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디어와 공간: 지역공론장의 생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duction of Local Public Sphe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51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mocratic possibility of local public sphere in its various dimensions (production principles, social functions, and contradictions). In hi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mocratic possibility of local public sphere in its various dimensions (production principles, social functions, and contradictions). In hi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St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Habermas describes the rise and implementation of the (by media produced) public sphere which was historically developed during the 18th and the early 19th century in England, France and Germany. This bourgeois public sphere sets itself up against the absolutist state and forms a counterpole. To illuminat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local public sphe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communication theory of Habermas and the space analysis of Lefèbvre. At the debate about possibilities and limits of local public sphere, first of all, the positive valuation of the public sphere as a central institution of democratization processes is striking. The public sphere is regarded in accordance as an institution of the civil society with its normative characteristics. This perspective is formed by logic of the democratization within which communication is in turn a keyword. The public sphere is no power-free space, but the social space is characterized by hierarchy and struggle. The emancipator potential of the public sphere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also in the discussion around local media that it is accepted. In this sense, the public sphere is not the opposite, but firm component of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사회에서 공론장의 생산은 현대사회의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가 부여된다. 이때 지역의 미디어는 중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그 정당성을 획득한다. 그러나 지역공론장...

      지역사회에서 공론장의 생산은 현대사회의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가 부여된다. 이때 지역의 미디어는 중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그 정당성을 획득한다. 그러나 지역공론장의 의미는 학문적으로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금까지 언론학에서 지역공론장의 이상적 기능은 무엇이며 동시에 이상적 기능이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으로서 ‘지역’, 그리고 미디어와의 관계 속에서 지역공론장의 생산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시론적이며 탐색적인 성격을 지니지만 지역공론장의 의미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공론장의 규범적 모델에 국한하여 이루어진다. 하버마스 등에 의해 연구된 공론장의 규범적 모델이 그 이상적 유형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지역공론장은 그 경계가 유동적인 매우 복합적인 공간이다. 지역공간은 물리적 공간으로서 그리고 동시에 정신적, 사회적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는 변증법적인 성격을 지닌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때 지역미디어 또한 공간과 중층적으로 관계를 맺는다. 미디어 스스로 공간을 생산함과 동시에 미디어공론장의 대상으로서 공간과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공론장은 담론적 의견과 의지형성의 전체과정으로서 현대 민주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할 실용적인 방안이다. 그러나 동시에 지역공론장은 그 이상적 기능 실현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 또한 지니고 있다. 공론장의 분화에 따른 양극화문제, 생산의 불평등문제, 지배와 권력의 문제 등이다. 특히 지배와 관련하여 공론장 생산의 정확한 함의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론장은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인식된 정치적 결정의 통제기구로서의 기능으로 인해 흔히 착각에 빠지게 한다. 공론장의 생산을 지배권력에 대항하는 대항권력의 생산으로 이해하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를 말한다. 사회적 공간으로서 공론장은 사회의 지배구조가 관철되는 공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해방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이중적이며 역동적인 공간으로 이해하는 점 역시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대명, "현대자본주의국가에서의 <공간생산>에 관한 고찰 -앙리 르페브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1997

      2 조항제,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 개념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회 34 : 275-304, 2006

      3 강명현, "로컬리즘과 지역방송-사회적 로컬리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 19 (19): 109-141, 2005

      4 문종대, "내부 식민지로서의 지역방송 재생산에 관한 연구" 5 (5): 175-208, 2005

      5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2

      6 임영호, "공간 이론을 통해 본 한국 방송학의 정체성 문제: 지역방송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275-303, 2002

      7 Keane, John, "The Media and Democracy" 1991

      8 Harvey, David, "The Limits to Capital" Blackwell 1982

      9 Harvey, David,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Blackwell 1989

      10 Habermas, J?gen, "Strukturwandel der ?fentlichkeit. Neuaufl" Suhrkamp 1990

      1 노대명, "현대자본주의국가에서의 <공간생산>에 관한 고찰 -앙리 르페브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1997

      2 조항제,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 개념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회 34 : 275-304, 2006

      3 강명현, "로컬리즘과 지역방송-사회적 로컬리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 19 (19): 109-141, 2005

      4 문종대, "내부 식민지로서의 지역방송 재생산에 관한 연구" 5 (5): 175-208, 2005

      5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2

      6 임영호, "공간 이론을 통해 본 한국 방송학의 정체성 문제: 지역방송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275-303, 2002

      7 Keane, John, "The Media and Democracy" 1991

      8 Harvey, David, "The Limits to Capital" Blackwell 1982

      9 Harvey, David,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Blackwell 1989

      10 Habermas, J?gen, "Strukturwandel der ?fentlichkeit. Neuaufl" Suhrkamp 1990

      11 Luhmann, Niklas, "Soziologische Aufkl?ung 5. Konstruktivistische Perspektiven" Westdeutscher Verlag 1990

      12 Werlen, Benno, "Sozialgeographie. Eine Einf?rung" Haupt 2000

      13 Peters, Bernhard, "Sinn von ?fentlichkeit, fentlichkeit, ?fentliche Meinung, Soziale Bewegungen" Westdeutscher Verlag 42-76, 1994

      14 Baudrillard, Jean, "Requiem f? die Medien, Kursbuch. Medienkultur" DVA 279-299, 2002

      15 Wehling, Hans-Georg, "Regionen, handw?terbuch zur politischen Kultur in der Bundesrepublik" Westdeutscher Verlag 419-422, 1981

      16 Dierichs, Rainer, "Regionalisierung als Unternehmensstrategie einer Zeitung, Journalismus f? die Praxis" 268-276, 1991

      17 Teichert, Will, "Region als Bedarfskategorie. Rundfunk und Fernsehen" 184-202, 1979

      18 Soja, Edward, "Postmodern Geographies" 1993

      19 Habermas, Jurgen, "Political communication in media society ? Does democracy still enjoy an epistemic dimension? The impact of normative theory on empirical research. A speech in Dresde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ICA)"

      20 Ronneberger, Franz, "Parteien als Kommunkationssystem, Strukturprobleme des lokalen Pareiensystems" 115-160, 1975

      21 McQuail, Denis, "Media Performance" Sage 1992

      22 Golombeck, Dieter, "Me?atten f? das Lokale. In: Initiative Tageszeitung (Hg.). Redaktion. Almanach f? Journalisten(pp.29-36). Bonn"

      23 Jonscher, Norbert, "Lokale Publizistik" Westdeutscher Verlag 1995

      24 Kieslich, G?ter, "Lokale Kommunikation. Ihr Stellenwert im Zeitgespr?h der Gesellschaft. Publizistik"

      25 Saxer, Ulrich, "Lokale Kommunikation" Perspektiven 367-379, 1978

      26 Kunczik, Michael, "Kommunikation und Gesellschaft. Theorien zur Massenkommuniktion. Wien"

      27 Maier-Rabler, Ursula, "In Sense of Space. ?erlegungen zur Operationalisierung des Raumbegriffs f? die Kommunikationswissenschaft. In: Walter H?berg / Michael Schmolke (Hg.). Zeit, Raum, Kommunikation(pp. 357-370). M?chen: ?schl?er"

      28 Habermas, J?gen, "Faktizit? und Geltung" Suhrkamp 1992

      29 Elden, Stuart, "Es gibt eine Politik des Raumes, weil Raum politisch ist. 《An Architektur》, Juli 2002, 27-35"

      30 Schonbach, Klaus, "Die isolierte Welt des Lokalen. Rundfunk und Fernsehen" 260-277, 1978

      31 Lefebvre, Henri, "Die Produktion des stadtischen Raums. 《Arch+》"

      32 Habermas, J?gen, "Der philosophische Diskurs der Moderne" Suhrkamp 1985

      33 Merten, Klaus, "?fentlichkeit, Handbuch Politikwissenschaft" Rowohlt 332-337, 1987

      34 H?scher, Lucian, "?fentlichkeit, Geschichtliche Grundbegriffe. Bd. 4" Ernst Klett 413-467,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1 0.81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