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빈곤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교육적 역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0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000년 9월 열린 유엔(UN) 새천년정상회담에서 189개국 정부 대표들이 만장일치로 채택한 ‘새천년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에서 ‘절대 빈곤(극심한 가난)과 기아 퇴치’를 가...

      지난 2000년 9월 열린 유엔(UN) 새천년정상회담에서 189개국 정부 대표들이 만장일치로 채택한 ‘새천년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에서 ‘절대 빈곤(극심한 가난)과 기아 퇴치’를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목표로 내세웠다. 이 목표는 2015년까지 하루1달러 미만으로 겨우 생계를 이어가는 절대 빈곤 인구와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굶주림은 사람이 가장 견디기 힘든 고통 중 하나이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금도 전 세계60억 인구 중7명 당1명인 8억5400만 명이 기아의 고통을 겪고 있다. 이 중4억 명이 어린이이며 5초마다 1명씩 10살 미만 어린이가 굶주림과 영양실조 등으로 목숨을 잃고 있다. 그러나 갈수록 상황이 나아지기보다는 지역적 불균형과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세계화 시대의 자유경제 체제 속에서 더욱 가속화되어가고 있다.
      국제사회의 빈곤문제는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 세계에서 8억4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영양실조 상태에 있다.
      * 매년 다섯 살 이하 어린이 6백만 명이 영양실조로 죽어간다.
      * 하루에 1달러도 안 되는 돈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12억 명이며 2달러도 안 되는 돈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세계 인구의 절반이나 된다.
      *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1%의 사람들의 수입은 가장 가난한57%사람들의 수입과 맞먹는다.
      * 개발도상국들에서는 어린이 천 명 중 91명이 다섯 번째 생일을 맞지도 못하고 죽는다.
      * 1천2억 명의 사람들이 매년 물 부족으로 죽어간다. 11억 명의 사람들은 깨끗한 물에 아예 접근할 수도 없고 24억 명의 사람들은 적절한 하수 설비도 없이 살아가고 있다.
      * 4 천만 명의 사람들이 에이즈에 걸린 상태로 살고 있다.
      * 개발도상국에서 1억1천3백3만 명 이상의 아이들이 기초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들 중 60%는 여자 아이들이다.
      * 여성들은 빈민 중에서도 여전히 가장 빈곤한 상태에 있는데 절대 빈곤 수준의 70%를 차지한다.
      * 여성들은 세계 총 노동 시간의 3분의2를 차지하는 일을 하고 전세계 식량의 절반을 생산하지만 총 수입의 10퍼센트만을 벌고 있으며 재산 1%만을 소유하고 있다.
      이처럼 심각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 ‘새천년개발목표’에 동참하는 각국 정부와 세계 기구 등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어느 정도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2005년 7월 유엔이 발표한 ‘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하루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절대 빈곤 인구가 1990년 12억5000만 명에서 2004년 약9억8000만 명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인구 대비 절대 빈곤층 비율도 32%에서 19%로 감소했다. 그 러나 이 같은 통계적 변화는 절대적으로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착시 효과일 뿐 세계적 빈곤 감소 추세는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인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우 절대빈곤층 비율이 2000년 46.8%에서 4 1.1%로 떨어졌으나, 아직도 빈곤층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 남아시아 지역도 여전히 30%의 인구가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절대 빈곤층이다. 절대 빈곤이란 전 세계은행 총재인 맥나마라가 처음으로 사용한 개념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상대적 빈곤과는 다른 개념으로 절대적 수준의 가난이란‘생존의 경계점’ 이라 불리는 지저분하고 열악한 환경에서의 삶을 말한다. 즉 의식주와 관련된 기본적으로 인간이 가져야 할 생물학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수입이 결여된 삶을 의미한다.
      이에 비하여 부의 현실은 가난한 나라와 미국과 캐나다 등의 북미국가의 연간 소비량을 통해 극명히 드러난다. 한 예로 가난한 나라의 연평균 곡물 소비량이180kg에 불과한데 북미 국가의 경우900kg에 이른다. 5배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은 북미 국가의 경우 곡물을 동물에 먹여 고기와 우유로 전환시켜 소비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빈곤의 문제는 생산의 문제가 아닌 분배의 문제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맥나마라는 절대적 빈곤이라는 개념에 대배된 “절대적 풍요”라는 개념도 설명한다. 절대적 풍요상태는 인간의 필요 이상으로 사치품을 사용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를테면 배고파서 먹는 음식이 아닌 혀의 즐거움을 위한 음식, 추위를 피하기 위한 의복이 아닌 멋을 위한 의복, 또한 사치와 즐거움을 위한 주거공간의 향유들을 들 수 있다.
      최근 새롭게 등장하는 빈곤의 양상은 ‘인간과 대자연’ 이라는 세계관에서 비롯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풍요로움의 환상 속에 자연과 인간이라는 구도 하에 발생된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새로운 풍요를 가져다주기 보다는 과거 전통사회에서의 삶의 기술들을 상실하면서 영세하고 소규모적인 농민이나 어민들은 더 극심한 빈곤자로 전락하고 있디는 사실이다.
      이렇듯 절대풍요와 절대빈곤의 현실이 점차 극명해지는 오늘의 사회 속에서 기독교 공동체는 절대빈곤의 문제를 어떤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가? 또한 절대빈곤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통한 실천적 삶을 아우르기 위하여 기독교교육은 어떠한 교육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들어가는 말 1
      • Ⅱ.빈곤에 관한 신학적 이해 5
      • Ⅲ.빈곤에 관한 기독교 공동체의 대처 유형 9
      • Ⅳ.빈곤에 관한 교회공동체의 기독교 교육적 접근 13
      • Ⅰ.들어가는 말 1
      • Ⅱ.빈곤에 관한 신학적 이해 5
      • Ⅲ.빈곤에 관한 기독교 공동체의 대처 유형 9
      • Ⅳ.빈곤에 관한 교회공동체의 기독교 교육적 접근 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