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지난 19년간의 제주도를 방문했던 내국인과 외국인 관광객들의 수를 소스 데이터로 이용하여 향후 제주도를 방문할 관광객 수를 ARIMA 모형을 통해 예측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제...
이번 연구는 지난 19년간의 제주도를 방문했던 내국인과 외국인 관광객들의 수를 소스 데이터로 이용하여 향후 제주도를 방문할 관광객 수를 ARIMA 모형을 통해 예측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제주 관광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ARIMA 모형은 대표적인 시계열 분석 방법 중 하나로서, 과거의 데이터를 토대로 좀 더 정확하게 가까운 미래를 예측하여 미리 대비하고 준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율적인 분석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다양해지고 있는 예측 모형들은 ARIMA 모형을 개량하여 특수한 데이터의 상황에 맞게 변형시킨 것들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ARIMA 모형의 개념과 ARIMA 모형에 포함된 AR, I, MA 각 성분의 특징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주도 관광객 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까운 미래의 제주도 방문자수를 예측을 연구하였다. 내국인들의 제주도 관광목적의 방문뿐만 아니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관광객 수도 함께 예측하였으며, 다양한 국가의 관광객 중 특히, 중국 국적의 외국인들의 제주도 방문이 많음과 동시에, 이에 외교적, 정치적인 사회문제가 대두되었을 경우를 대비해야함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발리, 괌, 오키나와 등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휴양·관광지들이 많이 존재한다. 한국의 제주도 또한 이들 지역 못지않게 풍부한 관광자원과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고 본다. 더 다양한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할 내국인 관광객과 외국인 관광객 모두에게 사랑받는 휴양지가 되길 소망한다.
주제어(키워드, 색인어) 빅데이터, 시계열 분석, R프로그램, ARIMA, 제주도 관광,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