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正倉院藏 ‘第二新羅文書’의 正解를 위하여 = 为了正仓院藏‘第二新罗文书'的正确解释 : 兼論新罹俗字''的原形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8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日本 正倉院에 所藏되어 있는 ‘第二新羅文書’에 대한 正確한 判讀 및 解讀을 目標로 한다. 이 文書에 대한 判讀 및 解讀에서 國語學界와 國史學界 사이에 많은 見解差를 드러내고...

      이 글은 日本 正倉院에 所藏되어 있는 ‘第二新羅文書’에 대한 正確한 判讀 및 解讀을 目標로 한다. 이 文書에 대한 判讀 및 解讀에서 國語學界와 國史學界 사이에 많은 見解差를 드러내고 있음을 勘案히여 되도록 客觀的인 姿勢로써 이에 대한 正解를 試圖하는 한펀, 이 文書의 [앞면] 첫 글자로 登場하는 新羅 俗字 ‘?’의 正體를 究明하기 위한 論議도 겸함으로써 新羅의 吏讀 내지 字形 硏究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第二新羅文書’의 正確한 判讀에 焦點을 맞추었다. 그 결과. ①‘接五’([앞면] 1行). ②'馬於內’([앞면] 2行). ③‘永忽知乃末’([뒷면] 2行), ④‘六互大舍’([뒷면] 2行), ⑤‘契米山大舍’([뒷면] 3行) 등 그 동안의 論議들에서 論難을 빚은 部分들에 대하여 唐代 字形 資料와의 比較를 바탕으로 字形 判讀을 어느 정도 確定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解讀面에서는 ①‘馬於內’를 ‘*마?나’[蒜地]로 解讀할 수 있는 地名임을 確忍한 점, ②‘汚去如’의 ‘-去’가 吏讀吐라기 보다는 ‘-了’ 즉, 完7相 表示의 語助辭 機能을 지니는 漢文 文法的 要素임을 指摘한 점, ③‘失’과 ‘丑’에 대하여 韓國漢字音의 觀點에서 各各 ‘實’과 ‘楸’의 假借 表記가 될 수 없음을 指摘한 점 등 從前과는 새로운 主張을 펄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新羅 俗字 ‘?’에 대해서는 雁鴨池 出土의 207번 木簡에서의 쓰임과 「世宗實錄地理志」에서 ‘~尾’로 나타난 貢物의 分布 등을 綜슴的으로 考慮하여 ‘豹’=‘土豹’ 즉, 스라소니(제l 후보) 또는 ‘孤’ 즉, 여우(제2 후보)를 의미하는 글자일 可能性이 높음을 論議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序言
      • 2. 文書의 發見 經緯, 用度 및 作成 時期
      • 3. 判讀 및 解讀
      • 4. 新羅 俗字 ‘ ’의 正體
      • 요약
      • 1. 序言
      • 2. 文書의 發見 經緯, 用度 및 作成 時期
      • 3. 判讀 및 解讀
      • 4. 新羅 俗字 ‘ ’의 正體
      • 5. 結語
      • 참고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雁鴨池에서 出土된 新羅木簡에 대하여」" 慶北史學會 115-1 133, 1979

      2 "「第二新羅帳籍에 대하여」" 32-19 39, 1976

      3 "「新羅 月池 出土 在銘遺物에 對한 銘文 硏究」" 1994

      4 "???q?@???????e???W?? ?\??(???C???W?? ?????` ?l?O)" ????: ???????X 1997

      5 徐鍾學, "吏讀의 歷史的 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995

      6 "한국 고대의 문자와 기호유물" 통천문화사 2000

      7 "신라 관등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震檀學會 96 : 149-171, 2003

      8 李成市,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신라・발해와 정창원 보물" 청년사 1999

      9 李鎔賢, "경주 안압지(「月池」) 출토 목간의 기초적 연구―보고서 분석과 넘버링을 중심으로" 國史編纂委員會 101 : 87-133, 2003

      10 "高麗時代의 吏讀" 1992

      1 "「雁鴨池에서 出土된 新羅木簡에 대하여」" 慶北史學會 115-1 133, 1979

      2 "「第二新羅帳籍에 대하여」" 32-19 39, 1976

      3 "「新羅 月池 出土 在銘遺物에 對한 銘文 硏究」" 1994

      4 "???q?@???????e???W?? ?\??(???C???W?? ?????` ?l?O)" ????: ???????X 1997

      5 徐鍾學, "吏讀의 歷史的 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995

      6 "한국 고대의 문자와 기호유물" 통천문화사 2000

      7 "신라 관등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震檀學會 96 : 149-171, 2003

      8 李成市,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신라・발해와 정창원 보물" 청년사 1999

      9 李鎔賢, "경주 안압지(「月池」) 출토 목간의 기초적 연구―보고서 분석과 넘버링을 중심으로" 國史編纂委員會 101 : 87-133, 2003

      10 "高麗時代의 吏讀" 1992

      11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韓國의 古代木簡" 藝脈出版社 25輯 : 2004

      12 李成市, "韓國木簡연구의 현황과 咸安城山山城출토의 木簡" 한국고대사학회 19 : 77-121, 2000

      13 盧明鎬,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硏究篇"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b

      14 盧明鎬,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上)―校勘譯註篇"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a

      15 "第五十四回 正倉院展" 奈良: 天理時報社 2002

      16 尹善泰, "正倉院 所藏 「佐波理加盤附屬文書」의 新考察" 國史編纂委員會 74 : 295-333, 1997

      17 "末松保和博士古稀記念會編" 217-252, 1978

      18 "新羅의 文字活用과 性格" 262-277, 2002

      19 尹善泰, "新羅 統一期 王室의 村落支配―新羅 古文書와 木簡의 分析을 中心으로" 2000

      20 "文字로 본 新羅: 新羅人의 記錄과 筆跡" 학연문화사 2002

      21 "敦煌漢簡書法精選" 蘭州: 甘肅人民美術出版社 1995

      22 ?m?횹?攣?}牘慤?瑯?, "攣?}牘뮴匡?咆겋【?냥 枷(?m錦遜섞 얩랗힛∥愷힛)" ?|쑴: 검컁?便? 1996

      23 權仁瀚, "中世韓國漢字音訓集成" 제이앤씨 2005

      24 李鎔賢, "8세기 중후반 신라 동궁(東宮) 주변―경주 안압지 목간의 종합적 검토" 55-6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Of Kugyol -> The Society for Kugyol Studies KCI등재
      2014-1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ugyol Studies -> Kugyol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ugyol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1 1.7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