을 이용한 K-최근접 이웃 수강 과목 추천 시스템" 한국정보교육학회 11 (11): 281-288, 2007

      5 김미량, "학습자 중심 웹 기반 교수-학습체제의 화면설계 전략" 16 (16): 51-76, 2000

      6 나일주, "웹기반 가상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활동모형 개발" 17 (17): 27-52, 2001

      7 임철일, "웹 기반 수업 개발을 위한 인쇄물 기반의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1 (21): 3-28, 2005

      8 Laberge, R., "데이터 웨어하우스 멘토: 실용적 DW/BI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통찰" 비제이퍼블릭 2013

      9 권선아, "대학의 인공지능 도입과 인공지능교수에 대한 학습자 인식" 교육종합연구원 16 (16): 77-101, 2018

      10 유재준, "kNN 알고리즘 기반의 교양과목 추천 모델 연구" 24 (24): 107-109, 2020

      11 Angus, G., "Via: Illuminating academic pathways at scale" 1-10, 2019

      12 Gruver, N., "Using latent variable models to observe academic pathways. arXiv preprint"

      13 Goldberg, D.,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to weave an information tapestry" 35 (35): 61-70, 1992

      14 Dudani, S., "The distance-weighted k-nearest-neighbor rule" (4) : 325-327, 1976

      15 Bloom, B., "The 2 sigma problem : The search for methods of group instruction as effective as one-to-one tutoring" 13 (13): 4-16, 1984

      16 Chaturapruek, S., "Studying undergraduate course consideration at scale" 7 : 2021

      17 Bobadilla, J., "Recommender systems survey" 46 : 109-132, 2013

      18 Lu, J., "Recommender system application developments: A survey" 74 : 12-32, 2015

      19 Jones, T.,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in action : A developmental study" 48 (48): 63-80, 2000

      20 He, X., "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 173-182, 2017

      21 Chaturapruek, S., "How a data-driven course planning tool affects college students' GPA: Evidence from two field experiments" 1-10, 2018

      22 Pardos, Z., "Designing for serendipity in a university course recommendation system" 350-359, 2020

      23 Shao, E., "Degree planning with PLAN-BERT: Multi-semester recommendation using future courses of interest" 2021

      24 Pardos, Z., "Connectionist recommendation in the wild : on the utility and scrutability of neural networks for personalized course guidance" 29 (29): 487-525, 2019

      25 Hu, Y., "Collaborative filtering for implicit feedback datasets" 263-272, 2008

      26 Brusilovsky, P., "Authoring tools for advanced technology Learning Environments" Springer 2003

      27 Mikolov, T., "Advances in pre-training distributed word representations"

      28 Paramythis, A.,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e-learning standards" 1 (1): 369-379, 2003

      29 Montebello, M., "AI injected e-learning"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30 Pardos, Z., "A university map of course knowledge" 15 (15): e0233207-, 2020

      31 Henze, N., "A logical characterization of adaptive educational hypermedia" 10 (10): 77-113, 2004

      32 Pazzani, M., "A framework for collaborative, content-based and demographic filtering" 13 (13): 393-40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3.7 3.7 3.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9 2.68 3.751 0.7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